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781598 |
25 |
2015-12
1781598
1 백메가
|
|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7) |
정은준1 |
2014-05 |
5256657 |
0 |
2014-05
5256657
1 정은준1
|
114412 |
N100 전원 (6) |
Sakura24 |
03-27 |
518 |
0 |
03-27
518
1 Sakura24
|
114411 |
MFxAPP 접속기 설치파일이 필요합니다.. (3) |
에루샤 |
03-27 |
275 |
0 |
03-27
275
1 에루샤
|
114410 |
하드 천공기를 구입하려고 하는데요. (3) |
구웃 |
03-27 |
466 |
0 |
03-27
466
1 구웃
|
114409 |
일반 하드 접근시 가끔 5초전후 대기 되는 현상 (9) |
착하게살자2 |
03-27 |
434 |
0 |
03-27
434
1 착하게살자2
|
114408 |
x99 듀얼보드인데 타워형쿨러 간섭이 있을까요? (6) |
박 |
03-27 |
471 |
0 |
03-27
471
1 박
|
114407 |
sata 확장카드 속도 엄청 느리나요? (12) |
불멸의샌디… |
03-27 |
664 |
0 |
03-27
664
1 불멸의샌디…
|
114406 |
hyper-v로 만든 가상머신에서 호스트와 분리된 환경으로 키보드를 사용하고 싶습니다. (2) |
bskki |
03-27 |
349 |
0 |
03-27
349
1 bskki
|
114405 |
ECS h310h5-m7 v2.0 패스워드 리셋 실패 (2) |
2CPU최주희 |
03-27 |
421 |
0 |
03-27
421
1 2CPU최주희
|
114404 |
안드로이드 스마트폰 분실을 대비해서 어떤 작업을 해두나요 ? (11) |
화란 |
03-26 |
476 |
0 |
03-26
476
1 화란
|
114403 |
이사를 갔는데 인터넷을 오피스넷으로 바꿨습니다 |
범이님 |
03-26 |
532 |
0 |
03-26
532
1 범이님
|
114402 |
스마트폰 뒷판/베젤 접착/씰링 테이프 ? 접착제 ? 뭘 사야할까요 ?? (15) |
화란 |
03-26 |
460 |
0 |
03-26
460
1 화란
|
114401 |
미세먼지가 심한데 잠깐나가는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8) |
불멸의샌디… |
03-26 |
462 |
0 |
03-26
462
1 불멸의샌디…
|
114400 |
DELL T7820 전면베이 활용법? (5) |
리아레네트 |
03-26 |
461 |
0 |
03-26
461
1 리아레네트
|
114399 |
nvme 속도 질문 (8) |
불멸의샌디… |
03-26 |
544 |
0 |
03-26
544
1 불멸의샌디…
|
114398 |
안녕하세요.. (3) |
신인세력 |
03-26 |
525 |
0 |
03-26
525
1 신인세력
|
114397 |
안녕하세요.. (7) |
신인세력 |
03-26 |
513 |
0 |
03-26
513
1 신인세력
|
114396 |
폰이 자동으로 종료되게하는 어플 있을까요? (6) |
불멸의샌디… |
03-26 |
486 |
0 |
03-26
486
1 불멸의샌디…
|
114395 |
M.2 Wi-Fi 브라켓 문의드립니다. (5) |
통신버필 |
03-25 |
407 |
0 |
03-25
407
1 통신버필
|
114394 |
고성능 cpu 탑재 홈서버 구축 고견 부탁드립니다~ (40) |
Pathway |
03-25 |
801 |
0 |
03-25
801
1 Pathway
|
114393 |
ip카메라 움직임감지녹화 (10) |
po2481 |
03-25 |
423 |
0 |
03-25
423
1 po2481
|
평소엔 멀쩡한데 1달에 1~2번 (많으면 3~5번) 랜덤으로 BSOD 띄우면서 죽어버립니다
===> 이거 보자 마자 CPU가 ES 아닐까.. 유사한 경험이 있었습니다.
1. Bugcheck 코드
BUGCHECK_CODE: 0xD1 (DRIVER_IRQL_NOT_LESS_OR_EQUAL)
이전 분석과 동일하게 0xD1 오류가 발생했습니다.
즉, 드라이버가 너무 높은 IRQL에서 잘못된 메모리 주소를 접근했다는 의미입니다.
