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팅만 하다 어제 가입한 신입입니다
중소기업(제조업) 전산팀에서 일하고 있는데요
이번에 서버 업그레이드를 계획하고 있습니다
시스템 관리, 개발, 유지보수 등등 여러가지 잡무를 병행하다보니 지식의 깊이가 없어서 고민만 늘어가고 일은 진행이 안되네요^^;;
고민하다 글 한번 올려봅니다
그간 눈팅하면서 보니 너무 전문가분들이 많으셔서 감히 끼어들 엄두가 안나더군요
하물며 질문하시는 분들도 어느정도 전문 지식은 갖추고 질문 내용도 전문용어를 섞어서 질문을 하시더라구요
그래서 질문글 올리기도 상당히 망설여지더군요ㅎㅎ;;;
각설하고..
현재 웹서버, DB서버 비롯해서 10대 가량의 서버를 관리하고 있습니다
반 이상이 2000년대 초중반에 구입한 서버인데 이중 DB서버는 2010년에 추가로 구입한 HP서버입니다
HP서버는 사내CRM 웹+DB서버를 함께 돌리는 중인데 DB전용으로 따로 분리할 생각입니다
모델명은 DL380 G7 이고 제온 E5620(웨스터미어) / PC3-10600R 6GB / 72GB SAS 15K x3 (레이드5) 으로 구성되어있습니다
이 서버를 업그레이드 또는 신규서버 구매를 고민중인데 현재 CRM 클라이언트가 100명이 안되기때문에 굳이 업그레이드를 할 필요가 있을지 업그레이드로 얼마나 빨라질수 있을지도 고민이네요
CRM을 외주개발해서 자체적으로 유지보수 업그레이드를 하면서 쓰는중인데 메뉴 중에 조회 시간이 오래걸리는 메뉴가 꽤 많네요..
특히나 접속자가 몰리는 시간대에는 시간초과로 오류를 내뿜는 경우도 있습니다
여기서 눈팅하다보니 하드웨어 업그레이드 보다 SQL 튜닝으로도 충분한 속도개선이 가능하기 때문에 튜닝을 우선적으로 권하시더군요
그래서 맘같아선 튜닝이라는것도 한번 받아보고는 싶은데 IT 전문회사가 아니다보니 윗분들에게 튜닝을 위한 인건비 지출에 대한 이해를 시켜야 합니다.. 막말로 니들이 그거 못하냐는 식의 답변을 들을지도..;;
하드웨어 부분은 예전부터 업그레이드를 조금씩 해왔고 이미 구두상으로 보고가 이루어진 상황이라 튜닝보단 하드웨어 업그레이드 쪽으로 가닥을 잡은 상태입니다
업그레이드를 한다면 SSD Raid-10 + RAM 32GB 구성으로 해볼까 싶습니다 CPU는 보드가 지원하지 못하는 관계로 샌디/아이비/하스웰 기반의 CPU로 교체는 안될테고 현재 싱글구성인데 듀얼로 구성하더라도 성능향상이 그리 크진 않을거 같네요
눈팅하다보니 DB서버는 클럭빨이라는 문구가 뇌리에 박혀서ㅎ
현재 컨트롤러가 P410i인데 이게 SAS 전용인지 SSD도 지원하는건지 모르겠네요
차라리 서버를 새로 하나 살까 싶기도해서 찾아보다 몇가지를 추려봤습니다
Rank Processor CPU Mark Price (USD)
16 Intel Xeon E3-1270 v3 @ 3.50GHz 10,384 NA
27 Intel Xeon E3-1270 V2 @ 3.50GHz 9,717 $343.99
31 Intel Xeon E3-1275 V2 @ 3.50GHz 9,497 $354.99
33 Intel Xeon E3-1230 v3 @ 3.30GHz 9,414 NA
43 Intel Xeon E3-1275 v3 @ 3.50GHz 9,043 NA
50 Intel Xeon E3-1230 V2 @ 3.30GHz 8,885 $234.99
125 Intel Xeon E3-1220 V2 @ 3.10GHz 6,464 $214.99
201 Intel Xeon E5620 @ 2.40GHz 4,932 $394.99
8/6일자 성능 순위인데 현재 쓰고있는 CPU 성능이 많이 떨어지는걸로 보이네요
CPU마크 점수가 절대적인 성능의 기준이 되진 않겠지만 저 자료를 참고한다면
E3-1270 v3가 성능은 젤 좋은데 서버시장에 하스웰 기반 서버는 아직 많지 않나보네요
여기서도 아이비 기반으로 많이들 언급하시던데 현시점에 하스웰 서버는 부적절 할까요?
