파워서플라이의 전력 효율성

gusoong   
   조회 1088   추천 0    

쪽팔리면 질문하지 맙시다. 소중한 답변 댓글을 삭제하는건 부끄러운 일 입니다 

최대한 자작 NAS의 전력 소모량을 낮추는게 목표인데,

이런 DC PSU ( 최대 효율 85%, 120W )가 가장 저전력에서 전력 효율성이 뛰어날까요

아니면

적당한 80PLUS BRONZE 300W PSU가 저전력에서 전력 효율성이 뛰어날까요?
저런 DC형 PSU는 전력 손실이 적어서 효율이 좋아 Idle시 3~5W정도 차이가 난다고 하던데..

이게 사실인지도 궁금합니다

정말 1W라도 더 줄이는게 지금은 소중해서요..

미리 감사합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이것저것 여러가지 해보며 경험쌓는것을 좋아합니다 ^^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어른이 01-02
그냥 1000W 파워 박죠... 헤헤...

저거 DC to DC인데 그 앞에 AC to DC 어댑터 박으나, 300W 파워 박으나 그게 그거고, 굳이 저런거에서 변환 효율 따지면서 소비전력 낮추는것보다 메모리를 LPDDR5나 루나레이크 처럼 CPU에 붙여서 극단적인 구성을 하고 디스크 수량이나 성능을 최대한 줄이는게 더 이득입니다...
     
dateno1 01-02
+1

저런거에 메달려서 얻는 이득보단 차라리 시퓨 N100같은거 가는게 더 크고, 그거보다 더 큰게 케이스팬 전력이고, 이 모든걸 능가하는게 하드 전력입니다

결국 시스템 간단하게 구성하는게 젤 이득이 커요

디스크 소비 전력 > (넘사벽) > 케이스팬등의 잡다한것들 소비 전력 > 시퓨 변경으로 얻는 이득 >> 파워 서플 타입으로 얻는 이득

디스크 1개 10~25왓, 팬 1개 4~6왓, 보드등을 바꾸면 얻는 이득 1~20왓, 시퓨 변경으로 얻는 이득 1~20왓, 파워 서플 변경으로 얻는 이득 몇왓인지라 하드 6~8개 + SSD  2개쯤 박으면 나머지를 어떻게 해도 대기 전력이 100왓 넘깁니다

참고로 저런것 가는 가장 큰 이유는 공간 절감 + 무소음이지 전력 소비 감소가 아닙니다
보드가 DC이면 어댑터만 꼽아서 간단하게 쓰시면 되는데,
저 변환장치를 보니 보드에 24pin 파워 커넥터를 꼽으시려는 걸로 추정 됩니다.
그럴 경우 어댑터의 변환효율, 위 제품의 변환효율 2중으로 고려해야 되고
구조가 복잡해져서 주변이 지저분해질 것 같은 느낌이 드네요.

전력 효율성을 신경 쓰신다면 가격은 비싸지만
일반 ATX 혹은 SFX(Micro ATX)규격의 플래티늄 혹은 타이태니엄 규격의
파워 서플라이를 사용하시는걸 추천 드립니다.
박문형 01-02
80플러스 규격이 파워의 효율성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플레티넘이 효율이 재일 높습니다..
대신 가격은 올라갑니다..

80 플러스 플레티넘을 인증받은 파워중에 사용 가능한 모델이 있는지 알아보세요..

그리고 가능하면 해당 모델의 80플러스 인증 테스트 리포트도 다운로드 받아 확실히 테스트 되고 인증 받았는지 확인해보세요..
이선호 01-02
전력 차이는 크게 의미가 없습니다. 10w 줄여봤자 그 돈 뽑는데 1년 넘게 걸립니다. 파워의 급을 올리면 올릴수록 본전 뽑기는 더 힘들어지구요.
배터리 사용 혹은 전력 제한이 있는 환경이라면 극한까지 줄여야겠지만 220v 한전 전기에서는 아무 의미없는 행위라고 봅니다
문현식 01-02
가능 하면 최대 용량의 하드디스크로 셋팅하시고
물리적인 디스크 갯수를 줄이는게 좋겠지요.
김현린 01-02
예전에 dc to dc로 나스 만들었었는데
hdd가 몇개인지는 모르겠지만 6개기준 100w로 하드 한개정도가 종종 꺼졌다 켜졌다 했습니다
별로 추천하고싶지 않네요
gusoong 01-02
역시 그냥 다른걸로 승부를 봐야겠네요
다들 의견 감사드립니다.
N100으로 가던지 해야겠습니다..
노예큡 01-02
제가 N100으로 NAS 구성하고 OS를 UNRAID로 해놓고 캐시를 SSD를 달아놨더니 평소에는 하드디스크가 계속 잠자고 있고 하드가 깨어나더라도 일부 하드만 깨어나서 대부분의 시간에는 소비전력이 10W도 안되거나 조금 넘거나 하는 것 같습니다. 파워는 850W짜리 장터에서 등급높은거 사다가 달았어요.
     
