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DC 상면 공간의 뜻

   조회 526   추천 0    

데이터 센터에서 랙 설치하는 자리를 상면 공간이라고 부른다고 들었는데, 이게 한자로 상면(上面)이 맞나요?

왜 장비 설치하는 공간을 상면이라고 부르는지 잘 와닿지 않아서요, 어떤 의미인지 문의 드려봅니다. 

감사합니다.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병철 04-10
그 외에도 대개체, 장표 등 와닿지 않는 단어는 많지만 일 하면서 상대나 나나 뭔소리 하는지 알아듣는데 문제는 없으니 그러려니 합니다 ㅋ

주특기마다 쓰는 용어도 좀 다르긴 합니다. 예시의 대개체는 네트워크 분야에 계신 분들이 많이 쓰더군요.

대체면 대체고 개체면 개체고 교체면 교체고 변경이면 변경인데 하필 대개체인가? 싶긴 하지만요
     
블루2014 04-10
네, 업계에서 사용하는 용어들이 좀 그런 면들이 있죠. ^^
구차니 04-10
https://dict.naver.com/dict.search?query=%EC%83%81%EB%A9%B4

뇌피셜이지만 서로마주본다는 뜻으로 서버의 앞면을 이야기 하는거 아닐까 합니다.대개 Unit 단위로 2U 1U 4U 이야기 하죠
     
블루2014 04-10
오~ 그런 의미라면 相面이 되겠네요.
          
Weekend 04-10
무엇과 무엇이 마주보는거죠? 이걸 알면 해결될겁니다.
김준연 04-10
그 상면 맞습니다. 용어 자체는 랙마운트 선반에서 왔는데, 이 선반 위에 서버나 스위치 등 장비를 올리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이들 장비가 올라가는 면이라고 하여 상면이라고 씁니다.
     
블루2014 04-10
네, 그렇게 해석하니 좀 이해가 되네요.
maronet 04-10
제 추정으로는 플로어링 한 이후에 랙을 놓는 공간에서 유례된게 아닌가 싶어요.

https://blog.naver.com/onion_asset/223347225871
     
블루2014 04-10
아~ 전산실 바닥을 이중으로 만들어서 그 위에 랙을 놓고, 아래에 케이블링을 하기 때문에 랙 자리를 상면으로 부른다는 얘기죠. 정말 처음에 그런 의미로 사용했을 것 같네요.
          
maronet 04-10
컴퓨터 자체가 냉장고(창고) 만하던 때부터 쓰던 말이라 랙 유닛 단위로 임대하는 모습에서 유례된건 아닐거에요.
영어 단어와는 거리가먼 의미의 한자어가 사용된건 좀 의아하긴합니다.
건축에서 사용하는 상면도의 상면이 아닐까 싶어요.
               
블루2014 04-10
그렇네요. 상면도에서 유래한 것일 수도 있겠네요.
엠브리오 04-10
원래 42U 짜리 랙 캐피넷에는 랙마운트 서버를 넣게 되어 있습니다.
랙마운트라는 단어는 서버 컴퓨터의 왼쪽/오른쪽에 볼트를 체결할수 있는 귀퉁이가 있어서 랙케비넷에 나사로 고정시킬수 있는 거죠.

그러나 랙마운트 타입이 아닌 서버들도 있습니다. 그럴땐 철판으로 된 판때기를 하나 랙  캐비넷에 달아줘야 합니다.
그리고 그  철판이 "면"이 되는거고  컴퓨터를 그위에 밀어서 집어 넣죠. 그걸 일컬어 "상면" 이라고 부릅니다.
제온프로 04-10
단위면적공간 120cm x 60cm 공간의 위쪽 면..
42U 이기 때문에

단위면적 공간의 위쪽 공간을 말합니다.
상면(上面)

통상적으로 42U 공간이므로 42 칸중에 1칸 / 2칸 이렇게 이해 하고 있습니다.
이일저일 04-10
床面 인가 봅니다. Gemini에게 물어봤더니 그렇다고 하는군요.

床面

床 (상 - sang): Refers to a floor, base, or bed. In this context, it implies the physical floor space or rack base.
面 (면 - myeon): Refers to a surface or face.
Together, 床面 represents the physical surface area or space provided within the data center for housing equipment
     
drachen 04-11
아마도 이게 맞습니다.

일본어로 床面積[ゆかめんせき]를 줄여서 床面이라고 하는데, 우리말로는 건축기준법 상에서 말하는 "바닥면적"에 해당합니다.

IDC도 건축기준법에 따라서 바닥면적에 따라서 규모가 분류가 되고, 임대 기준도 바닥면적 넓이로 따지는거죠.
          
블루2014 04-11
저 한자가 '평상 상'자네요. 책'상', 침'상' 등에 사용되는 한자고요. 설명해주신 것을 보니 어느정도 이해가 됩니다.
역시 좀 이상한 용어는 다 일본에서 유래된 거네요. ^^
     
제온프로 04-11
한자로 만든것을 보니. 일본측 단어가 더 타당해 보입니다.
床面積
이렇게 사용해야 겠네요..
블루2014 04-10
아~ 여러가지 가능성이 있네요. ^^; 어렵습니다.


QnA
제목Page 4/5730
2014-05   5265580   정은준1
2015-12   1790572   백메가
2014-02   3783   김황중
2018-10   4110   하양까망
2016-07   6010   오리뿡
2011-12   7472   강삿갓
2021-03   5415   keros
2021-03   5080   chotws
2015-06   4663   전설속의미…
2019-12   2856   임민규
2015-07   4788   죠슈아
2020-01   29968   댕댕이
2024-07   2683   엠브리오
2021-04   6423   김말고
2014-03   4337   회원K
2020-01   2908   Lucifer
2012-02   6780   도석림l지나가는바람처럼
2022-12   2621   나로와
2017-08   5335   흐린하늘
2022-12   1892   Rainwalk
2022-12   3253   농담곰
2016-08   8959   패킷스트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