이정도 수준에서 적절한 서버 추천을 해주신다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두서없이 쓰다보니 내용이 너무 길어졌네요
정리를 하자면
1. 현재 HP DL380 G7 제온 E5620(웨스터미어) / PC3-10600R 6GB / 72GB SAS 15K x3 (레이드5) 사용중인데 디스크를 SSD Raid-10으로 바꾸고 램을 32GB로 올렸을때 SQL성능 향상이 얼마나 될까요
2. P410i 컨트롤러에 SSD가 지원될까요
3. DB서버용 하스웰 or 아이비브릿지 기반 서버 추천 부탁드립니다 (가격은 일단 무시)
4. 기타 조언도 곁들여 주신다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부족하고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__)
MSSQL 경우 제가 이때까지 경험해본 성능 저하는
1. DB용량 보다 RAM 용량이 너무 작은 경우
- DB용량은 8G / 설치된 RAM 4G
2. 1번이랑 반대되는 상황
- 인덱스 설계를 다시 고려 , 조회 컬럼에 인덱스가 안 잡혀 있다던가 잘못 잡혀 있다던가. 등등.
대부분 여기서 끝나더군요.
MSSQL 입니다
말씀하신 1번의 상황인거 같네요
DB파일은 9.5기가 정도에 램은 6기가인데 윈도2003 32bit 라서 4기가 밖에 인식이 안되네요
메모리 부터 올려봐야 겠군요
그럼 운영체제도..^^
소중한 답변 감사드립니다
MSSQL 관리 안하는 서버들은 대부분 여기에서 문제가 발생하구요 64비트 DB서버와 어플리케이션을 분리하면 성능향상이 겁나게 빨라집니다.
MSSQL은 메모리 빨입니다. 하드웨어 스펙 높여봐야 서비스 구조가 정해졌는데 빨라질수가 없는거죠.
소중한 답변 감사드립니다..
그리고 한가지 궁금한게 있었는데 현재 MSSQL 2000을 쓰고 있습니다
이번에 서버문제로 고민하던 중에 데스크탑 PC(샌디i5,하스웰셀러론)에 MSSQL 2008 Express R2 64bit 버전을 설치해서 기존 DB 백업본을 복원한 다음 동일한 쿼리를 돌려봤습니다
MSSQL 2000의 경우 조회시간이 30초 넘게 걸리는데 조회할때마다 비슷한 시간이 걸리더군요
반면 MSSQL2008에서는 처음엔 20초 넘게 걸리다가 두번째 조회할때부터는 1초도 안걸리더라구요
2008버전에는 캐쉬의 개념 비슷한게 적용된건지..
혹시 이부분에 대해 아시면 간단하게 설명 좀 부탁드려도 될까요^^
그리고 요즘 하드웨어에 64비트 OS와 64비트 DB는 성능이 체감할정도로 많이 빨라졌습니다.
메모리 분배는 OS 30% DB 70% 비율로 잡아주는것이 권고 설정값입니다.
답변 감사드려요^^
하스웰은 아직 서버시장에 본격 투입되지 않았습니다. 고려대상에서 제외함이 좋습니다.
신규 DB서버는 디스크가 주렁주렁 필요 없고, OS와 data 2가지만 있으면 되기에 bay 4개 1U로도 충분하므로
1U IBM x3250 m4(4베이)에 1280v2나 1270v2 끼우면 충분할 겁니다. hp도 동급으로 가면 되요.
기존서버의 경우 디스크를 ssd로 바꾸고 (데이터쪽만 바꾸면 되고, os 쪽은 안바꿔도 됩니다)
ssd 1개를 sata 포트에 붙이거나 2개를 410i에 raid 1으로 붙이면 됩니다.
