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MPS와 LED드라이버의 차이점이 궁금합니다.

   조회 38469   추천 0    

LED 작업하시는 분들을 보면...

간판쪽에서는 SMPS 를 사용하고
실내 조명용쪽에서는 LED Driver 라고 부르더라구요...

어짜피 교류를 직류로 바꿔서 사용을 한다라고 알고있는데 

조명용으로 나오는 제품들은 대부분 LED Driver 를 사용하던데 굳이 용량 작은걸 여러개 쓰는거보다도 

한방에 용량이 좀 큰 SMPS 같은걸로 실내 조명등에 사용해도 괜찮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해 봅니다.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정은준1 2014-06
저와 비슷한 생각을 하는 분이 네이버에 계셨네요.

http://kin.naver.com/qna/detail.nhn?d1id=11&dirId=1118&docId=111827883&qb=c21wcyBsZWQg65Oc65287J2067KEIOywqOydtOygkA==&enc=utf8§ion=kin&rank=1&search_sort=0&spq=0&pid=RIYrfwpySDVssu4zaAhssssssu4-135197&sid=U6vpqXJvLCAAAAghFfY

근데 읽고나서도 무슨얘긴지 잘 모르겠습니다. 

좀 쉽게 설명해주실분 계신가요? ^^
     
1page 2014-06
안녕하세요!
저도  led driver모델을 정확하게는 모르지만, ... 요약하면,
Smps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전류를 정격치 이내 사용
Led 드라이버: 전류를 일정하게유지,따라서 led에따라 전압이변함.

Led라는 물질은 통상 전류에 비례하여 밝기를 유지하는 특성이 있어서 그렇습니다.
처음 차가운 상태에서 내부저항이 높아 전류가 작게 흐르다, 발열로 고온이되면 내부저항이 낮아져 전류가 많이 흐르기 때문에... 최적화 하기위하여...
Led등은 정전류 전원장치가 있어야 일정한 밝기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저의 짧은 의견입니다.
즐거운 하루 되세요...
왕미할배 2014-06
SMPS는 일정한 전압과 전류를 맞춰주는 전원장치이고, LED드라이버는 LED를 일정한 전류로 구동시키는 장치이다.

...라고 요약이 되네요.
링크의 영상 정보쪽 보시면 대략 설명해 놓으셨는데...
전원 공급을 위한 SMPS조차도 크다고 생각되는 LED 제품들을 위해서
하나의 IC칩으로 전원공급을 해주는 제품을 LED power driver라고 칭하는 것 같습니다.
http://www.youtube.com/watch?v=O7sqvngHdNc
     
정은준1 2014-06
감사합니다. 부엉이님^^
영상을 보니 SMPS 와 Driver에 대해서 잘 설명을 해 주시는거 같습니다 .

사용시간, 크기 등등을 설명해주시는거같은데 Driver가 훨씬 유용한방식으로 설명을 해 주시는거 같네요...
이런 영상까지 찾아주시고...정말 감사합니다. !!
Uknow 2014-06
앞에 말씀 하셨던 내용과 중복되지만 LED는 정전류 제어를 통해 디밍을 하고 정해진 규격품(W)의 조명기구로 제작됩니다. 이때 SMPS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을 LED 종류 및 배열 등에 적합하도록 전류 설계값에 맞게 제어하는 것이 LED 드라이버 입니다. 초기에는 전류 제어(드라이브)를 위해 핫한 저항, 317등을 사용하다가 현재는 PWM 제어 방식 칩 및 모듈 형태의 드라이버를 사용하여 회로를 구성합니다. 그렇지만 최근 실내등 등의 화이트 조명은 LED 패키지 품질향상(균일성-편차 저하)과 효율성 증가, 드라이버 소형화 및 효율성 등이 높아지게 되면서 지정된 고정 밝기의 단일 LED패키지 적용 화이트 조명 제품들은 정전류 제어(회로가 내장된)가 가능한 LED SMPS를 직접 적용하고 있습니다. 기술 발전으로 효율 높아지고 발열 줄고, 작아지고, 기능이 집약되고, 가격 싸지고... 경쟁 업체 많아지고 먹고 살기 힘들어지고  ㅠㅠ.
참고로 KS 문서에서는 컨버터라는 명칭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정은준1 2014-06
잘은 모르겠지만....동영상을 보니 드라이버를 통해서  칩수준으로 해서 내구성과 역율( power factor ???) 을 높였다는 얘기를 하는거 같습니다.
저의 짧은 생각으로 그냥 단순히 교류를 직류로 변환해주기만하면 LED에 점등이 되는게 아닌가 했는데 여기에도 엄청난 기술이 들어가는거였군요 ^^

감사합니다.
무아 2014-06
SMPS : 스위치 모드 파워 서플라이(Switched-mode power supply)
보통 정전압을 제공하는 것이고

LED power driver : LED 구동용 전원 변환장치? 쯤 됩니다.
LED 동작특성에 따라 정전류를 보장하는 것도 있고 온오프 제어를 이용하는 것도 있고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정은준1 2014-06
SMPS는 그냥 흔히 우리가 사용하는 컴퓨터용 파워서플라이 정도로 이해를 했습니다.
드라이버는 이것보다 훨씬 더 정밀하게 제어를 해 주는거 같아보입니다....

