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결] PERC H310 raid card 와 데스크탑용 메인보드 호환

   조회 345   추천 0    

쪽팔리면 질문하지 맙시다. 소중한 답변 댓글을 삭제하는건 부끄러운 일 입니다 

오래전부터 사용하다 남은 저용량 SATA HDD 가 여러개 있어서 이를 활용할 목적으로

장터에서 PERC H310 구입해서 IT 모드로 바꾼후 여분으로 가지고 있던 i5-3470 + asrock B75M 메인보드에 꼽아서 잘 사용했습니다.

그러다 메인 컴퓨터를 업글하게되어 퇴역하는 i7-4770 + ASUS H87-PLUS 에 H310 을 꼽으니 부팅이 안됩니다.

혹시나 해서 gigabyte B75M-D3H 에 꼽으니 역시나 부팅이 안되네요. pci-e 슬롯 위치를 바꿔도 안되구요.

가지고 있는 메인보드 중 유일하게 asrock 에서만 부팅이 되는데요.

H310 을 asus 나 gigabyte 메인보드에 사용하려면 별도의 작업을 해줘야 하는지 궁금합니다.


(2025. 4. 14 내용 추가)

많은 분들께서 좋은 방법을 알려주셔서 해결하였습니다. 감사합니다.

제시해주신 방법은 크게 3가지로 요약되겠습니다.

  1. SMBUS pin 절연 (B5,B6)

  2. H310 card를 옵션롬 제외하여 IT MODE 재작업 

  3. 좀더 고급 메인보드 사용

이중에서 먼저 제일 간단한 SMBUS pin 절연 부터 시도해 보기로 하고 진행하였습니다.

핀 절연은 http://www.2cpu.co.kr/QnA/949127 게시물의 사진을 참고하였습니다.

저는 가지고 있는 캡톤 테이프가 없어서 일반 전기절연 테이프를 사용했더니 너무 두꺼운 느낌이듭니다.

나중에라도 구해서 바꿔야겠습니다.

절연 작업 후 i7-4770 + ASUS H87-PLUS 에 H310 을 장착하고 전원을 넣으니 깔끔하게 부팅이 되네요.

H310 에 직접 HDD 연결은 안하고 메인보드에 SSD 연결해서 windows 10 설치까지 끝냈습니다.

이제 H310 에 HDD 연결하는 작업만 남았네요.

2. 3. 방법 까지 가지 않고 첫번째에서 해결이 되니 뭔가 허무한 느낌도 들고 좀 더 검색해봤으면 좋았을껄 하는 생각이 듭니다.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dateno1 04-08
BIOS 옵션 만져보세요

이외에는 기컷해야 SMBus핀 절연밖에 할게...
gmltj 04-08
메인보드 바이오스의 legacy 와 uefi 설정을 바꿔서 해보세요.
ocarina 04-08
부팅롬을 죽이셨나요? 저도 금방 h310 it작업한 상태라... 부팅롬을 죽이면 호환성이 대폭 올라갑니다. 어차피 컨트롤러 통해서 부팅하는 경우는 잘 없어서 아예 죽이면 부팅도 빠르고 인식도 잘됨.
안철현 04-08
아예 부팅이 안되면 (검은 화면) ==> PCI-E B5/B6번핀 절연처리

부팅은 되는데 중간에 메시지나 로고 나오다가 멈추면
방법1 - 메인보드 바이오스에서 옵션롬 로딩 DISABLE ( 중저가형 보드는 해당기능이 대부분 없음 )
방법2 - H310 ITMODE 변환작업을 다시하되, 펌웨어만 올리고, 옵션롬(리거시, UEFI)은 플래싱 하지 않음
Parabellum 04-08
above 4G decoding 미지원 보드라 그럴수도 있습니다. H310 중국 듣보보드들에도 잘 붙는 카드라 카드 문제는 아닐겁니다
the촌놈 04-08
B5/6 신호선 끊어버리면 잘 붙을겁니다.
제온프로 04-08
않되는게 정상이구요..
메인보드를 좀더 좋은 걸로 해야..
SAS 던 Raid 던 사용할 수 있습니다.
PC보드에서 되면 사용하는거고 않되면 못사용.
     
the촌놈 04-08
더 싸고 허름하게 생긴 구형 보드에서도 잘 동작시켰고요. PC가 아니라 웍스에서도 안 붙는 경우 많답니다. 지금도 PC용 저렴이 보드에서 각기 다른 SAS HBA 잘 사용하고 있답니다. RAID를 사용하면 옵션롬 크기 때문에 아예 부팅도 안되는 경우가 많지만 HBA모드로 사용하면 그런 경우가 거의 없죠. 그래서 2개도 꼽아서 쓰기도 한답니다. 물론 간혹 뭔 짓을 해도 안 붙는 경우가 있긴 하죠.
제온프로 04-08
예전부터 있는 문제라..

SCSI를 사용하고 싶어서 일찍이 서버 보드로 왔습니다.

가장 저렴하고 많이 사용한 보드가..

Intel L440GX
Tyan S2518 Thunder Le
     
the촌놈 04-08
MSI 보드와 Abit Aopen 보드에서도 U80부터 U320까지 아답텍을 비롯하여 Qlogic SCSI 어댑터 잘 사용했고요. 예나 지금이나 굳이 서버보드 아니어도 잘 동작하는 경우가 더 많답니다. 정말 그런 호환성 걱정 없이 쓰고 싶으면 벤더에서 판매하는 풀옵션 완제품을 구입하는 게 더 좋죠. 서버보드라고 호환성 문제에서 자유로운 건 아니거든요.
박문형 04-08
개인적 경험으로는 기가바이트 보드가 SAS HBA 설치가 더 편했습니다..