410i에 ssd가 붙지만 fastpath는 안됩니다.
업무용은 DB서버든 뭐든 속도를 우선으로 생각해야 하기에 raid 5는 쓰면 안됩니다.
무조건 1아니면 10 입니다. raid 5는 모두 풀어버리세요.
5620 cpu의 교체는 할 필요없어요.
굳이 하겠다면 x5570 2개를 끼우거나 w5590 2개를 끼워야 하는데, 써보니 x5570 2개보다 E3-1220이 더 쎕니다.
현재 장비를 업글한다면
1. ssd 2개를 사서 raid 1으로 묶어주고 db 데이터 영역을 올려주고
2. 기존 sas 3개는 2개를 묶어서 raid 1으로 잡은후에 os를 설치하고
3. sas 1개는 빼버리고 2T sata를 설치해서 이곳에 백업을 받으면 됩니다.
4. mysql을 기반으로 하는 것 같은데 최근 버젼 5.5.32로 업글 하시구요. ms나 oracle은 안죽거든요.
삼성 840프로 240G 2개면 50, 2T짜리 10만원.
60이면 충분히 업글 가능하겠네요.
주렁주렁 많은 10년 가까운 서버들은 E3-1270 급이 꼽히는 1U 서버에 ESXi나 hyper-v로 가상화 해서
다 올리고 철수시켜 버리세요. 10년이면 서버로는 100살은 넘은 나이 입니다. 박물관 가야죠.
개발된 프로그램이 그것에서만 돌아가는 경우가 있는데 항공쪽이 특히 그렇고
그런 장비들은 지속적인 PM을 통해서 상태를 유지해주기 때문에 99.99% 가용성이라는게 나올 수 있죠.
F16 같은 장비의 BOM 프로그램은 70년도에 개발된 환경에서 동작 하는데,
다시 개발하기도 뭐해서 그냥 옛날 장비를 사용합니다.
그러나, 일반적인 x-서버의 경우 3년이 넘으면 부품의 수명을 예측할 수 없습니다.
언제 죽을지 모르는 불안한 상황이 되어버리고,
사용중에 HDD나 보드가 죽어버려도 대체 부품을 구하거나 as를 하는 것이 아주 어렵기 때문에
5년이 지나면 새로운 장비로 교체하는 것을 권유하는거에요.
3년간 유지보수 비용이나 (하고 있다면...) 새장비 구매비용이나 그게 그거거든요.
"가성비" + "가용성" 모두 다 봅니다.
작은 기업일수록 서버의 댓수가 많지 않기 때문에, 1대가 죽으면 모든 것이 끝장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99.99%의 가용성을 유지하기 위해서 서버 모니터링 + 장비교체 + as 유지보수계약은 필수 입니다.
720도 DOA 당해서 보드만 5번 이상 바꿨고 raid도 3번정도 교체하고 하드도 교체하고...
ML 110 G7도 테스트중에 보드가 나가버려서 교체를 했고,
IBM m3는 배터리 나가고 HDD 1개 나가고...
DOA는 서비스 투입전의 상황이니 그거는 문제가 되지는 않는데 (물론 속은 엄청 상합니다...)
운용중에 HDD 장애 같은 것들이 생각보다 심각하더라구요.
참고로 mainframe급도 DOA가 있습니다.
%는 낮지만. 몇억 주고 산 것을 DOA 당해보면 아주 당황 스럽다는.
저희 회사에 사용중인 구형 서버들은 특별한 용도의 서비스 때문에 유지를 해야하는 상황은 아니고 그러한 서비스들은 새로운 시스템을 도입해서 대체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기타 잡다한 용도(소프트웨어관리,메일,메신저 등등)들 때문에 놀면 뭐하나 하는 심정으로 남는 구형서버를 돌리는 중이랍니다^^;;
소중한 의견 감사드립니다~
1280 v2랑 1270 v2는 가격이 배로 차이가 나네요ㅎ;;
1270 v2에 메모리는 어느정도가 적당할까요 최대 32GB 지원인거 같은데 32GB는 너무 과한가요? 메모리는 다다익선이라 들었던거 같기도..ㅎㅎ
기존서버는 말씀하신대로 구성을 고려해봐야겠습니다
P410i에 SAS Raid 1 + SSD Raid 1 또는 Raid 10 동시에 구성이 가능할까요?