이정도까지 밖에 이해가 안되네요 ㅎㅎㅎ
오홍식 2014-06
SMPS는 보통 교류를 직류로 전환하거나, 직류를 다른 전압의 직류로 바꾸기 위해 사용됩니다.

Switched mode라는건 정 전압을 만드는 방법중 하나로, 반대는 Linear 방법입니다.
Switch mode는 출력부에 전류를 저장하기 위한 코일과 전압을 저장하기 위한 캐패시터가 들어갑니다.
feedback 회로에서 위 코일과 캐패시터로 구성된 LC 평활회로의 출력을 살펴서
전압이 부족하면 switch on, 전압이 충분하면 switch off로 출력을 계속 스위칭하는 방식으로 동작합니다.
즉 출력이 필요한 경우에만 출력을 내보내므로 Linear에 비해 효율이 좋지만 switching 과정에서 발생하는
잡음이 문제가 됩니다.

LED driver는 정 전류 구동을 도와주는 장치의 일종입니다.
LED나 모터등 실제 힘(W)를 필요로 하는 장비들은 전류에 따라 출력이 비례합니다.
결국 일정한 밝기, 토크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일정한 전류가 필요하다는 결론인데
이 때 I=V/R의 식으로 일정한 전류 = 입력전압 / 회로의 등가저항 을 사용해서
회로의 등가저항은 어디 가지 않으니, 입력 전압을 제어하면 원하는 전류량을 만들수 있다는 이론을 사용합니다.

보통 LED를 자작할 때 5V에 LED하나면 저항은 270옴.. 이런 공식은 전압이 바뀌거나,
LED를 직렬로 연결하거나, LED의 밝기를 바꾸려면 저항을 바꾸는등 물리적으로 손이 좀 가는데

정 전류회로로 구성된 LED 회로는 LED를 몇개 직렬로 연결하건 특별히 회로를 건들지 않아도
드라이버의 설정만 바꿔주면 전체를 균일한 밝기로 제어가 가능합니다.

또 전류제어되는 장치들은 순간적으로 스펙을 오버해서 작동시킨후 일정기간 휴지기를 두는 방식으로
실제 스펙보다 큰 힘을 낼 수 있는 경우가 있습니다. (펄스 제어라고 합니다..)
또는 전체 전류 소모량을 줄이기 위해 사람이 인지 못하는 속도로 점멸을 계속 하기도 합니다.
(고급 레이저 포인터의 포인트를 빠르게 이동하면 선이 아니라 점점이 뿌려지는 경우가 이런 경우입니다)
LED도 위의 두가지 펄스제어를 하면 스펙보다 밝은 빛을 내거나 전력 소모를 줄일수 있는데
보통 LED 드라이버는 이런 기능을 자체적으로 지원합니다...

LED드라이버도 전력이 필요하니 보통 SMPS와 결합할 때는 SMPS의 후단에 두거나
혹은 따로 전압을 입력받거나, 두 모듈을 하나로 통합한 모듈로 나오기도 합니다..
     
정은준1 2014-06
역시 전문가님의 설명을 들으니 조금은 알듯 합니다.
감사합니다.
이해하면 2014-06
LED 가 단색이면 SMPS(전원공급) 만 사용

LED가 RGB면 SMPS(전원공급) -> LED드라이버 (색상변환)  으로 구생됩니다.
     
어린왕자 2014-06
LED드라이버라 말하면 보통 정전류 회로를 말합니다.
즉 단색이더라도 드라이버를 사용하든 저항을 연결해 과전류를 방지해야 합니다.
          
이해하면 2014-06
시중에 유통되는 LED바는  저항하고 일체형 아닌가요?
그래서 위의 답변으로 드렸는데 잘못알았나봐요 ^^
RGB가 밝기제어(디밍), 색상조절 등 때문에 세트로 붙은 경우가 대부분이긴 하지만 무조건 드라이버가 붙어있는것은 아닙니다.

LED의 장점이자 단점이 전류를 주는대로 받아먹는다는겁니다.
같은 3v를 흘려줘도 100mA SMPS와 1A SMPS 간의 밝기차이가 매우 심합니다.

LED Driver와 LED Drv + SMPS가 혼용되어 SMPS와 혼동할 수 있다고 생각됩니다.
아이폰이나 갤럭시 등의 휴대폰을 충전할때 SMPS 어댑터 -> Li-pol 1Cell 배터리식으로 직결되는것이 아니라
SMPS 어댑터 -> 휴대폰 내부의 충전회로 -> 배터리 로 연결이 되어있습니다.
이 충전회로 역할을 하는것이 LED Drv입니다. 물론 요즘은 모듈화 통합화로 인해 대부분이 SMPS + LED Drv 통합형으로 나오는 추세입니다.


QnA
제목Page 3155/5724
2015-12   1764099   백메가
2014-05   5238625   정은준1
2014-06   4295   장동건2014
2014-06   5270   김병일
2014-06   4784   김승현1
2014-06   38470   정은준1
2014-06   6412   황혼을향해
2014-06   6208   나파이강승훈
2014-06   4730   윈도우10
2014-06   7557   테돌아이
2014-06   7101   왕용필
2014-06   5673   둥가당
2014-06   5182   보물섬
2014-06   7792   김제연
2014-06   4663   빠시온
2014-06   5087   엘시드
2014-06   4580   서정욱
2014-06   4148   송진현
2014-06   8805   Q군
2014-06   5340   테돌아이
2014-06   4439   걸인신홍철
2014-06   5448   김충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