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ll R730 서버 디스크 증설 질문

   조회 754   추천 0    

쪽팔리면 질문하지 맙시다. 소중한 답변 댓글을 삭제하는건 부끄러운 일 입니다  


현재 Dell 서버 R730에서 600GB HDD 총 4개가 꼽혀 있습니다.

OS는 CentOS 7 을 사용중에 있고, 담당자는 Raid가 잡혀있지 않다고 합니다.

하지만 df로 봤을 때는 잡히는 용량은 약 1.2TB 정도 이고, 예상으로는 Raid 10 으로 의심이 됩니다.

/home 경로에 disk가 full이 나서 600GB hdd 디스크를 하나 더 추가를 해야되는 상황입니다.

제가 디스크 증설 같은 경우 해본적이 없어서 이론말고 실제 경험 해보신분의 의견이 궁금합니다.

왠만하면 서버 down 없이 핫으로 진행하고 싶어 하십니다. 

이런경우에 디스크를 실시간으로 꼽으면 리눅스에서 바로 인식이 되는 건가요 ? 

pv, vg, lv 정도만 명령어 해주면 될까요 ?

아니면 이런경우에 어떤식으로 디스크 증설이 이루어지나요 ?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dateno1 02-18
일단 뭘로 묶어놨고, 어떻게 되어있는지부터 보세요

10이라면 1개가 아닌 2개를 추가해서 50으로 바꾸거나 하셔야겠네요

파일 시스템 확장까지 진행해야할테니 어느정도 서버 작동 중단 각오하셔야 합니다
     
kimchangsic 02-18
넵 감사합니다 ! lsblk로 봤을 때 OS영역 및 DATA영역 두군데로 나눈게 아니라 sda 하나에 다 넣어놨더라구요 그렇게 봤을 때 Raid 10이지 않을까 판단을 하였고, 자세한 것은 BIOS 환경에서 봐야 되겠죠 ?
          
dateno1 02-18
소프트로 OS에서 묶은건지 컨트롤러로 하드웨어적으로 묶은건지부터 보세요

그리고 /home을 통으로 안 늘리고 그 하위에 디스크 마운트해서 해당 경로만 새 디스크로 처리하게 할 수 도 있습니다 (이러면 무중단으로 될꺼에요)
               
kimchangsic 02-18
감사합니다 !!
iDrac 에 접근하셔서
Raid 정보를 직접 확인하는게 빠를 것 같습니다.

iDrac에서 레이드 설정도 가능합니다.

HDD 증설이면 iDrac에서 레이드0으로 한개 더 추가해서 OS 붙여주면 될 것 같은데요

디스크 경우 핫스왑 가능합니다.
     
kimchangsic 02-18
HDD 증설이 될 것 같습니다. 디스크를 붙였을 때 핫으로 진행이 가능한 부분인가보네요 감샤합니당
박문형 02-18
모델이 어느정도 오래되어 저 모델에 맞는 새 디스크를 구하는게 쉽지 않을수 있습니다..

사용 모델의 세부사항이 없기에
(3.5인치 디스크 모델인지, 2.5인치 디스크 모델인지 , 어떤 콘트롤러로 어떻게 백플레인이나 디스크가 연결되어 있는지 등)

핫스압디스크가 장착되지 않는 모델이라면 장비를 끄지 않고 디스크 장착은 불가능하며
(아마 거의 모든 모델이 핫스압디스크 지원하겠지만)

저 모델의 맞는 핫스압디스크를 구해서 꼽게 되면
레이드 콘트롤러라면 새로 인식된 디스크를 서버에 맵핑시키거나 해서 서버의 OS 가 인식할 수 있게 셋팅해야 합니다..

현재 질문 내용으로만 보면 시스템의 하드웨어 셋팅이나 레이드 셋팅등에 대해 경험이 없거나 적어 보이고 단지 리눅스 서버 운용쪽에 경험이 있기에 원하시는 디스크 장착,셋팅,용량확장등에 대해 세세한 이야기에는 한계가 있어 보입니다..

