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토리지용 서버에 Raid card cache 성능 문제

태지여   
   조회 16528   추천 0    

안녕하세요.

요즘 12bay, 24bay, 그 이상의 고용량 디스크 (4~8T sata) 를 끼고 스토리지로 쓰는 곳이 많은데요.

Raid 구성하지 않고 각각 씁니다.

ex) 24bay sda~sdx


여기서 궁금한게 Raid Card의 캐쉬는 2Gb 달려 있는데, 

24베이 서버의 Raid 구성을 각각 0으로 잡고, write back를 쓰면, 성능이 향상 될까? 입니다.


그럼 Raid 0으로 구성된게 24개(vdisk) 고, io가 빈번한 서버일 경우 오히려 캐쉬에 부담이 커서 효율이 떨어지진 않을까? 의심만 하는데 이런 현상에 대해 아시는분 있을까요?

박문형 2016-03
하드를 JBOD식으로 잡고 사용한다는 이야기인데

어짜피 하드디스크에 있는 캐쉬보다는 큰 레이드의 캐쉬가 있기에 빈번한 I/O에 대한 문제는 캐쉬가 해결해줍니다.

옛날 1TB대 하드에서는 512MB 레이드 캐쉬로도 퍼포먼스가 나왔지만 요즘은 용량이 커진 하드 때문에 캐쉬가 커지지 않으면 감당이 안되더군요..

효율 문제는 캐쉬의 알고리즘 문제인지라 모라고 이야기 하기는 어렵습니다.

캐쉬 없는 레이드 카드에 대용량 하드를 붙여 쓰는 것보다는 캐쉬 있는 레이드 카드에서 대용량 하드를 붙여 사용하는 것이 퍼포먼스 면이나

디스크에 직접 부하를 주지 않는다는 면에서 훨씬 낫습니다.
anti2cpu 2016-03
캐시는 많은게 좋습니다
태지여 2016-03
예를 들면...

LSI raid card + 2G cache memory 구성에서
디스크베이 36개 짜리 서버
36개를 각각 raid 0으로 총 36개의 vdisk 생성.

이러면 디스크당 2048mb / 36 = 56mb

56mb도 read and write 캐쉬로 또 나뉠것이고...

과연 이런 구성에선 캐쉬달린 레이드카드가 효율이 있을까 의문이 드네요
epowergate 2016-03
요즘 DISK에 cache가 128MB입니다.
LSI Controller는 passthrough를 지원하지 않지요.  그냥 HBA사용하시고 DISK의 CACHE 사용해보는것도 나쁘지 않습니다.
     
나우마크 2016-03
LSI 제품의 RAID 설정에

IO Policy = Direct IO / Cached IO
Disk Cache Policy =  Unchanged / Disabled / Enabled

선택이 있습니다.

이것이 패스쓰루 처럼 작동하는 것 같습니다만,
아닌가 봅니다.


제목Page 28/56
2015-12   1766185   백메가
2014-05   5240703   정은준1
2016-05   13359   우주달토끼
2016-05   13423   온천거북
2016-05   15483   온천거북
2016-04   15765   laputa
2016-04   14244   옹스
2016-04   17817   니글니글
2016-04   12806   아배고파젠장
2016-04   13815   rootidc
2016-03   17577   둘째형님
2016-03   16529   태지여
2016-03   16917   PiPPuuP
2016-03   22324   간장게장
2016-02   22656   캔위드
2016-02   20898   악마라네
2016-02   30187   까아
2016-02   25913   무각
2016-02   23089   이상훈
2016-02   23149   라울
2016-02   20639   캔위드
2016-02   21665   lines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