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서버를 구축하려는데 어떤 방법이 있을까요?

   조회 9848   추천 0    

파일서버를 구축하려는데 어떻게 하는게 좋을까요?

지인이 건축설계사무소에 근무하는데, 설계 도면을 파일서버에 두고 여러 직원과 공유해서 사용하려 합니다.

 

HP 웍스테이션에 리눅스를 깔아 사용하고 있었는데, 얼마전 하드디스크에 오류가 생겨 데이터가 손실되는 문제가 생겼습니다. 사용하던 웍스테이션이 좀 오래되고, 스마트 어레이(HP에서 나온 RAID 카드)에 연결된 하드디스크를 다룰 수 있는 사람이 없어 전문업체에 문의하니 6백만원 정도(Windows 서버를 이용하고 5 유저 접속 가능으로 계산된 비용)를 들여야 하고, 15만원의 관리비를 내야 한다고 해서 비용 절감 차원에서 제게 연락이 왔군요.

 

건축설계사무소는 10명 정도의 직원이 있고, 다루는 설계 파일은 150~300MB 크기를 파일을 LAN 환경에서 공유해서 사용합니다.

이제까지 축적된 파일은 500GB~1000GB 정도 입니다.

 

클라이언트는 Windows XP가 설치된 10대 정도의 PC, 지속적으로 연결해서 사용합니다.

 

1안은

IBM 웍스테이션 중 저렴한(2~300만원짜리) 제품을 구입해 운영체제용 하드 2, 데이터용 하드 2개를 설치하고 각각 레이드1로 묶어 사용하는 것

 

2안은

IBM 웍스테이션 중 저렴한(2~300만원짜리) 제품을 구입해 운영체제용 하드 1, 데이터용 하드 1개에 주컴퓨터로 사용하고, PC를 따로 백업컴퓨터로 운영해 데이터를 Rsync 프로그램으로 동기화 시키는 것

 

1안은 비용이 상대적으로 저렴할꺼라 예상하지만 RAID 카드를 사용해 본적이 없어 저렇게 묶일 수 있느냐란 문제와 문제가 생겼을 때 바로 복구할 수 있느냐가 문제이고,

2안은 비용은 상대적으로 비싸지만, 사용해 본 방법이라는 것입니다.

 

두 방법 모두 운영체제는 Debian Linux를 설치할 예정이고, 데이터용 하드는 SCSI SAS 하드 디스크를 사용할 예정이고, 한 번 설치한 다음 1달에 1회 정도 방문해서 점검을 할 예정입니다

공유방법은 Samba를 이용할 계획입니다.

 

NAS 시스템은 속도가 느려서 사용할 수 없다고 하더군요.

 

어떤 방법이 좋을지, 혹은 어떤 좋은 방법이 있을지 알려주세요.

고맙습니다.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하라커 2011-05
NAS 제품 중 시놀로지나 큐냅 고급형 모델로 가시고, 내부 랜 네트워크를 기가비트로 구성하시면 10명정도 충분히 사용가능한 넉넉한 퍼포먼스의 구성이 가능합니다. 그리고 NAS는 2대 구매하시고, 각각 서비스용과 백업용으로 구분하신 후 새벽시간대 Rsync 구성하시면 정말 관리 편합니다.
     
이충욱 2011-05
고맙습니다

NAS 시스템을 고려하지 않은 이유가 동시에 여러 사람이 접속해 파일 관련 작업을 하기 때문에 느리게 반응하기 때문입니다.
AKs 2011-05
윗 글 중에..

NAS 시스템은 속도가 느려서 사용할 수 없다고 하더군요.

라고 하셨는데, Samba로 공유한다는게 바로 NAS라고 보셔야 됩니다. 네트웍으로 파일 공유하는데 CPU는 거의 소요되지 않으니 윅스테이션 같은 비싼 물건 사용하실 이유는 없다 보여지며...

