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VME VS M2 SATA SSD 둘중 하나 산다면

   조회 879   추천 0    

쪽팔리면 질문하지 맙시다. 소중한 답변 댓글을 삭제하는건 부끄러운 일 입니다 


NVME SSD 사는게 낫겠죠?


M2 SATA는 보통 왜 사시나요? 속도가 SATA3 처럼 낮던데...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piloteer 03-17
그래서 보통 안 사지요.. 몇 년 전에 노트북 같은 데서 2.5인치 SSD보다 작은 공간에 넣을 수 있으니까 좀 쓰였었고.. 신품은 거의 수요 없습니다.

다만 M.2는 규격상 연결된 인터페이스를 보장하지 않기 때문에 반드시 PCI-e 신호가 나온다는 보장은 없습니다. 또한, 어떻게 PCI-e를 배선해두었냐에 따라선 메인보드의 모든 PCI-e 슬롯과 M.2 NVME슬롯을 동시에 쓰는 것이 불가능한 경우도 있습니다. 그래서 어차피 NVME를 연결 못 하는 상황이라면 대신 SATA라도 꽂을 수는 있겠지요.
     
감사함니다
박문형 03-17
mSATA 가 그 전에 존재하였고

M.2라는 커넥터 스팩이 생겼을때 NVME와 SATA 두가지 제품이 나왔습니다..

SATA SSD / mSATA SSD/ M.2 SATA SSD 이 세가지는 모양만 다를뿐 실제적으로는 똑같습니다..

새로운 마더보드와 PCIe 의 발전으로 PCIe와 다이랙트로 연결되는 NVME 기기들이 같이 발전을 하였고 (바이오스도 같이 바뀌고 발전하였습니다..)

실제 중요한 것은 NVME가 SATA보다 속도나 성능이 몇배는 차이가 납니다..

그래서 사람들이 선호하는 것이 더 빠른 NVME를 선호하게 되었고요..


현재 시장에서 M.2 SATA SSD를 제조하는 곳은 메이져 제조사가 아니며 대만의 산업용 장비나 만드는 몇몇 제조사에서 제품이 나옵니다..

아직까지 M.2 SATA SSD를 구해 사용하는 이유는 가지고 있는 장비가 좀 옛날 것이라 그렇다고 봐야 합니다..(M.2 NVME를 설치하지 못한다는 것은 아니지만)

그리고 Gen3 PCIe 를 사용하는 인텔 6/7세대급 마더보드들은 M.2 슬롯이 2개 인 경우 NVME와 SATA를 둘 다 지원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 때는  NVME를 보통 사용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현재는 NVME가 재일 많이 팔리는 PC쪽의 표준이며 마더보드 한개에 M.2 NVME를 6~10개까지 설치가 가능한 시대가 되었습니다..
     
감사드림니다
박문형 03-17
https://www.youtube.com/watch?v=r3Jy5dHOj3g&t=18s

SSD vs HDD vs NVMe vs SATA vs mSATA vs M2



PCIe 기술에서 세대가 하나 올라가면 속도가 2배가 됩니다..

M.2 NVME 도 똑같이 Gen 이 올라갈수록 속도나 성능이 올라갑니다.. 그리고 최대 용량도 올라갑니다..

대신 Gen 이 올라가면 열이 마니 나는데 이는 나중에 반도체 제조 기술이 해결해주어야 하는 문제점입니다..

지금 M.2 Gen 5 NVME 최대용량이 아마 8TB 일겁니다..

그 외 현재 PCIe Gen5 기술을 사용하는 마더보드는 PC는 SATA 포트 갯수가 줄어 버렸고(6개 -> 최대 2개) 서버는 SATA포트가 아예 없어져 버렸습니다..

NVME가 표준입니다..
m.2가 처음 생겼을때 일종의 과도기적 제품이죠.
the촌놈 03-17
느리다고 못 쓰는 게 아니라 생각보다 유용한 경우가 많죠.  NVME는 커녕 sata의 의 성능이 부족한 경우도 별로 없죠.
     
감사함니다 님들
겨울나무 03-17
이론적으로 보드 칩셋에서 지원하는 sata 포트수 만큼 m.2 사용이 가능합니다. 칩셋이 sata 8개 지원하면 m.2 sata 8개 사용가능
m.2 초기에 nvme 지원을 하지않은 보드 디자인은 어쩔수없이 m.2 sata 밖에 못씁니다. 노트북도요.
Ngff 는 저라면 안삽니다
m.2 포트를 쓰면 일반 피시에서는 저장장치가 보드와 일체화 됩니다
요즘같이 소형이나 미니 피시를 선호하는 환경에선 매우 중요한 일입니다


QnA
제목Page 16/5731
2014-05   5267797   정은준1
2015-12   1792819   백메가
2018-05   8309   병맛폰
2015-01   8812   Midabo
2010-10   7735   ZEBE
2010-11   8807   MikroTik이진
2017-03   4737   AplPEC
2013-08   10928   김건우
2018-05   4017   김건우
2010-11   6530   시나브로
2017-03   6990   가을바람
2020-10   3493   fmkldmfkl
2015-01   6455   김건우
2013-09   9933   강웅식
2016-03   7571   김건우
2010-12   9086   김영한
2018-05   4541   민지파파
2020-10   3104   Negatic
2015-01   29099   하늘하늘
2017-03   4423   Tu7885
2016-04   4320   초보IT
2013-09   19122   HEUo김용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