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픈프레임으로 애플 모니터처럼 꾸밀수 있을까요?

   조회 8967   추천 0    

전에 아는분 사무실에서 아이맥을 잠시 써봤는데요.
본체의 성능보다는 27인치 모니터가 맘에 들더군요.
모니터만 상품으로 나와 있는데 140만원 정도 한다고 하더군요.
그림에 떡이죠..
그래서 저렴하게 저런 모니터를 장만할수 없을까 생각끝에 오픈프레임으로 달성할수 있지않을까 생각을 해봤는데
1등급 패널을 쓰고 ad보드를 우수한 스팩의 보드를 사용하면 어떨까요?
마침 쿨앤조이에서 좋은 내용이 올라와 있더군요,.
나름 여기저기 다니면서 눈팅 해보니 현재 유통되고 있는 제품은 거의가 저에게 불필요한 hdtv 기능과 지나치게 큰 화면으로 쓸데없는 비용이 들어가더군요.
한 오픈프레임 업체의 32인치 tv기능이 있는 완제품은[s-isp패널, ad보드는 우수한 성능을 보여주는 네오웍스제품] 54만원 하던데 30인치 이하로 줄이고 테레비 기능을 빼면 40만원 정도의 가격이면 가능하지 않을까 싶은데 제가 검색한바로는 그런 제품은 없으므로 패널 따로사고 보드사고 해서 한다면 어느회사 제품을 사용하는것이 좋을까요?
물론 애플사 정도의 스팩을 보장하는 정도의 급을 선택하고 싶네요.
제가 또 그래픽일을 하기 때문에 색에 대한 왜곡이 있으면 안되므로 이것은 중요합니다.
그리고 컴조립하듯이 제품의 구조에 대해서도 알고 차후 부품에 문제가 생겼을 경우 대처도 좀 수월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애플사 제품은 국내 서비스 문제가 많은것 같더군요.
111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마이코코 2011-07
질문에 문제가... 오픈 프레임으로 애플 같은 디자인을? 절대 불가능하죠. 디자이너들에게 고액 연봉을 주고 있으니까요.
잠깐 저도 꿈을 꿔봤습니다. 이 세상에 안되는게 없다고... 그러나 그만큼의 돈이 듭니다. 내 자신의 한시간 노동력이 얼마의 가치가 있는지 모르지만 따져보면 그 돈이 그 돈.... 오픈 프레임에서 디자인의 가치까지 원한다는 것은 어불성설입니다.그것을 포기하고 실용적인 이득을 얻고자 할 때 가치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일단 제 경험으로 오픈 프레임으로 푸는 물건들도 그만큼의 시장 가치를 알고 나온다는 것입니다. 최신 기술(디자인 포함)이 담긴 물건을 이중적인 마켓에 푼다면 그 회사는 망하겠죠.
모니터나 TV는 보드 기술이 핵심인데 우리가 안다고 한들 고장났을때 고칠수 있을까요? 자신에게 맞는 용도의 모니터를 기다렸다가 중고로 구매하는 방법을 추천합니다. 모니터 수명 의외로 오래 갑니다. 디자인을 포기한다면 오픈프레임은 40만원보다 더 싸게 구매할수 있습니다. 완제품에 디자인 맘에 드는 오픈 프레임은 중고라 할지라도 현재 우리나라에 없습니다.
장동건2014 2011-07
음.. 제글엔 디자인에 관한 글이 없는데요..
원하는건 퀄리티죠..애플 모니터 정도의 퀄리티..
돈 있음 하나 지르고 싶은데 안타깝죠..
그리고 전 애플사 디자인 별로 않좋아합니다.
단순한건 별로 제가 좋아하는건 아니구요.
애플제품 접할기회는 많은데[모바일 아니고 애플컴] 불편해서 마우스 같은것도 애플거말고 다른 제품 꼿아 써요.
애플 제품은 뭐랄까 아이덴티티를 좀 강요환다는 느낌이 있는데 그게 편하고 좋게 느껴 지는게 아니라 불편하게 느껴 지더라구요.
이장원 2011-07
Dell 27" 모니터 정도면 Apple 모니터에 뒤지지 않습니다. 공장 출하시 이미 캘리브레이션 되어 있다는 점도 장점이구요.
어린왕자 2011-07
검색하신 30인치 넘어가는 오픈프레임은 모두 TV모니터용 일 것입니다.
컴퓨터용 모니터는 30인치까지만 나온걸로 알고 있습니다. 가격도 TV용 보다는 비싸고요.
경준구 2011-07
TV용 패널과 모니터용패널이 틀리다는것. 해상도 차이가 있다는것을 염두하시면 될것 같네요. 애플시네마 27인치는 2560*1440의 해상도를 가지고 있지만, TV용 패널은 최대 1920*1080일 겁니다.
김승룡 2011-07
컴퓨터용 모니터는 30인치까지인것 같습니다.
해상도가 높기 때문에 일단 TV용 32인치 패널보다 훨씬 비쌉니다.

