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먹는 고사양 PC 1대 vs 저전력 PC 여러개

   조회 644   추천 0    

1901;팔리면 1656;문Ȣ16;1648; 맙시다. 소1473;한 NJ13;변 댓글1012; 삭1228;Ȣ16;lj16;,148; ǥ12;-124;러운 1068; 1077;니다 

시간NJ17; 300W 먹lj16; CPU 44C 88T, RAM 512G 서버가 1080;습니다.

근데 1204;기세가 한달 3~4만원 1221;도 나오lj16;데 1200;1204;/141; 0120;니PC(5825U) 5~6대/196; 갈까 고0124;1473;1077;니다.

2cpu님들1008; 뭐가 더 나1008; 선택1004;/196; 보1060;실까요?

zmzmzmz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씨디공장 04-04
무슨 작업을 하시는데요?
44C 88T 는 2696 V4 or 2699 V4 로 추정됩니다만...
     
김동자맨 04-04
2699V4 맞습니다 ㅎㅎ
개인서버고 이것저것 테스트 용도로 쓰고있습니다.
AI, 오픈소스 서버 등등등등....
전일장 04-04
5825u가 전성비랑 CPU깡성능 둘 다 더 좋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그런데 저런 미니pc들 대부분 중국산이어서 안정성 문제의 가능성과 확장성(HDD/SSD, RAID, GPU, NIC등)에 제약이 있습니다.

작업 종류 따라서 판단하시는게...
     
김동자맨 04-04
확장성(GPU/RAID/NIC)은 필요없을거 같습니다.
저도 걱정되는게 중국산이긴한데...
쿨링을 잘 해주면 되지 않을까...하긴합니다...
          
전일장 04-04
중국산 애들이 쿨링이 진짜 극과극이어서.. 유명한 중국 브랜드들(비링크 등등)도 쿨링팬 죽는다는 말이 자주 들려옵니다.
검은콩 04-04
저라면 팔고 장터 epyc 워크스테이션 들일거같네요...
     
김동자맨 04-04
epyc 들이는거나, 2699v4 쓰는거나 둘다 전기세는 동일하지 않을까요?
지금 문제는 성능보단 전기세부분이라서요
          
검은콩 04-04
둘다 써봣는데 epyc이 절반이하로 먹네요. 성능도 epyc 이 훨 좋아요
               
박문형 04-04
제 PC 도 모니터 포함 대략 1A 정도 전기를 사용하니 220Wh 정도로 봐야 합니다.. 4코어짜리죠..

클럭은 4기가급이니 안 딸리지만 멀티 작업용으로는 무리 입니다.


현재 E5-2600V4 시스템은 중고 시장에서 작업용/업무용 시스템으로 진짜 돈 없는 분들 용으로 봐야 합니다..

인텔 스케일러블 제온 2세대는 되어야 그럭저럭 작업용 중고 가성비 시스템으로 볼 수 있는 듯 합니다..

작년까지는 인텔 스케일러블 1세대가 가성비 시스템이 였으나 올해 와서 1세대 CPU는 똥값이 되어 버려 전체비용으로는 2세대도 노려볼 만 합니다..
dragoune 04-04
미니PC가 더 좋지 않을까요?

비교군이 좀 다르긴 합니다만
라쿠텐 클라우드 쓰던 시절에 호스트가 2699V4 였는데 성능이 그다지 좋지 않더군요
테스트로 쓰던 노트북 5625u 쪽이 훨씬 성능이 잘나왔었습니다.
구차니 04-04
회사에 두고 전기 먹이기(!!)
gmltj 04-04
v4 는 전성비가 너무 떨어져서... 요즘꺼면 절반의 코어로 v4와 동일한 성능이 나오고 전기도 절반만 먹습니다.
시도니 04-04
브로드웰이 전성비가 안좋을텐데...

단일 cpu 성능은 요즘 i7이나 i9보다도 못할껄요..
maronet 04-04
서버/웍스테이션은 확장성이 좋은 대신 기본 소비전력이 높습니다. 그래서 부하량이 적은 경우에는 장시간 켜 놓고 사용할 때 미니 PC에 비해서 불리합니다.
미니PC는 기본소비전력이 낮습니다. 그래서 24시간 켜 놓고자할 때 유리합니다. 대신 용량이 작다보니 워크로드 처리를 위해 여러대 사용하면 서버와 결국은 비슷해집니다.
제 경우는 24시간 켜 놓아야 편한건(NAS, 블로그 서버 등) 미니PC에서 돌리고, 2 CPU 달린 서버는 필요할 때만 ON/OFF 해가면서 사용합니다.
     
