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770722 |
25 |
2015-12
1770722
1 백메가
|
|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7) |
정은준1 |
2014-05 |
5245363 |
0 |
2014-05
5245363
1 정은준1
|
44934 |
X8STi 보드에서 외장? IPMI 못쓰나요? (4) |
Larry |
2013-07 |
5644 |
0 |
2013-07
5644
1 Larry
|
44933 |
ST2000DM001 플래터 장 수가 다른것과 raid 1 (2) |
심늘 |
2013-07 |
7154 |
0 |
2013-07
7154
1 심늘
|
44932 |
파워 레일 구분 어떻게 할까요? (10) |
장동건2014 |
2013-07 |
6633 |
0 |
2013-07
6633
1 장동건2014
|
44931 |
블레이드센터....말이죠 (3) |
크루호스트 |
2013-07 |
5144 |
0 |
2013-07
5144
1 크루호스트
|
44930 |
좀 생뚱맞지만.. 리튬이온전지로 UPS대용 될까요? (19) |
양희재 |
2013-06 |
12870 |
0 |
2013-06
12870
1 양희재
|
44929 |
4핀 -> SATA x 4 전원 케이블의 안정성? (12) |
김호선2 |
2013-06 |
17784 |
0 |
2013-06
17784
1 김호선2
|
44928 |
노트북에 windows 2012 잘 깔리나요? (4) |
박성만 |
2013-06 |
5727 |
0 |
2013-06
5727
1 박성만
|
44927 |
passmark 점수가 신뢰성이 있나요..? (6) |
이형동 |
2013-06 |
17647 |
0 |
2013-06
17647
1 이형동
|
44926 |
같은 모니터인데도..하나는 자꾸 해상도범위벗어남..이라고 뜨네요 (2) |
김건우 |
2013-06 |
9957 |
0 |
2013-06
9957
1 김건우
|
44925 |
IBM ServeRAID M1015 에 IT 펌웨어는 어떤게 더 좋을까요 ? (3) |
이동범 |
2013-06 |
6568 |
0 |
2013-06
6568
1 이동범
|
44924 |
노트북이 맛이가서 도라이버가 (2) |
최시영 |
2013-06 |
6278 |
0 |
2013-06
6278
1 최시영
|
44923 |
아래 질문했지만....혹시 970(AMD-AM3+)에 확장sata카드(pcie형) 쓰시는분 안계세요? (7) |
김건우 |
2013-06 |
6766 |
0 |
2013-06
6766
1 김건우
|
44922 |
동영상 화일. 재생 시간을 줄여서 다시 인코딩 할 수 있나요? (3) |
서정욱 |
2013-06 |
5120 |
0 |
2013-06
5120
1 서정욱
|
44921 |
급 질문 (3) |
황진우 |
2013-06 |
4797 |
0 |
2013-06
4797
1 황진우
|
44920 |
IBM Z-Pro 9228 팬컨트롤 제어 가능한가요? (3) |
김수환무 |
2013-06 |
5615 |
0 |
2013-06
5615
1 김수환무
|
44919 |
x48보드 갑자기 부팅불가 (2) |
comduck |
2013-06 |
5219 |
0 |
2013-06
5219
1 comduck
|
44918 |
Windows 7에서 Windows Server 2008 R2의 Remote Desktop Web Access 기능 사용하기.. |
최완우 |
2013-06 |
5094 |
0 |
2013-06
5094
1 최완우
|
44917 |
Windows 7에서 Windows Server 2008 R2의 Remote Desktop Web Access 기능 사용하기.. (2) |
김윤술 |
2013-06 |
5744 |
0 |
2013-06
5744
1 김윤술
|
44916 |
mac os9.2 와 maclen, freenas 실패문의 (2) |
문양호 |
2013-06 |
6068 |
0 |
2013-06
6068
1 문양호
|
44915 |
pc파트너사와 사파이어사의관계가 어떤지 알고계신분있으신가요 혹시 ..ㅜㅜ (1) |
십진 |
2013-06 |
6068 |
0 |
2013-06
6068
1 십진
|
케이블하나에 2개정도가 적당할듯합니다.
싸타포트 단자에 불이 잘 나는 이유는 삐둘어져 꼽히던지 삐둘어져 빠지기 때문에 합선이 일어나서입니다.
게다가 케이블도 엄청 기네요
SSD나 모바일용 하드는 몰라도 일반 하드라면 전류가 많이 불안정할 듯...
가격은 비싸지만 튼튼해보이는 녀석을 찾았습니다.
이것도 별 차이 없을까요?
(4개*3=12개)
단점은 일반하드(HDD) 3개 이상 연결하면 과전류가 생깁니다.
일반하드를 연결하려면 4핀1개에 2개까지만 연결해주세요.
더이상은 책임 못집니다.
SSD 소비전력 0.4W
HDD 소비전력 5~8W
파워에서 나온 케이블 2개단자가 5V*2개 = 10V
입니다.
계산해보면
1개의 케이블 SSD 4개*0.4W = 1.6W
1.6W/5V= 0.32A
너무 적죠.
그래서 SSD의 절전효과가 큽니다.
다를게 없는 그냥 겉멋 제품입니다
괜찮은 모듈러 파워의 경우 한 라인에 SATA 포트 4개정도 나옵니다.
과전류가 흘러서 불나는것이 아니고,
접촉불량, 먼지 등에 의해 열이 발생하여 불이 나는것입니다.
또한 전원부가 감당하지 못할만한 과전류를 요구할 경우 접촉부분에서 불나는것이 아니라 전원부가 타는것이 정상입니다.
가정용 콘센트의 경우 2kW 이상 끌어쓸 수 있습니다. 여기에 5w짜리 스마트폰 충전기 꼽는다고 불나지 않는것과 같은 이치입니다.
라인당 충분한 전력을 보내도 4p나 사타전원커넥터를 보면 한개당 견뎌낼수 있는 전류양이 하드 3개 이상씩 붙여도 될만큼은 안되보이더군요
요즘 파워들 기본적으로 500w 이상 고효율 제품에 단일 레일 제품도 많아서 스핀업 전류까지 감안하더라도 하드 열몇개 붙이는건 별 문제가 없어보이는데 제 600w 파워도 그렇지만 사타전원 커넥터가 8개 밖에 없고 모두 사용중입니다.
지금 하드 몇개 추가하려고 하는데 y케이블을 이용해서 커넥터에서 2개씩 뽑아내려고 합니다.
그럼 총 16개의 하드를 달수 있고 하드가 스핀업시에 25w를 소비 하고 16개를 동시에 시동하면 400와트 나오는데 고전력 그래픽을 쓰지않아서 문제가 없을것 같습니다.
4개정도는 충분히 연결 가능하다고 봅니다.
실제로는 그렇지 않습니다. 접촉부가 많고 케이블이 길어질 수록 저항값은 증가합니다
그리고 저런 직각 형태의 압착식 SATA 커넥터가 깔끔하긴 하지만
케이블을 커넥터 핀이 둘러 싸고 있는 형태가 아니라
케이블을 칼날로 누르고 있는 형태입니다
전원부가 전류량을 감당하지 못해 불 나는 경우도 있지만
접촉부의 저항값이 증가해서 불나는 경우가 상당히 많습니다
VGA 전원도 브릿지 형태로 되어 있는 것과 독립된 케이블(이라봐야 원뿌리는 붙어 있지만)로 된 것이 차이가 큽니다
운 좋으면 별 문제 없지만 운 나쁘면 하드가 비실거리는 현상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론과 실제는 다릅니다
육안으로 봐서는 가능 할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