그리고 질문 내용상 남의 서버를 관리하는 입장으로 보이는데 잘못 셋팅되어 문제가 생기면 아주 곤란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회사 직원이라면 저 문제에 대한 상담하실 분을 찾아 상담하고 확실한 솔류션을 찾은 후에 작업중 시스템이 날라가더라도 복구할 수 있게 백업도 확실히 한 후
작업하시기 바랍니다..
     
kimchangsic 02-18
네 전부다 한번도 해본적이 없어요 .. 하드웨어 셋팅이라던지 레이드라던지 전부다 사내 서버에서 테스트정도까지만 해봤는데 저보고 그냥 하라고만 하니 답답한 심경입니다. lvm 환경이라 새로운 disk를 꽂았을때 인식이 되면 pvcreate 후에 vgextend -> lvextend -> resize2fs 를 이용해서 /home 경로의 용량을 늘리는 방법을 생각중인데 생각만한다고 이게 실전에서 될리가 없으니 고민이 많슴니다...
저보고 그냥 하라고만 하니 답답한 심경 > 책임전가네요.

perccli를 마스터 하시고 신중하게 접근하시는게 좋습니다.
https://sh-safer.tistory.com/440

온라인 확장이란게 리스크가 따르는거라서 그냥 기존꺼 놓아두고 별도로 볼륨 따로 관리하는게 낳지 싶습니다.
/home/나하나만추가해줘..볼륨폴더

perccli로 raid 구성정보와 disk 멤버 상태를 먼저 정확히 확인하시고,
다른곳에서 시뮬레이션 해보신후에 raid 마이그레이션이랑 파일시스템 리사이징하는걸 해보셔야 합니다.
실수하면 데이터 날릴수도 있습니다.
구리구리 02-18
사내의 교육 방식일수도 있으니 뭐라 왈가불가...하긴 그렇고...그냥... 팁을 드리자면

1. HW raid 가 구성된지 확인하고,
2. 신규 디스크를 레이드를 구성해서  새로운 디스크로 OS에 붙이던지, 아님 단짜 디스크로 OS에 인식시켜서

3. 볼륨 매니저가 lvm  이면 새 pv를 vg에 밀어 넣던지.
4. lvm이 아니라면 home을 다른 마운트 포인트로 mount (이건 offline 일회 필요)
5. 아니면 저라면 링크로 새로운 디스크로 논리적으로 연결 할거 같네요.
박문형 02-18
서버 시스템이 서비스하고 동작하는 중간에

레이드 볼륨이 디그리드 되었을때 속도는 안나오고 레이드 엔진의 부하는 커집니다.. (레이드 볼륨이 불안해집니다..)

온라인 익스펜딩이나 온라인 레벨 체인징때도 마찬가지입니다..

온라인 익스펜딩이나 온라인 레벨 체인징은 재대로 끝나도 안의 데이터가 망가지는 경우가 있기에 경험이 있는 사람들은 시도하지 않으려는 방식들입니다..

어짜피 온라인 익스펜딩해도 OS의 파티션은 자동으로 늘어나지 않습니다..

디스크를 더 꼽아 OS에 인식시켰을때도 OS의 파티션은 당연히 늘어나지 않습니다..

만일 디스크를 여러개 꼽아서 더 큰 레이드볼륨을 만들수 있다면 그 레이드 볼륨을 만들고 거기에 모든 데이터를 쏟아붇고 맨마지막에 부팅만 그 새로운 볼륨으로

하게 하면 원하시는 작업과 비슷한 작업이 되기는 합니다.. (어짜피 새로운 볼륨으로 부팅하려면 시스템 재부팅을 해야 합니다..)


QnA
제목Page 26/5731
2015-12   1793346   백메가
2014-05   5268301   정은준1
2009-09   8256   GoodWolf
2012-11   4517   AKA지니
2015-11   3930   jack33
03-06   581   오임
2021-09   3323   무명인12
2012-11   6010   MemoryDB
2015-11   4463   2FluF
2017-12   6550   아마데우쓰
2017-12   4394   처버
2017-12   5851   JandD
2017-12   5969   무아
2019-03   3772   노아디
04-07   539   Joooo
2012-12   6183   박성만
2019-03   3355   가온누리I강…
2019-03   2921   신은왜
2021-10   3718   Setila
2021-10   2547   머라카는데
2014-08   4769   2CPU최주희
2020-05   5336   탁영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