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722 |
Windows Me를 실제 PC에 설치해보려고 합니다. (14) |
Software1995 |
03-24 |
565 |
0 |
03-24
565
1 Software1995
|
8721 |
포맷 문의 드립니다. (6) |
디브이 |
03-24 |
318 |
0 |
03-24
318
1 디브이
|
8720 |
구형 울트라나브 키보드 분리. (2) |
오성기 |
03-24 |
351 |
0 |
03-24
351
1 오성기
|
8719 |
델서버에서 윈도우용으로 델서버 상태 체크하는 프로그램이 있나요? (6) |
하양까망 |
03-24 |
329 |
0 |
03-24
329
1 하양까망
|
8718 |
커넥터 관련 문의입니다. |
바다늑대 |
03-24 |
238 |
0 |
03-24
238
1 바다늑대
|
8717 |
FTP 조회 타임아웃 현상 (7) |
임진욱 |
03-23 |
399 |
0 |
03-23
399
1 임진욱
|
8716 |
인텔 s2600cw 보드 부팅순서변경(해결성공) (2) |
아이씨에이 |
03-23 |
352 |
0 |
03-23
352
1 아이씨에이
|
8715 |
92mm 조용한 팬 있을까요? (8) |
찬이 |
03-23 |
501 |
0 |
03-23
501
1 찬이
|
8714 |
구축 빌라 인터넷 각방 문의 (15) |
fnafnr2 |
03-22 |
645 |
0 |
03-22
645
1 fnafnr2
|
8713 |
공유기 뚫리기 쉽나요? (26) |
Sakura24 |
03-22 |
784 |
0 |
03-22
784
1 Sakura24
|
8712 |
다음 사양에서 Windows Me, 2000, XP (개정판 말고)를 설치하려면? (9) |
Software1995 |
03-22 |
553 |
0 |
03-22
553
1 Software1995
|
8711 |
AI 발전으로 2030년 까지 사라질 직업 8억개? (3) |
Rich |
03-22 |
554 |
0 |
03-22
554
1 Rich
|
8710 |
컴터 공학 관련 업종이신분 계실까염? (9) |
승리의샌디… |
03-22 |
631 |
0 |
03-22
631
1 승리의샌디…
|
8709 |
H110 보드가 있는데 G4560에서 i3 7100 사려고함니다 (9) |
승리의샌디… |
03-22 |
532 |
0 |
03-22
532
1 승리의샌디…
|
8708 |
RTX A2000 렌더링 과 출력 (9) |
블라블라 |
03-21 |
531 |
0 |
03-21
531
1 블라블라
|
8707 |
Adapter DC 잭 규격을 알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7) |
혼자가는길 |
03-21 |
432 |
0 |
03-21
432
1 혼자가는길
|
8706 |
공유기 문의 (7) |
Sakura24 |
03-21 |
463 |
0 |
03-21
463
1 Sakura24
|
8705 |
100mbps 는 qos걸리나요? (5) |
Sakura24 |
03-21 |
484 |
0 |
03-21
484
1 Sakura24
|
8704 |
다중 모델 지원 AI 플랫폼 추천 (6) |
Software1995 |
03-21 |
454 |
0 |
03-21
454
1 Software1995
|
8703 |
윈도우 라이선스건으로 문의드립니다. (8) |
디브이 |
03-21 |
576 |
0 |
03-21
576
1 디브이
|
다만 M.2는 규격상 연결된 인터페이스를 보장하지 않기 때문에 반드시 PCI-e 신호가 나온다는 보장은 없습니다. 또한, 어떻게 PCI-e를 배선해두었냐에 따라선 메인보드의 모든 PCI-e 슬롯과 M.2 NVME슬롯을 동시에 쓰는 것이 불가능한 경우도 있습니다. 그래서 어차피 NVME를 연결 못 하는 상황이라면 대신 SATA라도 꽂을 수는 있겠지요.
M.2라는 커넥터 스팩이 생겼을때 NVME와 SATA 두가지 제품이 나왔습니다..
SATA SSD / mSATA SSD/ M.2 SATA SSD 이 세가지는 모양만 다를뿐 실제적으로는 똑같습니다..
새로운 마더보드와 PCIe 의 발전으로 PCIe와 다이랙트로 연결되는 NVME 기기들이 같이 발전을 하였고 (바이오스도 같이 바뀌고 발전하였습니다..)
실제 중요한 것은 NVME가 SATA보다 속도나 성능이 몇배는 차이가 납니다..
그래서 사람들이 선호하는 것이 더 빠른 NVME를 선호하게 되었고요..
현재 시장에서 M.2 SATA SSD를 제조하는 곳은 메이져 제조사가 아니며 대만의 산업용 장비나 만드는 몇몇 제조사에서 제품이 나옵니다..
아직까지 M.2 SATA SSD를 구해 사용하는 이유는 가지고 있는 장비가 좀 옛날 것이라 그렇다고 봐야 합니다..(M.2 NVME를 설치하지 못한다는 것은 아니지만)
그리고 Gen3 PCIe 를 사용하는 인텔 6/7세대급 마더보드들은 M.2 슬롯이 2개 인 경우 NVME와 SATA를 둘 다 지원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 때는 NVME를 보통 사용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현재는 NVME가 재일 많이 팔리는 PC쪽의 표준이며 마더보드 한개에 M.2 NVME를 6~10개까지 설치가 가능한 시대가 되었습니다..
SSD vs HDD vs NVMe vs SATA vs mSATA vs M2
PCIe 기술에서 세대가 하나 올라가면 속도가 2배가 됩니다..
M.2 NVME 도 똑같이 Gen 이 올라갈수록 속도나 성능이 올라갑니다.. 그리고 최대 용량도 올라갑니다..
대신 Gen 이 올라가면 열이 마니 나는데 이는 나중에 반도체 제조 기술이 해결해주어야 하는 문제점입니다..
지금 M.2 Gen 5 NVME 최대용량이 아마 8TB 일겁니다..
그 외 현재 PCIe Gen5 기술을 사용하는 마더보드는 PC는 SATA 포트 갯수가 줄어 버렸고(6개 -> 최대 2개) 서버는 SATA포트가 아예 없어져 버렸습니다..
NVME가 표준입니다..
m.2 초기에 nvme 지원을 하지않은 보드 디자인은 어쩔수없이 m.2 sata 밖에 못씁니다. 노트북도요.
요즘같이 소형이나 미니 피시를 선호하는 환경에선 매우 중요한 일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