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 초보 질문

osthek83   
   조회 583   추천 0    

그냥 있는대로 쓰다가 갑자기 용량을 늘릴일이 필요해 하드를 늘리다가 궁금해서 간단한 질문 하나 남깁니다.

보통 리눅스에 하드를 추가하면 특정 디렉토리에 마운트 하지 않습니까? 왜 / 에 마운트를 하지 않는 혹은 할수 없는건가요? 최상위 디렉토리에다가 마운트하면 모든 유저가 다 늘어난 용량을 쓸수 있지 않을까요 ^^?

좀 전에 어떤 실수아닌 실수를 했냐면 도커로 이것저것 설치해서 테스트 하는데 터미널 접속해서 스크립트 변경하는데 시간이 많이 걸려서, .ssh 디렉토리에 제 노트북 공개키 넣어놓고 비주얼 스튜디오 코드로 접속해서 작업하려고 하니, 용량이 부족해서 비주얼 코드 관련 패키지 설치가 안되는 겁니다.

그래서 vcenter 에서 하드 추가 하고 /home/제디텍토리에 붙이니 그동안 있었던거 다 날아갔네요 -_-;; 어떻해야 파일 유지하면서 특정 디렉토리 혹은 리눅스 시스템 전체 용량을 늘릴수 있을까요 

리눅스는 친해지는데 참 시간이 걸리는 친구입니다. 많은 재주가 있지만, 매번 에러를 토해내고 구글링 없이는 모든게 낮설음 ㅠㅠ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화란 01-30
/ 최상위 디렉토리는 항상 언제나 마운트가 이미 되어있으므로 추가로 마운트할 수 없어요.
dateno1 01-30
어떤 운영체제든 차이 없습니다

예를 들어 윈도라도 디스크 추가했을때 다른 문자가 부여되지 C드라이브의 용량이 늘진 않습니다 (지금 질문은 디스크 더 달았는데 왜 문자가 따로 부여되고 기존 볼름이 확장되지 않냐고 묻는거랑 똑같은 의미입니다)

가상이면 별로 어려운것 없이 가상 디스크의 용량을 확장하고나서 파일 시스템을 확장하세요
김강호 01-30
그건 마운트 푸시면 다시 살아납니다
원래 리눅스 마운트는 빈 폴더에 하시는 겁니다

Lvm도 알아보세요
날아간게 아니라 /home에 새로운 볼륨을 마운트했기 때문에 가려진 상태입니다. 1) 새 볼륨을 바로 /home에 마운트하지 않고 임시로 어딘가에 마운트한 뒤에 2) cp -a로 /home의 내용을 몽땅 복제한 후에 3) /home의 내용을 삭제하고 4) 새 볼륨을 /home에 마운트하는 식으로 작업해야 합니다.
엠브리오 01-30
디스크 용량을 늘리는건 어차피 리눅스의 "마운트" 방식을 쓰던
Windows에서 사용하는 알파벳 이름의 "드라이브"를 쓰던 별로 차이가 없습니다.

기존 데이터를 새 하드디스크에 옮기고 "/" 디렉토리를 어느 장치로 바꿀지  마운트 옵션만 바꿔주면 되는 일인데..
너무 어렵게 생각하니 그런겁니다.

그건 OS에 대한 경험치가 부족한 것이지 리눅스가 어려운건 아닙니다.
흑기사 01-30
루트 마운트는 부팅 과정 중 커널 초기화가 끝난 후 별도 명령 없이 자동으로 진행됩니다. 이후는 chroot로 루트 변경하는 방법말고는 없습니다.

일일이 마운트할 필요 없이 부팅후 바로 쓸려면 /etc/fstab에 수동 추가해야 되는데 이게 오히려 낫다고 봅니다.
스토리지 꽂으면 바로 드라이브로 연결하고 내부 파일 스캔하다가 악성코드 먹는 일 비일비재한게 윈도우입니다. 이걸 전문으로 노리는 바이러스도 있고.
다초린 01-31
설치시 /home 파티션을 만들지 말고요 / swap 만 만들어도 됩니다


QnA
제목Page 612/5706
2014-05   5131425   정은준1
2015-12   1666201   백메가
2023-07   2473   상어알
2022-07   2473   엄마미안
2022-08   2473   ShortLJ
2021-08   2473   파리대왕
2022-04   2473   개념막막
2017-03   2473   cbr600f6
2020-06   2474   전설속의미…
2020-09   2474   GPGPU
2019-12   2474   뛰어올라고고
2020-03   2474   화란
2022-04   2474   머라카는데
2020-10   2474   com12
2021-05   2475   epowergate
2020-02   2475   허인구마틴
2019-08   2475   김건우
2020-08   2475   새로운차원
2022-11   2475   PWneo
2023-09   2475   이유종
2021-04   2475   iroo
2023-05   2475   수퍼싸이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