제 견해로도 똑같은 NAS 2대 사셔서 백업 뜨시는게 최고라고 봅니다.
     
이충욱 2011-05
NAS 시스템이 느리다는 이유가 E-IDE나 S-ATA 방식의 하드 디스크를 사용하기 때문에 동시에 여러 사용자가 접속해 작업할 때 느리게 반응한다는 것 같습니다.

하드디스크를 SCSI나 SAS를 지원하는 NAS가 있을까요?

검색해 보니 가격은 많이 싸군요.
바다늑대1 2011-05
고급형 nas 사용하시는게 좋을겁니다. 예전회사 8명 동시부하거니까. 버버벅했죠. 특히나 nas cpu무리주는 raid는 더욱더 저급형에서는 피해야 합니다.
     
이충욱 2011-05
고급형 NAS라면 어떤 제품이 있을까요?

사용할 웍스테이션으로 250~300만원 정도를 예상하고 있습니다.

10명이 동시 접속할 때도 부드럽게 동작하려면 어느정도의 사양이어야할까요?

고맙습니다.
AKs 2011-05
NAS로 구성해도 쓸만한 제품 구매하시려면 대당 200이상은 생각하셔야 되지 싶습니다.
디스크 포함 수십만원 정도의 제품으로는 말씀하신 대로 상당히 버벅거리기는 하더군요.
특히 대용량 파일에 여러명 동시 접속이면 좀 고가품으로 가셔야 됩니다.
     
이충욱 2011-05
검색할 수 있는 제품명이 있을까요?

다나와에서 가격높은 순으로 정렬해서 140만원 정도하는 RNDP6000로 SATA 하드 방식이군요. 10명 정도가 동시에 접속해서 사용하기엔 하드 디스크 방식이 좋지 않은 것 같아 SAS나 SCSI 하드 방식을 사용한 NAS가 있으면 좋겠군요.

관리를 편하게 하기엔 NAS 2개를 장만해서 하나는 사용하고, 다른 하나는 백업용으로 쓰는게 제일 좋은 방법이라고 생각하는데, 동시 접속할 때 성능이 문제군요.
쿼드코어급 프로세서에 메모리 풀 뱅크로 채우시고...

하드디스크 8개 정도로 ZFS 구성하시면 다중 환경에서도 제법 빵빵한 성능 제공할 것입니다.

다만, 랜포트는 기가랜으로 쿼드 채널 정도로 본딩해주시고 패리티 연산을 하는 RAID 알고리즘보다는 RAID 10과 같은 알고리즘을 권장해 드립니다.
     
이충욱 2011-05
아주 소규모 업체라 너무 과한 시스템인 것 같습니다. 하하하~~

비싼 돈을 들이면 좋긴 하겠지만, 전문업체의 견적 6백만원 때문에 제게 부탁했는데, 이런 시스템을 장만하자고 하면 맞지 않겠죠.

감사합니다.
          
약간 오해하시는 것 같은데 값 비쌀 이유가 없는 구성입니다. 

저희 학원도 페넘 II 810 + 8GB DDRII + 타이안 AM2 싱글 서버보드에

WD 1TB x 6ea 구성으로 ZFS 파일서버 구성해서 잘 쓰고 있습니다.

하드디스크는 그냥 마더보드에 직결되어 있으며, 추후 IT 모드 펌웨어가 올라가는 저가 컨트롤러가 입수되면 디스크 갯수나 올려줄 생각입니다.


ZFS를 추천해드린 이유는, 고가의 RAID 컨틀로러 없이 비교적 좋은 성능의 레이드 구성이 가능하기 때문이며, 메모리를 넉넉하게 구성하시라는 것은 ZFS 특성상 메모리를 캐쉬로 사용하기 때문에 메모리를 올려줄수록 디스크 성능이 올라갑니다.
               
