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서버 구성중에 mysql 연동관련해서 질문드립니다

openbrain   
   조회 580   추천 0    

쪽팔리면 질문하지 맙시다. 소중한 답변 댓글을 삭제하는건 부끄러운 일 입니다 

우선 가입한지 얼마 안되는 초보자입니다

가벼운 답변도 주신다면 최대한 찾아보며 적용시켜 보겠습니다.


아직 서비스 이전 개인 개발 단계여서 고정IP 및 DNS 가입상태는 아닙니다


하드웨어 구성은

스위칭 허브로 

웹서버PC , DB 서버PC , 스토리지(시놀로지)

각각 수동으로 ip 맞춰서 SMB 활성화되어 파일은 이동이 가능한 내부 네트워크 상태입니다


웹서버피씨는 맥북으로 apache php mysql-client 조합

DB 서버는 우분투 환경에 mysql-server 

이렇게 계속 진행해 가는 중인데 DB 연동 관련해서 초보자인지라 가닥이 안잡혀서 선배님들 조언을 듣고 좀 더 빨리 셋팅해보고자 합니다


질문 1) OS 가 달라도 괜찮은지?


질문 2) 웹서버에는 mysql client , db 서버에는 mysql server 설치가 맞는지? 

(mysql workbenchs 는 클라이언트 상품이라고 봐야하는지)


질문 3) 맥북이나 우분투에서나 터미널로 버전 생각 안하고 설치하는데 mysql 다른 버전들이 설치되는데 mysql 버전이 달라도 연동에 문제가 없는지?


질문 4) mysql 미러링이나 백업에 대한 무료나 가성비 좋은 솔루션 상품 추천 및 가이드링크 부탁드립니다


질문 5) mysql 설치 및 튜닝 관련해서 잘 가이드한 링크가 있다면 부탁드립니다


엔지니어 환경에 있다보니 여차저차 천천히 해보자 시작했는데 ㅎㅎ 막상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세팅하고 튜닝해가는 과정이 쉽지 않네요.. 무지한 질문이라도 조금 이해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어렵긴한데 컴퓨터 빠져들면 들수록 재미있네요

앞으로 선배님들 잘 부탁드립니다~




슬로우퀵퀵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system32 04-05
질문 1 ) 괜찮습니다. TCP기반으로 통신하기에 전혀 문제될 사항 없습니다.
질문 2 ) 맞습니다.
- Mac)mysql-client 설치를 통해서 PHP에서 DB 접속 가능합니다.
- Ubuntu) mysql-server 설치해서 DB운영 가능합니다.
- MySQL Workbench ) GUI 기반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입니다. 맥이나 윈도우에서 우분투 DB에 원격 접속해서 사용가능합니다.
질문 3) 보통은 큰 문제 없습니다
- 단, mysql 8.0부터 암호화 플러그인이 변경되어 오래된 클라라면 못알아 먹을수도 있습니다.
- 미묘하게 함수 / 문법이 다를수 있어서, 가능하면 버전 맞추는걸 추천드립니다.
질문 4 )
- mysqldump가 기본적으로 제공됩니다. 아니면 automysqlbackup 추천드립니다.
질문 5 ) 이건,, 가이드는 잘 모르겠네요,,

제 개인적인 생각으론
대규모 서비스가 아니라면 굳이 웹서버와 DB서버를 분리하시는 이유를 잘 모르겠습니다.
+ 굳이 안나눠도 되는 경우는 혼자 개발하는 테스트 프로젝트나, 성능보다 간편함이 더 중요한 경우 등입니다..
     