김동자맨 04-04
오 그것도 좋은 방법이네요...
그러면 차라리 미니PC 몇대 사서 24시간 돌아야하는 서비스는 미니PC A에 두고 나머지는 BCD에 둬서 A가 BCD를 특정시간에 끄고 켜기하면 되겠네요...
          
maronet 04-04
Proxmox VE에 WOL로 노드 켜는 기능도 있어요 ^^ 서버가 WOL을 지원할지가 문제지만 ㅎ
스크립트로 IPMI 통해 켜게 구현하는 것도 방법이나, 서버 전원 연결하면 20W는 먹어서 전 멀티탭으로 껐다 켰다 합니다.
어른이 04-04
6710E 한대 두는게 전성비가 더 좋을수 있습니다.
     
maronet 04-04
6710E 사용한 서버는 기본 소비전력 얼마나 나오나요? 홈서버용으로 참 관심가는 CPU이기는 합니다.
박문형 04-04
미니PC로 하시는 작업을 감당할 수 있는지가 재일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두부깜바 04-04
지당하신 말씀입니다.
     
dateno1 04-04
브로드웰같은 유물이랑 비교하면 저것도 고성능이에요
봉래 04-04
개인가정 내 작업 수준에서 전기료를 줄이기 위해 어떤 행동시 보통은 그 행동이 전기료보다 많은 비용을 초래합니다...
     
piloteer 04-04
300w면 월간 에너지 소모량이 220kwh 정도 나오는데 그 정도면 주택 저압 전기료 기준으로 진짜로 바꾸는 게 장기적인 비용 절감이 될 수 있습니다.

다만 대체하는 데 필요한 컴퓨터의 댓수가 여러대라면 쉽지 않겠고, 미니PC 한두대로 커버할 수 있는 수준의 작업이 대부분이면 해볼만하겠다는 느낌이네요.
     
두부깜바 04-04
공감 100배~!
두부깜바 04-04
저는 vm 머신을 주로 돌리다보니 전기 먹는 것을 감수하고, 멀티코어 위주로 장비를 마련하지만,
하시는 작업이 cpu 총 부하에서 40% 미만이라면 다운그레이드를 고려해 보시는 것도 좋을 듯 합니다.
제가 워크스테이션에 vm 끼워 넣을 때, 작업중 연속 부하를 40% 정도로 맞춰서 세팅하는 편이거든요.
dateno1 04-04
애초에 300W으로 전기세 애기할졍도면 그냥 24/7가동을 포기하세요
ikaros7 04-04
2699v4 x2 --> 5825u로 가신다면, 전기요금 걱정하시는데 너무 많이 늘리실 거 없이 3대면 충분하실거 같아요.
코어 갯수를 맞추려고 6대 생각하신거 같은데, 5825U 쪽이 코어 당 성능이 1.5~2배 정도는 되어서요.
Rich 04-05
고성능 1대로 하는게 훨씬 나은 선택이라 생각 됩니다.
느린것을 사용하다 보면 느린 생각으로만 생각이 돕니다.

아예 저처럼 첨부터 느려도 상관없는일을 시킬려고 사용하지 않는이상 고성능 1대가 나은 선택 같습니다.


QnA
제목Page 3/441
04-07   333   보탕
04-07   241   ItsJaemin
04-06   452   langrisser
04-06   488   올닉스
04-07   250   삐돌이슬픔이
04-05   554   콜크
04-05   620   총알탄사나이
04-05   514   openbrain
04-04   526   서버같은인생
04-04   588   승리의샌디…
04-04   288   우주소년
04-04   400   Sakura24
04-04   259   삐돌이슬픔이
04-04   645   김동자맨
04-04   340   로컬스타
04-04   355   매니아1
04-03   502   httpd
04-03   509   올닉스
04-03   277   레나
04-03   485   비오는날우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