이충욱 2011-05
제가 좀 오해를 했나보군요. 죄송

쿼드코어에 메모리 풀 뱅크라고 해서 엄청 비싼 시스템이라고 생각했습니다. 운영체제는 어떤 걸 사용하시나요?

EXT4 파일시스템까지만 사용해 봐서...
박문형 2011-05
문제가 하드디스크의 오류및 백업 미비에 의한 것이므로 주 화일서버및 백업 화일서버를 두는 것이 맞다고 봅니다. 화일서버의 CPU는 빠르고 코어 많고 한 것이 필요가 없습니다. 그보다는 렌포트가 튼튼해야죠.
주 화일서버는 2테라 하드 4개 정도를 캐쉬가 달린 레이드 카드로 1+0 정도로 묶어 쓰시고 백업서버는 2테라 하드를 2개 정도 달아서 주기적으로 스캐줄링 백업을 하면 문제가 없으리라고 봅니다. 단순하지만 다른 시스템에 카피 뜨는 것만큼 확실한 백업은 없습니다.

노는 피씨가 있다면 활용하셔도 됩니다.
대신 파워는 튼튼해야 오래가지요.
     
이충욱 2011-05
기존에 사용하던 컴퓨터가 HP에서 나온 Prorian XXXX 웍스테이션인데, Smart Array라는 레이드카드가 설치되어 있었습니다. 용량이 부족해서 좀 더 큰 140GB 하드로 교체작업을 하다 RAID 시스템의 특성 때문에 엄청 어려움을 겪었습니다.

원래 PC급만 사용하다, RAID 시스템은 리눅스에서 소프트레이드 기능으로 RAID 0을 구현해 본게 전부라 하드웨어 방식의 RAID는 설정하기 힘들더구요.

구글에서 검색을 해도 사용방법이 나오지 않고...

저도 2안의 방식이 편한데, 레이드 카드를 선택하기가 어렵군요.

설정하기 쉽고 소개글도 많은 레이드 카드가 어떤게 있을까요? 물론 가격도 현실적인 것으로...

고맙습니다.
          
한원준 2011-05
http://www.prestonlee.com/2007/07/17/opensolaris-zfs-vs-linux-ext3-raid5/

http://www.zfsbuild.com/2010/10/11/openindiana-benchmarks/

참고하시구요... ZFS 대단하다못해 무시무시하군요...

왠만한 RAID 솔루션은 퇴물 신세네요. 파일시스템 + 볼륨매니져 패키지네요..

제 기억으로 창신님은 OpenSolaris 쓰시는걸로 압니다...

레이드 컨트롤러면 LEVEL 5나 6 이상을 원하시는거 아닌가요???

http://www.bloter.net/archives/42056 

RAID 기술은 점점 영향력도 떨어지고 현재는 별로 매력적이지 않죠.

성능좋고 현실적인 가격 제품은 없습니다... RAID 5이상 걸면 쓰기속도가 엄청 떨어지기 때문에...

( 패리티비트 발생시키고 연산하느라... )

캐쉬메모리 큰거 달고 나오는 소비전력도 상당해보이는 카드들 밖에 없습니다...

컨트롤러만 200만원합니다... 유명한 밴더는

해봐야 areca.com.tw  lsi.com adaptec.com  정도 아닐까요???

RAID 컨트롤러는 대게 전용 BIOS SETUP에서 디스크 볼륨 잡고... LEVEL, 핫스페어 설정하고 그 뿐입니다...

