쪽팔리면 질문하지 맙시다. 소중한 답변 댓글을 삭제하는건 부끄러운 일 입니다
대부분의 게임은 콘솔(게임기)로 하기에, 그간 잘 몰랐던 사실을 몇가지 알게되였습니다.
채굴그래픽카드 사용하고 있었고,
그간 cpu의 내장그래픽의 hdmi 단자 출력과 채굴그래픽의 연산을 이용해서
사용했을때는 아무런 문제가 되지 않았는데요
내장그래픽이 없는 라이젠 일반모델, x, xt 모델에서는
출력용 그래픽카드가 반드시 필요하여 두개의 그래픽카드를 혼용해야 하는 문제가 발생했습니다.
일단 기본적인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0. 하드웨어 정보
gpu 0 : p102-100
gpu 1 : rx460
1. 드라이버 정보
1) 자유게시판에 게재되었던 536.40-cmpunlock 버전
2) 엔비디아 패처 최신버전 572.75
둘다 증상은 동일함. 드라이버 버전의 문제는 아닌것 같음
2. gpu-z를 통한 내용입니다.
하단의 모든 기능에 체크표시가 되어 정상 작동됨을 알 수 있습니다.
3. 3d mark의 타임스파이에서는 그래픽카드를 선택할 수 있고
아래 이미지와 같이 gtx1080샤를 선택시 7300점대로 대충 1070ti와 1070사이의 점수가 나옵니다.
파스의 경우엔 그래픽점수는 rx460점수가 나오고 피지컬점수는 23000점 대로 p102-100의 점수와 비슷합니다.
문제는 게임 진행 시 발생하였습니다.
4. 엔비디아 컨트롤패널에서 고성능 설정을 하였고
이런식으로 엔비디아 앱 상에서 게임의 그래픽 코어를 설정을 모두 설정하였으나
아래 그림과 같이 윈도우10 상의 고급그래픽설정에서 각 게임별로 gpu를 선택하는 옵션이 있지만 p102는 선택이 불가합니다.
5. 인게임 내부에서 그래픽카드를 선택할 수 있는 게임의 경우도 p102는 인식이 불가능합니다.
6. 실제 gpu-z나 윈도우의 리소스 모니터에서도 p102 gpu의 로드율은 0프로이며
rx460은 로드율 100프로임을 보면, p102는 팽팽 놀고있고, rx460만 일하는것으로 판단됩니다.
혹시 해결방안 아시는분 계시면~ 알려주세요!
전 윈10을 쓰고 싶지만 p102 때문에 윈11로 갈아탔습니다. xeon + w5100출력 + p102 연산.. 패치드라이버로 원클릭 설치되고 아무문제없이 사용. 그래픽 강제지정 잘됩니다
http://www.2cpu.co.kr/freeboard_2011/1625577
크래픽 카드의 기능을 모두 제거 했어요.
코인 체굴 전용 카드 이며......
그래픽 카드로 못쓰도록 일부러 제한을 두고 만들었어요..
바이오스 변경으로 이름만 변경하는 한 거지..
기능은 부할 못 시켜요..
맥스웰, 파스칼부터 그래픽카드의 바이오스는 암호화 되어 있어서 이름 변경이 안됩니다.
윈도우10에서 안되는 것들이...
윈도우11에서는 단 한번의 설정으로 됩니다.
모든 게임상에서 p102 가 그래픽카드로 인식되며, 3d mark 점수만큼의 성능을 냅니다.
솔직히.... 생각보다 좋네요.
요즘 gtx1070 도 중고가 10만원도 넘는데....
저렴하게 가성비로 괜찮다고 느껴집니다.
이래도 안 되면 11 가던지 드라이버 버전 바꾸어보셔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