openbrain 04-05
설명 정말 감사드립니다
지금은 예비 없이 주 시스템만 구성하는 중이지만
나중에 이중화와 백업을 감안할때 디비를 나눠서 가야겠다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답변 기반해서 열심히 해봐야 겠습니다 ㅎㅎ
김제연 04-05
1) 달라도 상관 없습니다.
2) 서버쪽에만 mysql server 설치 하시면 되고 .. 다른건 사용하시는 언어에 따른 아답터를 사용해서 접속하시면 됩니다.
  - 그리고 그리고 웹서버 db서버만 있으면 되는게 아니라 웹서버 / 백엔드서버 / db서버 이렇게 구성되어야 합니다. 백엔드에서 사용하는 언어에 맞는 adapter로 ip 랑 비밀번호 설정해서 사용하시면 되고 원격에서는 접속 안되게 하셔야 하며 관리 하시기 불편하시면 ssl 터널링으로 접속해서 관리하시면 됩니다.
3) 버전이 틀리면 아예 리스토어가 안되는 경우들이 생깁니다.. 예를들어 .. 8버전 쓰는데 .. 최신이 13 버전이면.. 바로 안넘어가지고 .. 중간에 .. 8->10->11->13 이렇게 가야 하는 상황도 생깁니다..
4) 이건 제가 안써봐서..
5) 이건 사용자마다 틀려서 chatgpt 나 구글 검색으로 하시는게
엠브리오 04-05
1. 무료인 리눅스를 놔두고 굳이 MacOS를 쓸 이유가 별로..
OS 마다 명령어도 미묘하게 다릅니다. 나중엔 헷갈리는 경우도 생깁니다.
이게 리눅스 명령어였는지 아니면 MacOS 명령어였는지..
리눅스로 통일하는게 나을껍니다. 돈이 많으면 MacOS 기계로 통일하는 것도 방법이죠.

2. 웹서버 라고 해도 당연히 DB서버는 따로 있기 때문에 DB에 접속해야 하는 입장이므로 DB 클라이언트 입니다.
mysql workbench는 무슨 프로그램인지 모르겠네요. 써본적이 없어서..
아마 그 제품도 mysql server의 plug-in 기능 같은게 아니라면 당연히  DB 클라이언트이겠죠?

3. 버전은 맞추는 것이 좋습니다. 버전이 올라갈때마다 내부 패치만 달라지는게 아니고 기능도 명령어 옵션들도 차이가 생깁니다.

4. 새로 배우는 상황이라면 돈주고 사는 솔루션은 실력을 늘리는데는 별로 도움이 안됩니다.
그건 회사에 대규모로 운영하거나 백업해야 될게 많고  시간이 엄청 걸리는 일을 자동화 해주는, 즉 시간을 절약해준다는데 의미가 있습니다.

5. 모든 개발자들이 항상 얘기하는 것이지만 개발사에서 제공하는 매뉴얼을 정독하라는 말을 하곤 합니다.
     
openbrain 04-05
맞습니다 ㅠ 2019년 마지막 인텔맥으로..
나름 프로에 CTO 로 i9 9880H(8코어 16쓰레드)여서 서버제품은 아니더라도 비벼볼까했는데 벌써 터미널 명령어도 우분투랑 혼동되기 시작합니다..
그래서 우분투를 부트캠프 할까도 고민했는데 터치패드 및 몇가지 드라이브 호환 이슈가 있다고 해서..
그렇다고 디비와 스토리지 사는데 돈도 좀 들어서..
(와이프한테 500정도 쓴다고 했더니.. 당황스럽다 당신이라는 분위기...)
우선은 있는걸로 쓰자였습니다 ㅎㅎ
근데 또 나름 웹 코드 디렉토리 파일이 아이클라우드에 백업시키면서 이것도 괜찮은데? 혼자 생각하는데
 조만간 부트캠프 할것 같습니다 ㅎㅎ

역시 매뉴얼이군요.. 가이드 잘 따라 보겠습니다 선배님
감사합니다
          
dateno1 04-05
그 마지막 인텔맥 버전의 프로의 시퓨 요즘 알리가면 130~150달러정도에 살 수 있는 미니에 횔씬 못 미치는 성능입니다

항상 하는 애기지만 맥 안 깔꺼면 인텔 맥 하드웨어 추천 안 합니다 (가성비 고려시 그냥 팔아버리고 다른거 사는게 이득)
제온프로 04-05
Mysql 서버는  3306 Port 로 젒근합니다.
Mysql 서버의 클라이언트라는 것은 없고요.. (위에서는 Web server를 클라이언트 라고 보면 됩니다.)
그냥 Web server에서 쿼리로 접근 하면 됩니다.
Workbench 는 Mysql DB를 편리하게 관리 하기 위한 관리 프로그램입니다.
어디에 설치하는 상관없고.. 주로 프로그래머의 개발PC에 설치 해서 그 DB를 관리합니다.