( IBM은 전용 셋업CD로 부트해서 셋팅하더군요... 원가절감때문인지 관리, 보안정책 때문인지... )

창신님 소개하신 ZFS 우선 테스트 해보시죠... 디스크는 SATA RAID EDITION으로 하시고...
이해하면 2011-05
이곳 장터에 나온 NAS 서버 한번 달려보시죠 ^^
쭌군 2011-05
굳이 ZFS까지 갈필요는 없을 것 같습니다. softraid 방식으로 가신다면, RAID 1 과 LVM 조합으로 ZFS 같이 쓰실수 있으니깐요.
제가 생각하는 ZFS의 장점은, 성능보다는 기존에 RAID, LVM 각각 독립된 패키지 및 명령으로 되던게 파일시스템 단에에 통합처리(?)한다는 점 같습니다.
대부분의 스토리지가 한번 셋팅하면 큰 변동사항이 없다는 점을 생각하면 계획에 두신 Debian기반에서 RAID + LVM 조합도 괜찮치요.
받으시 파일서버 + 백업서버 조합으로 가시기 바랍니다.
     
이충욱 2011-05
RAID는 하드웨어를 이용해야겠죠?

LVM은 저도 사용해 본 적이 있어 쉽게 접근할 수 있는데, 동시에 10명의 사용자가 접근해서 사용해야 하므로 보통의 E-IDE 방식의 하드는 사용할 수 없더군요.

SATA 방식의 하드디스크는 여러 명이 동시에 접근해 사용할 때 성능 저하가 적은가요?

고맙습니다
          
쭌군 2011-05
아무래도 주로 다루시는 파일 크기가 100~200MB 이시니, Disk 쪽은 고급스펙으로 하시는 게 좋겠지요.
외국에서는 HP Microserver + 2TB * 4 + Software RAID 1+0 으로도 사례가 종종 올라오더군요.
검색해보시면 아시겠지만, RAID 컨드롤러를 붙여서 하는 사례도 있고요.
저도 지금 사내 웹하드 구성하는 것때문에 테스트 중인데, Single  SATA에서는 좀 그렇더라구요. 300MB미만은 금방되는데, 1GB정도는.....
HP Mircroserver + RAID 컨트롤러 + SATA 2TB *4(RAID 10) 구성도 괜찮을 것 같네요. 아래 링크는 일본 블로그 내용입니다.
http://j2k.naver.com/j2k_frame.php/korean/k.try-z.com/?tag=microserver
               
이충욱 2011-05
고맙습니다.

전에 사용하던 하드디스크가 SCSI라서 이번에 새로 할 때도 SAS를 쓰려 합니다.

150~250MB 정도의 파일을 10명이 각자의 컴퓨터로 복사해 가서 사용하는게 아니라 직접 열어서 사용한다고 하는군요. 그래서 하드디스크의 처리능력이 더 중요합니다.

기회가 되면 SATA 하드디스크의 다중 처리 능력도 테스트해 봐야겠군요.
호랑이곰 2011-05
아직 큐냅은 안써봤지만, 저희 사무실 시놀로지 DS410 2TB*4로 Raid5 구성해서 한대는 서비스/한대는 백업으로 새벽시간에 동기화 됩니다. 근무시간중에 약 20-30여명이 동시 접속해서 각종 문서, 동영상, 이미지 수시로 업/다운 하고 있습니다. NAS가 특별히 버벅댄다는 느낌 없이 모두가 만족하고 사용하고 있습니다.
회사가 좀더 크면 고사양의 웤스테이션이나 16bay 이상의 스토리지 서버 넣고 사용해보고 싶네요.
얼마나 차이가 날지...


QnA
제목Page 3863/5724
2014-05   5235752   정은준1
2015-12   1761929   백메가
2011-05   7328   2CPU최주희
2011-05   6452   분당김동수
2011-05   11051   블랙
2011-05   11035   조성현입니다
2011-05   15918   소주한병
2011-05   7368   MikroTik이진
2011-05   11284   롤빵
2011-05   10255   이창준
2011-05   30619   GoodWolf
2011-05   8103   전영신
2011-05   8316   drawhan
2011-05   8860   마성현
2011-05   10483   이종송1
2011-05   9245   박우열
2011-05   6698   마이코코
2011-05   12882   김연희
2011-05   6390   6툴
2011-05   7646   구형활용가
2011-05   7283   데이비드
2011-05   7441   하우디자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