2. 충돌 발생 위치 및 관련 모듈
IRQL 레벨: 2 (DISPATCH_LEVEL)
충돌한 메모리 주소: 0xB8
충돌 원인 드라이버: USBXHCI.sys
오류 발생 함수: Bulk_Transfer_CompleteCancelable
🔍 분석 결과 요약
USBXHCI.sys는 USB 3.0/3.1 xHCI 컨트롤러 드라이버이며, USB 장치와의 데이터 전송을 처리하는 역할을 합니다.
Bulk_Transfer_CompleteCancelable 함수에서 오류가 발생했는데, 이는 USB 대량 전송(Bulk Transfer) 완료 시 취소 가능한 작업을 수행하는 부분입니다.
이 문제는 잘못된 포인터 참조, USB 장치와의 호환성 문제, 또는 드라이버 버그로 인해 발생할 가능성이 큽니다.
3. 주요 원인 분석
(1) USB 드라이버 충돌
USBXHCI.sys가 충돌한 것으로 보아 USB 컨트롤러 또는 장치 문제일 가능성이 큼.
특정 USB 장치와의 통신 오류, 드라이버 버그, 또는 잘못된 메모리 접근 문제 발생 가능.
(2) USB 장치 또는 포트 문제
특정 USB 장치를 연결하거나 제거할 때 충돌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음.
USB 허브를 사용하는 경우, 직접 연결하여 테스트 필요.
(3) 메모리 관리 문제
IRQL이 높은 상태에서 페이지 가능한 메모리를 접근하여 충돌 발생 가능.
일반적으로 드라이버가 할당 해제된 메모리를 접근할 때 발생.
4. 해결 방법
✅ 1) USB 드라이버 업데이트 및 재설치
USBXHCI.sys는 Windows 기본 드라이버이므로, 제조업체에서 최신 드라이버가 제공되는지 확인 필요.
업데이트 방법
Win + X → 장치 관리자(Device Manager)
"USB 컨트롤러" 항목에서 USB xHCI 호스트 컨트롤러 우클릭 → 드라이버 업데이트
제조사 홈페이지에서 최신 드라이버 다운로드 후 설치
✅ 2) USB 장치 확인
최근 연결한 USB 장치 제거 후 테스트
문제가 발생하는 특정 USB 장치가 있는지 확인.
USB 허브 사용 시, 직접 연결하여 테스트.
✅ 3) 시스템 파일 검사 및 복구
sfc /scannow
DISM /Online /Cleanup-Image /RestoreHealth
Windows 시스템 파일 손상 여부 검사 및 복구.
✅ 4) 메모리 검사 (RAM 문제 가능성)
Windows 메모리 진단 도구 실행 (mdsched.exe)
✅ 5) BIOS 및 칩셋 드라이버 업데이트
USB 컨트롤러는 메인보드 칩셋 드라이버와 연관됨.
메인보드 제조사 홈페이지에서 최신 BIOS 및 칩셋 드라이버 업데이트.
✅ 6) Windows 업데이트
Windows 10 버전: 10.0.14393.7870 (RS1) → 상당히 오래된 빌드.
최신 업데이트 적용하여 드라이버 호환성 및 안정성 개선.
결론
현재 버그 체크 코드는 USB 컨트롤러 드라이버 (USBXHCI.sys) 문제로 인해 충돌 발생했음을 나타냄.
드라이버 업데이트, USB 장치 점검, Windows 업데이트 등을 통해 해결 가능.
추가 minidump 분석 시 더 정밀한 원인 파악 가능.
🚀 위 해결 방법을 순차적으로 시도해보고, 추가 오류 발생 시 다시 분석해드릴 수 있습니다.
dump 다 지워버렸는데, 내용은 별 차이 없어요 (주소만 바뀌고, 똑같은 내용)
장치 특징상 빌드 바꿀 수 없습니다 (LTS니까 여전히 업데이트받을 수 있고, 최신 설치 꼬박꼬박 하는데 변하는게 없음)
잡았습니다. .. iDRAC 펌웨어를 중간 건너띠고 최신으로 올렸던 놈인데..
종잡을 수 없었습니다... 펌웨어를 과거 것으로 돌리니 아주 깔끔한 정상이 되었습니다.
~~~~~~~~~~~~~~~~~~~~~~~~~~~~
DRIVER_IRQL_NOT_LESS_OR_EQUAL
🚨 DRIVER_IRQL_NOT_LESS_OR_EQUAL 오류 원인
오류 코드: DRIVER_IRQL_NOT_LESS_OR_EQUAL
오류 파일: 주로 wdf01000.sys, ndis.sys, nvlddmkm.sys 등 특정 드라이버 관련 파일
발생 원인: 주로 잘못된 드라이버 또는 메모리 액세스 오류로 인해 발생하는 블루스크린(BSOD) 오류
🚨 Windows 10 LTSB 2016 x64에서 Wdf01000.sys 오류 문제
Wdf01000.sys는 **Windows Driver Framework (WDF)**의 핵심 드라이버로,
커널 모드 드라이버와 연관된 중요한 시스템 파일입니다.