Web Server 와 DB 서버는 분리 할 필요는 없고 하나의 Server에 두면 편하고 일반적입니다.
Apache (or NginX)
PHP
MariaDB
Jave + tomcat
하나의 서버에 두세요..
이걸 포용하는 드라이브 볼륨은 Raid로 구성하여 드라이브 장애에 대응한다.
데이터베이스가 있기 때문에 빠른 트렌젝션이 필요함.
그래서 Raid 10 이 적합함.  Raid 10+1 / Raid 10+2  이런식으로.. 드라이브를 구성

노트북을 Web Server 로 쓰면.. 노트북이 일찍 죽습니다. 노트북은 서버로 쓰라고 하드웨어 설계된 것이 아닙니다.
PC도 적당하지 않구요..  가급적 서버로 쓰세요.... 추천서버 ==> HP DL380 Gen9  or Dell R730 ==> 세계에서 가장 많이 사용중...

그리고 DB 서버는 Ethernet으로 하는게 아니라  FC Hba 로 연결하세요..  광이 Ethernet 보다 대략 100배 정도 빠른 Latency 를 갖습니다.
엄청 많은 순간  Transaction 을 뜸뜸이 Ethernet으로 하면 않되겠죠.
     
dateno1 04-05
단순한 정적 데이터나 웹 프록시정도라면 거의 무부하라 괜찮아요 (다만 24/7로 돌리니 팬같은건 빨리 달음)
     
openbrain 04-05
선배님 ㅠㅠ 돈이 너무 많이 들어갑니다

그래도 디비는 마이크론 3U 서버케이스에 슈퍼마이크로 메인보드(듀얼은 아니고 싱글) 제온실버4310 램은 32G ECC 로 셋팅했는데 .. 이것도 사실 2cpu 가입전이라 지피티랑 인터넷 가이드들 살펴보며 맞춘건데 잘 맞춘건지 모르겠습니다..
 
FC HBA 는 광모듈 인터페이스 인가요? SFP 같은 개념으로 봐도 되는건가요? 아직은 서비스 전이라 구축하며 시행착오를 겪어야 직성이 풀릴것 같습니다

추후에 네트웍 통신 인프라 업그레이드 하게 된다면 꼭 조언을 구하겠습니다

그리고 하나의 서버에 다 두라는 말씀하셨는데 제가 일하는 곳의 내부 시스템 인프라를 생각하며 구성하다보니 현재처럼 구성했는데
선배님의 조언은 개인단위 운영에서의 이점을 생각해서 말씀하신건지요.. 그러기엔 웹서버피씨가 서버용으로 보기 어려운 맥북이여서.. 제 나름 분리를 더 생각했습니다..
운영이나 이점면에서 조금 더 상세히 알려주실수 있을런지요~

답변 너무 감사드리고 앞으로도 잘 부탁드립니다
dateno1 04-05
1. 아무 상관없습니다

관리가 귀찮은것뿐이죠

보안 고려하면 혼합하는게 안전합니다

다만 웹서버 구축시 어지간하면 Windows는 넣지마세요 (성능상 비추)

2. 클라 꼭 필요한가요?

3. 문제될 가능성 있습니다

4. Veam? (mysql자체 dump기능으로도 백업에 아무 지장 없는게 현실이지만, 용량이 넘 커지면 부담스럽긴함)

5. 패스

성능 찾고싶으시면 Maria로 가시는건 어떠신지? (성능 좀 더 나옵니다)
제온프로 04-05
위 맥북이 R730보다 더 비싸요.. 60만원도 않하는데..

웹서버 성능중............ cpu는 않중요해요..
Disk IO 가 더 중요하고.
NIC가 더 중요해요..
메모리도 중요하고..


QnA
제목Page 46/5730
2015-12   1790699   백메가
2014-05   5265723   정은준1
2024-12   913   우주소년
2024-12   761   백수가꿈
2024-12   757   화란
2024-12   1052   회원
2024-12   740   미수맨
2024-12   1148   팔코
2024-12   822   밥알1김형근1
2024-12   1098   딸긔꼬마
2024-12   1517   원탱이방굴이
2024-12   1045   Kaos
2024-12   1134   범이님
2024-12   1168   neapolitan
2024-12   1222   우제
2024-12   966   영산회상
2024-12   1139   통신버필
2024-12   1193   박문형
2024-12   918   꾸띠웍
2024-12   893   Sakura24
2024-12   812   검은콩
2024-12   785   Noname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