gusoong 01-02
이야 대단하네요.. 꿈의 전력 소모 입니다 ^^
정보 공유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노예큡 01-02
알리에서 파는 N100 나스보드는 보드에 장착된 주변장치가 은근 전기 많이 빨아먹는 것들이 있어서 저는 하드커널 오드로이드로 만들었습니다. 근데 이게 SATA 포트는 4개밖에 안되고 M.2 NVME가 기본 1개 있는데 여기에 악세사리로 NVME를 2개 또는 4개로 분기시킬 수 있는걸 팔아요. 그중 한 포트에 asm1166 달면 SATA 6개로 또 늘어나는 것 같습니다.
GEUN 01-02
한가지 놓치신점은 결국 DC TO DC 보드를 쓰더라도 DCV 입력을 위해서는 220V-DCV 아답터를 써야한다는점입니다. 그럼 아답터에서 나오는 손실도 합쳐야 말이맞겠죠?

DC TO DC 보드는 소형화를 위해서 쓰는것이지 그게 아니라면 파워서플라이를 구입하시는게 훨씬 좋습니다.
엠브리오 01-02
전력소비량은 CPU를 비롯한 컴퓨터 장치들이 전력을 얼마나 끌어다 쓰느냐에 달려 있습니다.

높은 출력의 파워 서플라이 쓴다고 해서 전력이 더 소모되는것이 아닙니다.
800W 라 적힌 것은 얼마나 많은 전력을 공급해 줄수 있는지를  나타낼뿐입니다.

파워공급장치의 전력효율은 80 Plus 라는 규격으로 정해져있습니다.
80+ 티타늄 규격의 파워를 사용하면 가장 효율이 높습니다.
https://ko.wikipedia.org/wiki/80_%ED%94%8C%EB%9F%AC%EC%8A%A4
듀얼cpu 01-02
제아무리 효율이 티타늄이라도 부하가 낮을수록
효율은 더 떨어집니다. 이걸 감안한다면 파워 용량을
출력의 60% 정도로 구성하시는 게 제일 좋습니다.
     
piloteer 01-03
개인용 저전력 NAS같은 경우 현실적으로 "출력의 60%로 구성한다" 가 안 됩니다. 전력소모가 넓은 범위를 오가고, 그 중 idle 모드 비중이 가장 높기 때문에..

80 인증의 경우 어지간한 전력소모 범위 내에서는 효율을 보장하는데.. 다만 극적인 경우 (대략 출력 10% 미만) 80% 인증 파워도 효율이 뚝 떨어지는 것은 사실이긴 합니다. 그래도 뭐 달리 믿을 게 없으니 그냥 씁니다만..
          
듀얼cpu 01-03
그렇죠. 사실 이런 경우는 파워 서플라이보다는 어댑터가 더 낫습니다만..
용량이 아무리 적어도 300w 밑으로는 없으니까요.

그게 아니라면 대기업 pc에 OEM으로 납품하는 flex형 파워를 써야 할 겁니다.
근데 상태 괜찬은 저런 파워는 또 어디서 구할지..
죠슈아 01-04
DC형 PSU는 전력 손실이 적어서 효율이 좋아  ...      ??
그래봤자 ,,,
220v to 12v DC 어뎁에서의  전력 손실이 다 까먹지요 ...

NAS 구성시 전력 소모량을 낮추는게 목표이면
디스크 갯수를 줄이고..  끄냥 꺼두면 됩니다.
이러면 NAS가 아니게 되죠...
미스터최 01-06
효율만 보면 12v 바이패스 dc2dc + 94% 이상 고효율 아답터 조합이 가장 좋은건 맞습니다.
다만, idle 1~2w정도의 차이일 뿐이며, 아답터에 따라 효율이 더 안좋아지는 경우도 많아서 추천드리지 않습니다.

dc2dc 끝판왕 picoPSU-160-XT, HDPLEX DC ATX,  저용량용 골드, 플래티넘, 티타늄등급까지 모두 사용해보고
수업료 꽤나 내고 내린 결론은 Active PFC 방식의 psu는 dc2dc와 큰 성능차이가 발생하지 않는다는 것 입니다.
취미로 idle 소비전력을 극한까지 내리려는게 아니시라면 dc2dc로 돈, 시간 낭비하지 않으시길 권장 드립니다.


QnA
제목Page 43/5731
2015-12   1793495   백메가
2014-05   5268460   정은준1
2024-10   875   냐미냐미
02-05   876   Jjun
01-01   877   산골농부
2024-12   877   무쏘뿔처럼
03-05   878   뉴진스
02-27   880   뭐든팔아요
2024-11   880   쿠쟝
03-17   881   불멸의샌디…
02-25   881   노예큡
2024-11   881   정의석
02-08   881   Rich
2024-10   882   네오네모
2024-09   882   딥마인드
02-13   883   화란
03-19   883   구차니
2024-08   884   혼자가는길
01-06   885   3D서포터즈
02-10   886   민욱님
2024-11   886   이창준
2024-12   886   신은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