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761849 |
25 |
2015-12
1761849
1 백메가
|
|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7) |
정은준1 |
2014-05 |
5235631 |
0 |
2014-05
5235631
1 정은준1
|
57644 |
ESXI 스냅샷은 정확히 무슨 기능인가요? (5) |
민사장 |
2015-04 |
10442 |
0 |
2015-04
10442
1 민사장
|
57643 |
Z820 이 잤다가 깼다가 합니다. (4) |
미담 |
2015-04 |
4128 |
0 |
2015-04
4128
1 미담
|
57642 |
이제품에 대해 혹시 아시분 계신가요~? (2) |
눈부신아침 |
2015-04 |
3580 |
0 |
2015-04
3580
1 눈부신아침
|
57641 |
GA-P35_DS3R/GA-P35-DS3L 개조바이오스 요청드려요. (3) |
친니 |
2015-04 |
4585 |
0 |
2015-04
4585
1 친니
|
57640 |
예전 산업용 공구품 PROMISE SATA300 TX4 제품 2TB 지원 문의 (2) |
겨울나무 |
2015-04 |
3799 |
0 |
2015-04
3799
1 겨울나무
|
57639 |
바이패스 27인치 모니터 - HDMI 컨버터로 연결가능한가요? (3) |
윈도우10 |
2015-04 |
9265 |
0 |
2015-04
9265
1 윈도우10
|
57638 |
Dell 노트북용 SATA케이블입니다. (3) |
김유중 |
2015-04 |
5924 |
0 |
2015-04
5924
1 김유중
|
57637 |
커넥터 선연결 어떻게해요? (5) |
김복동 |
2015-04 |
5515 |
0 |
2015-04
5515
1 김복동
|
57636 |
인피니밴드용 케이블 구매관련 (2) |
정영철 |
2015-04 |
3799 |
0 |
2015-04
3799
1 정영철
|
57635 |
hdd 2개로 raid 1-0 구성이 가능한가요?? (7) |
비밀의힘 |
2015-04 |
3793 |
0 |
2015-04
3793
1 비밀의힘
|
57634 |
USB to HDMI 써보신 분의 조언 부탁드립니다. (6) |
s김종화z |
2015-04 |
3818 |
0 |
2015-04
3818
1 s김종화z
|
57633 |
서버? 네트워크? 이런 문제는 어떻게 접근을 해야 할까요? (16) |
하늘하늘 |
2015-04 |
4916 |
0 |
2015-04
4916
1 하늘하늘
|
57632 |
[해결] 서버? 네트워크? 이런 문제는 어떻게 접근을 해야 할까요? (1) |
하늘하늘 |
2015-04 |
3199 |
0 |
2015-04
3199
1 하늘하늘
|
57631 |
IBM ServeRaid M5110 SSD cache 기능 지원유무 (3) |
김윤술 |
2015-04 |
4575 |
0 |
2015-04
4575
1 김윤술
|
57630 |
라즈베리파이 바나나파이 또는 다른 임베디드보드와 LCD 모니터 (8) |
나파이강승훈 |
2015-04 |
4891 |
0 |
2015-04
4891
1 나파이강승훈
|
57629 |
귀신이곡할노릇입니다... 미치고 팔짝뛰네요... (11) |
나파이강승훈 |
2015-04 |
5985 |
0 |
2015-04
5985
1 나파이강승훈
|
57628 |
쿼드로와 지포스를 동시에 사용가능할까요? (12) |
KINDMOON |
2015-04 |
11800 |
0 |
2015-04
11800
1 KINDMOON
|
57627 |
공유기 추천 부탁드립니다. (3) |
근성가이 |
2015-04 |
4472 |
0 |
2015-04
4472
1 근성가이
|
57626 |
확장카드 문의입니다. (6) |
미담 |
2015-04 |
4077 |
0 |
2015-04
4077
1 미담
|
57625 |
두가지 질문좀 드리겠습니다. (3) |
테돌아이 |
2015-04 |
3695 |
0 |
2015-04
3695
1 테돌아이
|
클라이언트에서 sshd 쪽으로 ping 을 해보거나 telnet 으로 포트까지 지정해서 쏴 보세요.
telnet으로 접근해보시거나, nmap으로 포트 스캔을 해보시는 게 좋겠네요.
포트가 열렸는데 접속이 안되는 것인지 포트 자체에 도달하지 못하는 것인지 먼저 확인해보세요.
전자라면 sshd 설정에서 로컬 ip 대역만 접근 가능하도록 되어 있는 것이고,
후자라면 방화벽, 포트포워딩 등을 다시 확인하셔야 합니다.
자체 방화벽은 꺼버렸고...
WebKnight 라고 있었는데 그것도 없애버렸고...
지금 안랩의 V3 에이젼트가 켜있기는 한데 이건 그냥 바이러스만 하고 있거든요... 한번 끄고 해봐야겠네요...
사설망에서 지금 문제가 있거든요...
물론 외부로도 나가지 않고 있지만요 (ssh만) 사설망에서 제가 원하는 IP로 얼마든지 바꿀 수 있고... 사설망의 다른 아이피들은 ssh 로 접속하는데 아무 문제가 없습니다. 그리고 결정적으로 ssh 는 무조건 안됩니다... 내부넷워크선상에서도 안되고... 외부의 ssh 서버에도 접속이 안됩니다...
클라이언트에 있는문제가 100프로이긴합니다만... 클라이언트에서 도대체 이건 뭣때문인지... 이해가 안가고 있습니다...
레지스트리 말고 다른 곳에 저장되는 것은 아닌지요?
이럴땐 포맷이 약인데...
문제는 Windows 2003 써버에 로컬보안설정이란것이 있는데 거기에 IP 보안 정책이라고 보통 Windows Desktop 과는 다른 추가적인 방화벽비슷한것이 있었네요... 그것이 모든 포트를 막고 있었습니다. 물론 80 과 443 은 열려있었는데 나머지는 싹다 막혀있던것 같아요...
매일 이렇게 새로운것을 배워갑니다... 재미있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