가장 잘 안붙는 것이 ASUS 였습니다..

그러나 그것도 최신 보드들에 가서는 실제로 붙여 봐야 알 수 있는 쪽으로 다 변해버렸습니다..

SAS HBA 혹은 RAID 카드도 OEM 제품 보다는 리테일 제품이 일반 PC보드에 좀 더 쉽게 붙습니다..

개인적으로는 아레카 카드를 좋아하는데 중고 물건이 잘 보이지 않습니다..

아답택도 나쁘지는 않습니다..

LSI는 본래 OEM 위주의 영업을 한 터인지라 리테일 제품 보기가 조금 힘든데 최대한 리테일 제품을 구해서 사용하는 것이 조금은 편합니다..
박문형 04-08
SAS HBA가 보드에서 인식 못하는 것은 옵션롬 에러일 확률이 재일 높습니다..

시스템을 켜서 시스템이 POST 동작시 SAS HBA 롬 바이오스가 올라가야 카드가 보드에 인식되고 부팅이 가능하게 되는데

마더보드의 옵션 카드들의 롬바이오스가 올라갈 수 있는 영역이 적어서 SAS HBA 롬이 재대로 못 올라가거나  SAS HBA의 롬이

마더보드와 충돌해서 SAS HBA가 보드에 인식을 못하는 것입니다..

이것을 해결하려면 마더보드의 바이오스/펌웨어 엔지니어나 SAS HBA 바이오스/펌웨어 엔지니어가 문제 상황을 검증하고 바이오스/펌웨어를 새로 만들어

해결점을 찾아주어야 하는데 개인으로써는 거의 불가능한 작업입니다..


서버 보드들은 여러가지 카드들의 대한 테스트와 호환성 데이터를 제조사쪽에서 제공해주고 있습니다..
 

개인으로써 할 수 있는 것은 가지고 있는 SAS HBA 가 잘 동작하는 보드를 알아보고 찾아서 바꾸어 보는 정도가 다입니다..




아 그리고 보통 중고로 구할수 있는 SAS HBA 는 레거시 바이오스만 들어있어서 UEFI 모드로 보드를 동작시키면 카드를 재대로 인식 못할 수 있습니다..

https://www.2cpu.co.kr/lec/4143

UEFI 바이오스를 추가해주면 되기는 하는데 H310 같은 경우 DELL OEM 카드인지라 바이오스/펌웨어를 제조사에서 재대로 지원해주지 않을 수 있습니다..

https://www.2cpu.co.kr/lec/3116

내용 확인해보시고 바이오스/펌웨어를 바꾸어주면 조금 사용하기가 편해지는데 문제는 작업하다 잘못되면 카드가 벽돌이 됩니다..
     
the촌놈 04-08
H310은 물론 dell 전용으로 만들어지긴 했으나 흔한 SAS2008 칩을 사용하기 때문에 9211-8i로 간단히 플래싱 할 수 있고 굳이 바이오스나 펌웨어를 건드릴 필요도 없습니다. H310이 인식 안되는 가장 흔한 이유는 바이오스나 펌웨어 문제라기 보단 SMBUS 문제이고 이 경우는 B5/6 핀을 절연하거나 아예 패턴을 끊어 버리면 간단하게 해결됩니다. 일단 HBA모드로 펌웨어 플래싱이 되면 UEFI롬을 올리는 것도 전혀 문제 없이 잘 되고 그건 여타의 2008 칩을 사용한 카드도 마찬가지죠. 펌웨어를 바꾸는 작업이 가장 복잡(명령어 몇 줄이면 되는 걸 복잡하다고 표현해야 할런지 모르겠지만요)할 뿐 롬을 올리는 건 한 줄 명령어면 됩니다.
 
SAS HBA는 RAID 컨트롤러와 다르게 호환성 문제가 별로 없고 그래서 싸구려 보드에도 2개를 꼽아서 사용하기도 합니다. 옵션롬 공간이 부족하다면 부팅을 포기하고 아예 롬을 탑재 안 하는 극단적인 방법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이제 옵션롬으로 인한 호환성은 걱정할 필요가 전혀 없다고 해도 무방하죠. 최소한 LSI 칩을 사용한 카드는 이렇게 대응 방법이 다양하답니다. 리테일 하드웨어 아니어도 펌웨어만 리테일판으로 바꿀 수 있으면 거의 성공이고 어떤 제품들이 이렇게 리테일 펌웨어를 입힐 수 있는지에 대한 DB도 매우 잘 구축되어 있답니다. dell oem이라고 dell용 펌웨어를 쓰는 게 아니라 어차피 리테일 펌웨어를 입히는 거라서  9211과 동일하게 인식됩니다.  그래서 어렵고 복잡하게 보드를 바꿀 필요는 별로 없답니다. 차라리 호환성이 더 좋은 HBA로 바꾸는 게 더 좋은 선택이죠.


QnA
제목Page 5/5730
2014-05   5267148   정은준1
2015-12   1792059   백메가
2015-07   5924   전설속의미…
2015-07   3456   장동건2014
2014-04   4289   김동민
2021-05   2813   애월남
2016-08   3977   자민
2017-09   21494   깜박깜박가
2021-05   3328   R710메인보드
2016-08   4418   perls
2018-12   3309   하셀호프
2021-05   2647   isaiah
2012-03   15839   song05
2012-04   6028   MikroTik이진
2016-08   3618   클래식
2017-09   4387   Sunrise
2014-04   4067   양윤영
2023-01   3455   발리의리
2012-04   5488   최모씨
2023-01   3120   신은왜
2016-09   4243   팡핑풍팽퐁
2017-09   4401   tid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