이 파일에서 오류가 발생하면 주로 **블루스크린(BSOD)**과 함께 시스템이 충돌할 수 있습니다.
주요 원인:
잘못된 드라이버 업데이트 또는 충돌
손상된 또는 오래된 장치 드라이버
하드웨어 문제 (RAM, SSD/HDD 오류)
Windows 시스템 파일 손상
과부하 상태의 오버클러킹 (CPU/GPU/RAM)
바이러스 또는 멀웨어 감염
과도한 보안 소프트웨어 (백신 충돌)
🎯 결론
🚀 DRIVER_IRQL_NOT_LESS_OR_EQUAL 오류는 잘못된 드라이버 또는 메모리 오류가 가장 흔한 원인입니다.
추천 해결 순서
1️⃣ sfc /scannow & DISM /RestoreHealth 실행
2️⃣ 최신 드라이버 업데이트 또는 롤백
3️⃣ RAM & SSD/HDD 검사 (mdsched.exe, chkdsk /f /r)
4️⃣ 안전 모드에서 테스트
5️⃣ Windows 업데이트 & 바이러스 검사
6️⃣ 오버클러킹 해제
7️⃣ 시스템 복원 또는 클린 설치 (최후의 방법)
~~~~~~~~~~~~~~~~~~~~~~~~~~~~
따로 LTS 버전으로 관리되는 버전인지 모르겠네요.
리눅스는 버전 배포판 이력정보가 머리에 그려지는데 windows는 버전 이력관리가 머릿속에 떠오르지는 않네요.
https://learn.microsoft.com/ko-kr/lifecycle/products/windows-10-2016-ltsb
한마디로 저런 커널 부분의 내용물은 Server 2016 기준으로 처리하면 됩니다 (심지어는 업데이트까지 공유됨)
이넘 공식 지원 OS에 10 있지도 않은지라 (11만 있음) 제조사 지원도 못 받습니다
참고로 OS 재설치해서 시험해본적도 있는데 (장비 교체전 장시간 시험함), 그때도 증세 있었어요 (이정도면 마소가 원흉인거같음)
다만 증세가 있던없던간에 커피를 계속 굴릴 순 없었는지라 진행해서 교체했습니다
드라이버 24년보다 옛날것 1개도 없고, 오버는 애초에 BIOS 메뉴에 있지도 않아요
여기까지 해봤는데 해결이 안 되서 글 남겨본겁니다
하위 호환성 하드웨어로 조합을 찾아야 될거도 같네요.
스님이 절이 싫으면 떠나야 하는데 반대네요. ^^ 스님은 그대로인데 절을 바꿔야 하는 수준같아 보입니다.
상업버전이나 해당 os 버전을 꼭 사용해야 한다면 쉽지는 않아 보이네요.
원인을 일을키는 장치를 찾아서, 부팅할때 해당 장치를 아예 사용못하게 막고, 호환성이 확보된 device를
추가로 붙여서 방법을 찾는것도 방법인데 어떤 장치가 오류 유발자인지 디버깅을 하는수밖에는 없겠네요.
CPU와 연관된 부분이면 노답일것도 같네요.
가끔 보면 ACPI하고 죽네사네 하는 케이스가 있습니다. 커널 뻣는 증상이 있긴합니다.
~~~
Windows 10 Enterprise 2016 LTSB(Long-Term Servicing Branch)는 Windows 10 버전 1607(코드명: 레드스톤 1)을 기반으로 하며,
이는 Windows Server 2016과 동일한 커널을 공유합니다. 따라서, Windows 10 LTSB 2016은
Windows Server 2016의 커널과 Windows 1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결합한 형태라고 볼 수 있습니다.
현재 가장 최신의 LTSB/LTSC(Long-Term Servicing Channel) 버전은 Windows 10 Enterprise LTSC 2021(버전 21H2)이며,
2021년 11월 16일에 출시되었습니다.
이 버전은 2027년 1월 12일까지 주류 지원(Mainstream Support)을 받으며, IoT Enterprise LTSC 2021의 경우
2032년 1월 13일까지 연장 지원(Extended Support)을 받습니다.
Windows 10 Enterprise 2016 LTSB는 2026년 10월 13일까지 연장 지원을 받습니다.
