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상화 네트워크 문의드립니다.

슬루프   
   조회 3880   추천 0    

하이퍼-v 기준으로 2개 이상의 isp를 연결하여 외부인터넷 연결을 할때, (인터넷 회선이라 칭한다)

외부 스위치를 각각에 인터넷 회선에 대해서 만들어 주고, 

그 외부 스위치에 대해서 각각 내부 스위치를 만들어주고,

둘을 공유 시킨 후에 

vm에 원하는 대로 할당하면 


각 vm들은 별개의 회선으로 외부와 연결이 되는 것이 맞는지요?


말은 맞는거 같은데 아직 안해봐서 잘 모르겠습니다.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PiPPuuP 2016-03
둘을 공유시킨다는 의미를 모르겠습니다.....
실제 nic를 공유해서 사용하는 가상 nic를 할당해 주면 해당 vm은 그 nic로 외부와 통신합니다.

할당되지 않은 nic로 튀는일 없으니 별개의 회선들을 필요에 따라 각 각 지정해 줄 수 있습니다.

다만 hyper-v 자체 기능으로 특정 물리 nic가 끊기면 다른 nic로 옮겨버리는 경우가 있으니 그거만 꺼버리시면 됩니다. 이게 작동되는 조건이 있었는데 기억나질 않네요...
     
슬루프 2016-03
물리 네트워크 카드에 만들어진 가상의 외부스위치와 내부스위치를 공유설정하는게 아닌가요?
          
PiPPuuP 2016-03
아... 어떤 의미로 사용하셨는지 알겠습니다.
hyper-v에서 가상 nic는 두 종류로 나뉘는데, 순수 가상 nic와, 물리 nic를 매핑한 가상 nic로 나뉩니다. 두 번째의 경우 호스트 OS와 nic를 공유할 경우 , 호스트에 할당되는 nic도 물리 nic를 공유하는 가상 nic입니다.

그냥 쉽게 생각하세요. 물리 nic를 공유하는 가상nic는 그냥 해당 물리 nic가 소속된 망에 직결된 nic랑 동일하게 동작합니다. 마치 vm에서 라인을 밖으로 꺼내서 직접 꽂은것처럼요.
심지어 하나의 물리 nic에서 서로다른 vlan을 지니는 가상 nic들을 여러개 뽑아낼 수도 있습니다.
이 경우 물리 nic가 연결된 라인이 트렁킹 된 라인으로 설정할 경우 하나의 nic로도 서로다른 네트윅에 연결된 가상 nic들을 만들어낼 수도 있지요.
               
슬루프 2016-03
대충은 이해가 되네요.. 감사합니다. 결국 공유되는거는 물리 nic와 외부 가상nic네요..


QnA
제목Page 2495/5724
2015-12   1764292   백메가
2014-05   5238882   정은준1
2016-03   4004   김건우
2016-03   8295   izegtob
2016-03   3682   신은왜
2016-03   6349   Carolus
2016-03   5195   아르코
2016-03   6436  
2016-03   4195   미수맨
2016-03   4377   cclim
2016-03   3496   노아디
2016-03   4224   수입산한우
2016-03   4436   겨울나무
2016-03   4207   Dominozlol
2016-03   13247   행복하세
2016-03   5503   지존컴퓨터
2016-03   4477   하셀호프
2016-03   4696   lovemiai
2016-03   4748   왕발
2016-03   3881   슬루프
2016-03   4643   김건우
2016-03   4938   이호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