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os 컨트롤러 설정은 어떻게 알 수 있을까요?

   조회 337   추천 0    

쪽팔리면 질문하지 맙시다. 소중한 답변 댓글을 삭제하는건 부끄러운 일 입니다 


장비를 얻었는데 거의 정보가 없습니다.

그나마 나오는게 u+ 오피스넷에 ddos 등의 방지등으로 쓴다는데 개인이 쓰거나 설정을 변경하기 위해서 컨트롤이 필요할거 같은네요.


mgmt 포트에 내부망 연결해서 ip 설정부터 시작하는지

qos 컨트롤러의 관리에 대해 문의 드립니다.


특히나 관리자 비범등이 설정되어 있으면 초기화가 가능한지도 궁금하네요.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김강호 03-30
http://intigate.com/
기술지원에 문의해보셔야 할거 같습니다.
     
겨울나무 03-30
어느 밴더나 마찬가지지만 거래되지 않은 개인에게 메뉴얼 제공은 제한하고 있습니다.
박문형 03-30
저런 장비는 대형 통신사에 OEM식으로 공급되기에 기술 자료나 메뉴얼을 구하기가 어렵습니다..

다산네트워크나 유비쿼스 스위치들도 비슷합니다..

우선 제조사에 메뉴얼을 제공해 줄 수 있는지 확인이 필요합니다..
제온프로 03-30
대부분 리눅스 기반입니다.
config 파일이나 root 권한등으로..
초기화 하거나 변경가능하죠.
보통은 부팅단계에서 리커버리 모드로 접근하여 root 권한을 획득하여.
설정 변경이나 초기화를 하죠.

QoS 나 DDOS 는 해당 아이피를 관리하고 보호 하는 것이죠..

일정 수준의 대역폭을 보장하거나..
어떤 아이피가 필요 이상으로 과도하고 접속을 하면. 접속을 차단하는 관리를 하는 것이죠..
     
겨울나무 03-30
reset 버튼이 있기에 전원 인가 중 한 10초 이상 리셋버튼 눌러봄
전원오프 상태에서 리셋버튼 누르는 중에 전원 인가 후 10초 이상 지속

리셋 누르면 전원 오프되듯이 팬과 인디케이터 모드 꺼진 상태가 지속되고 버튼 떼면 전원 인가되는 식입니다.

 mgmt 포트에 스위치 연결해봐도 고정ip 설정된듯이 dhcp 서버상 잡히는건 없구요.
그래서 console 포트에 시리얼 to console 변환케이블 연결했으나 com1 포트는 잡히지만 연결 시도시 액세스 거부 뜨면서 접속 불가인 상태입니다.


QnA
제목Page 1/5726
2014-05   5248908   정은준1
2015-12   1774220   백메가
10:33   27   구차니
01:20   107   검은신발
04-08   193   inquisitive
04-08   205   victor1
04-08   172   우유맛바나나
04-08   192   코로리
04-07   301   Joooo
04-07   262   sasaz
04-07   251   과암
04-07   670   Sakura24
04-07   220   검은신발
04-07   252   정무현
04-07   208   아이브릿지
04-07   270   보탕
04-07   166   ItsJaemin
04-06   373   langrisser
04-06   391   올닉스
04-07   149   삐돌이슬픔이
04-05   460   콜크
04-05   548   총알탄사나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