가장 추천하는 안정적인 조합
인텔: Intel Core i7-6700 + ASUS H170 Pro 메인보드 (완벽한 호환성 보장)
AMD: AMD Ryzen 7 1700 + MSI B350 Tomahawk 메인보드 (Ryzen 1세대 내에서는 가장 안정적)
위 조합을 사용하면 Windows 10 LTSB 2016 x64에서 가장 안정적으로 시스템을 운영할 수 있습니다.
~~~
API등의 문제로 커널 버전을 바꿀 수 없는 상태입니다
하단에 적힌 내용중 정정해야할게 있다면 아마 ESU까지 넣어버리면 지원 기간 상한 29년이나 그 이후까지 될꺼에요
커피조차 퇴물 + 저성능이라고 퇴역시킨 판국에 스카이나 Zen1따위는.... (현제 Zen4 16c)
웃기는게 커널 버전은 이런데도 요구 사항상 최대 부하는 적어도 8c쯤은 되어야 감당 가능한 수준이네요 (90%의 시간은 idle인데, 순간 부하로 많이 걸리는 경우가 있음)
링크에서 다운 받으시고,
http://www.mediafire.com/file/wt37sbsejk7iepm/PowerSettingsExplorer.zip
관리자로 실행해 주세요.
실행후,
프로세서 전원 관리부분만 캡처해서 보여주세요,
그리고
1, 제어판 전원옵션
2, 고급 전원 관리옵션
3, 프로세서 전원관리
4, 최소,최대만 캡처해서 보여주세요.
프로세서 전원 관리 하나씩 다 훌어봤는데, 죄다 기본값입니다
애초에 전원 관리 디스크/모니터/자동 절전 진입 시간 말고 다 기본값인지라 특별한게 없습니다
BSOD로 재부팅된 직후 상태 확인하고 다시 수동으로 재부팅하기 직전의 로그입니다
문젠 몇년간 재부팅될떄마다 쳐다봐도 아무것도 발견 못한점이죠
아무런 특이 사항이 남는게 없다보니 minidump까지 쳐다보게 되었네요
이것저것 해보다가 지난 1달 넘게 1번도 애 안 먹이길래 끝난줄 알았는데 오늘 아침에 갑자기 또 1번 발생해서 글 남기게 되었습니다
이게 심하면 하루에 2번도 그러고, 괜찮을땐 몇주씩 멀쩡한지라 분석이 더 곤란하네요 (증세 재현이 힘듬)
캡처자료 잘 보았습니다.
PowerSettingsExplorer에서 특별한 점은 없구요,
전원옵션에서
균형 조정 쓰지 마시고, 고성능(이상) 사용하세요.(셋팅을 바꿔서 사용하세요.)
사용후 결과좀 알려주세요.
지금 균형상태에서 코어 전력 3왓인데, 고성능 맞추면 60은 찍어요
잘 해결되셨으면 합니다.
대기 전력 최대한 적게 나오면서 피크 성능은 높게 뽑을 수 있는 하드웨어 구성으로 해놨는지라 대기 전력 50왓도 안 됩니다 (심지어는 팬 개수까지 필요 개수만 쓰게 구성)
벌서 해당 증세 발견한지 8년쯤 되었는데 아직도 해결 못 본 상태입니다 (반쯤 포기한 상태지만 혹시나해서 글 올린 상태입니다)
무슨 캡춰 AV장치 연결해서 쓰고 있나요? 그쪽 드라이버 오류로 덤프 떨어졌습니다.
USBXHCI.SYS 원인은 이 드라이버인데 최신드라이버나 안정드라이버 찾아보세요. USB포트 문제 아니고 거기에 연결하는 장치 드라이브 이슈일거 같습니다.
물린 USB라곤 HID밖에 없는 상태니까요 (이게 젤 황당한점인데 USB 장치 거의 달린것도 없는데 USB장치땜에 볼꺼같은 BSOD가 뜸)
심지어는 OS클린 설치하고 HID나 허브정도밖에 물린적이 없어도 증세가 발생하네요
usbxhci라면 OS구성 요소라 마소가 업데이트해줘야 최신이 생깁니다 (AMD는 관심이 없는지 윈8이후 USB 드라이버 손 놓은지 오래)
마이그레이션 과정에서 일단 drvstore 싹 정리해서 해당 클래스 1개도 남은게 없어요
시스템 전체 사양이 어떻게 되나요??
마더보드 모델명 (바이오스 버젼)
CPU모델명
메모리 모델명
등등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