서버 업그레이드와 신규서버 구매를 병행해서 말씀하신거처럼 구형서버들 정리를 좀 해야할거 같습니다
자세한 설명 덕분에 고민이 좀 해결 된거 같네요
소중한 의견 감사드립니다^^
1270v2와 1280v2의 경우 가격차이가 큰데 부하가 아주 심한 경우라면 차이가 있지만
동접이 100명 정도라면 생각보다 차이가 크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저 같으면 1270v2를.
P410에 sas 2개로 raid 1, ssd 2개로 raid 1 가능합니다.
제가 그렇게 2대를 구성해서 쓰고 있어요.
구형서버는 언제 사고 터질지 모르는 시한폭탄 같은 것이라...
신규 장비가 들어올 때마다 빠지는 구형장비의 부품을 기존 구형장비에 추가해서 업글을 해주고
남는 보드는 자가보수를 위해 별도로 보유 하는 것도 방법입니다.
중소기업의 경우 100만원 품의 쓰기도 힘든 상황이니 최대한 재활용되는 것은 재활용해야죠.
괜히 확인 안하고 질렀다가 낭패 볼수도 있어서 재차 확인을 하게 되네요^^;;
2개로도 충분한거 같아요.
베이가 여유 있다면 대용량을 2개 끼워서 그곳을 백업공간으로 쓰는 것도 방법이구요.
db 로그는 안정적인 sas에 남겨두고, data와 swap 공간만 ssd에 넣으면 되니까요.
점심식사 맛있게 하세요~
X3250m4. 레이드및. 버그이슈가 있었습니다. 개선 됐나 모르겠네요.
Ibm 에서 초기에 쉬쉬 했지요.
저도 두어번 당하고 entry는. 맘편하게. Hp나 dell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요새 x장비는. 실망 그자체입니다.
hp는 무난한거라 큰 문제는 없는거로 알고 있는데
델은 1U 장비의 12세대의 raid controller의 성능이 xx 같아서 추천 안합니다.
요즘 말로는 전기만 마니 먹는 서버죠.
고철로 팔아치워야 하나..ㅋ
특히나 접속자가 몰리는 시간대에는 시간초과로 오류를 내뿜는 경우'
이런 상황이면 업그레이드 보다는 SQL 튜닝이 선행 되어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HW업그레이드로 어느정도 커버가 되겠지만
시간이 조금만 지나도 다시 현 상황이 재현될 가능성이 높아 보입니다.
여건상 하드웨어 업그레이드를 먼저 고려하게 됐네요^^;;
추후에 한번 하긴 해야겠죠..하드웨어로 밀어부치는것도 한계가 있을테니..
소중한 의견 감사드립니다^^
사내 시스템이고 개발하셨다면 쿼리가 엉망일가능성이 높죠
이런경우 장비 업글해도 효과를 못볼수도 있습니다
(그러면 기안해서 추진한사람은 욕먹기 딱좋죠)
요세는 장비가 저렴해서 업글이 손쉬운 해결책이긴하나 쿼리가 엉망이면 효과가 반감하죠
사실 하드웨어를 업그레이드 하는 방향으로 추진을 하고는 있지만 계속 SQL 튜닝의 필요성이 머리속에서 떠나질 않네요
맘같아선 튜닝부터 해보고 싶지만 전산 관련업무에 대해선 무지하신 윗분들에게 이 내용을 이해시키고 설득할 생각하니 벌써 머리가 아파오네요ㅎㅎ;;
소프트웨어도 돈주고 사는걸 아까워 하다 단속에 걸려서 크게 한번 식겁한 후로 인식이 바뀐 상태랍니다..;;
어쩌면 이 일을 추진하고 승인을 받아내는것도 제 능력일지도 모르겠네요..
다시 깊은 고민을 해봐야겠습니다
소중한 의견 감사드려요^^
http://sqlroad.com/
제가 개발을 발로하다보니 -.-;;
1번 받으면 4-5년이 편해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