어떤분 댓글에서 디자인 말씀하셨는데..그게 아니라고 하시니.
퀄리티가 아니라 모니터의 스펙을 말씀하시는 것 같군요.
보통 오픈프레임제작업체는 대부분 LG의 IPS패널을 많이 사용하는것 같습니다
IPS패널도 종류가 있어서
E-IPS는 좀 저급이고 S-IPS나 UH-IPS(?)는 매우 고급패널이라고 들었습니다.
저도 요즘 모니터패널가져다가 뭔가 좀 만들어보는 중에 알게된 내용들입니다.
고윤철 2011-07
그래픽 작업 용도 모니터에서 저렴한 가격으로 좋은 칼라는 안나옵니다.
델 27인치처럼 SRGB나 adobe1998에 공장 출하시 셋팅되어 있지 않은 이상 페널특성도 있고 켈리브레이션도 있고 개인이
일일이 셋팅해서 색깔 맞추는건 어렵고 스파이더 같은 장비가 필요해서 돈도 더 들어갑니다.
켈리브레이션에서는 시네마 디스플레이도 썩 훌륭하지 않았습니다.
에이죠가 해결 방안이긴 하지만 금액이 높으니 출고전 켈리브레이션 되어서 나오는 델 27인치가 금액대비 효율은 높습니다.

그래픽용 모니터는 여기저기 정보 찾아볼 필요가 없는듯 합니다. 성능으로 쳐주는 방향이 다르지 않습니까?
내가 사용하는 색프로필이 셋팅되어 있느냐 아니냐 그걸로 결정 되니깐요.
classiccha 2011-07
그래픽일을 하신다면 논글레어를 사용하셔야 할텐데 오픈프레임은 개인적으로 추천드리고 싶지는 않습니다.
패널 공개하고 깔끔하게 케이스까지 제작해 주는 곳에서 외형은 별로라도 구입을 하시는 방법이나
델 27인치나 크로스오버의 27Q 제품을 구입하시는 편이 여러모로 신경안쓰고 좋을거라 생각이 듭니다.
현재 27인치 신형아이맥을 사용중인데 빛반사는 작업시에 느껴지지 않으나 색이 좀 밝게 표현되어
27인치 논글레어 제품을 연결하여 확인하며 사용중입니다. 한가지 더 말씀드리자면 어정쩡한 AD보드가
있는 것보다 바이패스방식이 더 낫지는 않을까 저는 생각이 듭니다. (델 27인치는 제외입니다)
적용되는 경우가 많겠습니다만.
하드웨어에 국한시키자면..

비싸다고 꼭 좋은것은 아니지만 좋은건 꼭 비싸다..
싼 A를 사용하여 더 비싼 B를 따라잡기 위해선 어떠한 형태로든 그 가치의 차이만큼.. 또는 그 이상을 지불하게 된다. 노동력이든 시간이든...

이 두가지죠...

오픈 프레임으로 못할 이유는 없습니다.
다만.. 제품을 통으로 사는 그 이상의 투자를 각오하셔야 할 겁니다..
장동건2014 2011-07
너무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아무래도 너무 현실에 떨어지는 생각을 한것 같네요.
현실적인 델이 답이 될듯하군요.
그래픽 하는 사람들은 hp도 많이 쳐주던데 델과 비교시에는 어떨까요?
     
ophtha 2011-07
HP도 좋습니다만 그건 dreamcolor 기종과 같이 그래픽 디자이너를 위한 상위 기종에 해당되는 말입니다. 더군다나 가격도 매우 비싼 편입니다. 일반적으로는 델 모니터가 가격대비 성능으로는 더 좋습니다.
          
장동건2014 2011-07
정말 너무 감사합니다.
만만한게 없군요. 그래도 델이라도 있으니 다행입니다. 꾸벅~
꼬메 2011-07
오픈 프레임에 애플 케이스 씌워서 쓰는 걸 검색해서 본 기억이 있네요.
구명서 2011-07
좀 엉뚱한 이야기지만 한 3-4년전쯤에 30인치 오픈프레임으로 앤트웍스(1-2년전부터 아예 판매를 안하더군요)
라는 곳에서 2대를 구매한적이 있었는데..
요즘은 30인치는 오픈프레임용으로 패널을 잘 판매하는거 같지는 않는거 같더라구요.
(틀린정보일지도 모르지만)
예전에 오픈프레임용 모니터 알아본다고 가입했던 사이트 몇군데 가봐도 딱히 30인치급은 잘 취급을 안하는점도 있구요.
마이코코 2011-07
기분 나쁘셨다면 미안합니다. 저도 DIY가 가능한 이중 마켓을 꿈꾸는 사람입니다만 우리나라는 너무 바쁜 나라....
장동건2014 2011-07
아 저런 제가 기분 나쁠 일이 있겠습니까?
이래서 우리말이 어려운가 봅니다.
아,어 이런 작은 차이 하나로 느낌이 다를수 있으니 말이죠..
오히려 제 표현에 문제가 없었나 제가 미안해집니다.
요즘은 잠을자도 몸이 많이 무겁네요.
삼계탕이나 추어탕 처럼 고단백으로 보신하는것이 어떨까 합니다.
차후에 오픈프레임에 관한 심도깊은 대화를 나누어봐요.모니터 조립도 재밌을것 같아요. 꾸벅~


QnA
제목Page 3834/5725
2014-05   5245321   정은준1
2015-12   1770686   백메가
2011-07   6583   한승환
2011-07   8968   장동건2014
2011-07   6194   오성기
2011-07   55131   이동재
2011-07   9375   metaljw
2011-07   6575   Lucifer
2011-07   9266   나너우리
2011-07   6690   권순규
2011-07   7307   푸카리
2011-07   6816   유호준
2011-07   6278   방o효o문
2011-07   9533   마이코코
2011-07   7024   특별출현
2011-07   6247   디자인랩스
2011-07   7536   김효수
2011-07   7507   김준유
2011-07   7726   삐돌이슬픔이
2011-07   6012   드라군
2011-07   6567   방o효o문
2011-07   7351   이종송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