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도우 8.1 ftp 머리가 터질것 같습니다.

   조회 7999   추천 0    

안녕하세요. 

작년에 노트북에 freeNAS 가지고 놀다가 2cpu를 접하고 신세계를 경험 하고 있습니다.

어느덧 정신을 차리니 GEN8 택배가 집앞에 도착했습니다...즐거운 마음으로 셋팅을 시작 했지만 4일째 끙끙거리고 있습니다.

환경: PC 1대(윈도우 10), GEN8 1대(윈도우 8.1, 128g ssd, 4t*2-raid),

        SKB 인터넷, IP time 공유기, 리피터

아래 내용을 적기 전에 네트웍 구성도를 올립니다.

시도 1: Gen8에 windows 8.1 IIS ftp 설치- 

         연결계정이 안되었으나 IIS_IUSRS 그룹 아이디 만들어서 설정 테스트까지 성공-서버 연결 안됨

         방화벽 확인 햇으나-서버 연결 안됨, 방화벽 전부 사용 안함 했으나-서버 연결 안됨

시도 2: Gen8 파일질러 ftp server 설치-서버 연결 안됨

시도 3: Gen 8 알 ftp server 설치-서버 연결 안됨

시도 4: 주P/C에 파일절러 ftp server 설치 - 서버 연결 안됨

시도 5: 공유기 빼고 주P/C에 인터넷 선 연결 및 알ftp 설치(내부 i/p 주소 아님)- 서버 연결 안됨

         -> 카스퍼스키 백식 방화벽 추가 -> 카스퍼스키 실행 종료 - 서버 연결 안됨

시도 6: 주P/C 알ftp 에서 port를 6599로 ftp 접속 성공 (검색 결과 SK브로드밴드가 21번 포트를 막는다고 하는데ㅠㅠ)

         여기서 끝났으면 얼마나 좋았을 까요ㅠㅠ

         file upload하니 550 access 거부 ㅠㅠ 머가 꼬였는지 참 머리 아프네요

시도 7: 네트웍 구성을 원래 공유기를 거치는 것으로 원상 복구하고 시도 2의 상태로 하고 있으나 여전히  

Connecting to server 192.168.0.19:14147...
Error, could not connect to server

여신 이런 메시지를 뿌리고 있습니다. ㅠㅠ


gen8 사용 용도는 usb 사운드 dac을 오디오에 연결하고 스마트폰으로 음악 플레이, 

내부/외부 에서 ftp 접속해서 음악 플레이 정도 입니다. 

해서 윈8.1에 ftp, 푸바2000 만 설치해서 사용 할려고 하는데 ftp가 안되니 맨붕하고 있습니다.

머가 문제 일까요?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김황중 2017-02
일단 내부가 되어야 외부도 될것이고
내부에서 성공하신후 외부 확인을 하심을 추천 드립니다.

전반적으로......
설정 미숙이 원인 아닐까 싶네요.

간단하게 ftp 서버를 한대에 올려 주시고
다른쪽에서 클라이언트 설치나 브라우저등에서 열리는지만 확인해 보시는것이 우선일듯 합니다.

의외로 윈도에 내장된 ftp... 셋팅하기 힘들죠...^^


PS. 내부 테스트 하실땐 보안프로그램 및 방화벽 다 내리고 하세요~~~
김제연 2017-02
http://m.egloos.zum.com/genes1s/v/2435051

참고해보시고요6599로  성공하셨는데  내부는14147로  접속하시는건가요  바꾸신건가요

그리고  외삭 공유기는  루프백 이안되는것들이  있어서  내부서버로  접속이  안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포트포워딩 하신뒤  도메인이나  인터넷으로  접속해보세요

http://m.ppomppu.co.kr/new/bbs_view.php?id=nas&no=17503
무아 2017-02
1. ftp 서버의 포트는 뒷 번호로 변경하여 사용한다. (이건 기본이죠. 해킹도 막을 겸)
2. 해당 포트번호에 대하여 ftp 서버가 있는 컴의 방화벽을 허용한다.
3.  공유기에서 포트포워딩을 통하여 외부에서도 ftp 서버에 접근할 수 있도록 설정한다. 이때 외부에 21포트를 내부의 ftp 변경포트로 설정하는 바보짓 말기.
4. (옵션)file upload하니 550 access 거부?    ftp 서버측 설정을 확인한다.
이정도면 되지않을까 싶은데요.
김윤술 2017-02
FTP가 일반 포트포워딩과는 별개로 데이터포트를 사용해서 이런 문제가 발생하는겁니다. 21번이 되면 20번 데이터채널만 열리면 상관없는데 21번을 제외한 비정규 포트는 1024-65535를 랜덤으로 쓰게되어 있습니다. 그래서 비정규 포트 범위를 지정하여 서비스를 구동해야되는데 이게 또 외부에서 접속할때는 또 달라지게 됩니다. NAT 하단에서는 저포트를 열어줘도 안되고 공유기의 비정규 FTP를 지원하는걸 사용하거나 아니면 IIS/파일질라에 외부아이피 등록해주는 옵션이 있습니다. 그걸 사용안하면 외부에서 데이터채널 오류 550이 뜨게됩니다.
FTP같이 머리아픈거 쓰지말고 그냥 SSH 쓰는걸 오히려 추천합니다. FTP가 공인존에 비정규 포트로 돌리면 모든게 편한데 공유기 하단에 넣으면 여러모로 짜증납니다. 특히 IP타임같은거는 포트할당을 무수히 많이하고 세션을 빠로 빼지못하는 버그가 있어서 간혹 공유기 재시작을 해줘야하는 문제가 있어서 VPN붙고 FTP를 쓰거나 SSH 쓰거나 하는게 정신건강상 편합니다. 내부망만 사용하는거라면 21번을 쓰세요 그게 훨씬 편합니다.
     
초록슈퍼맨 2017-02
ssh는 또 공부해 보겠습니다.
방금 해보니 n-player 앱으로 ftp 접속을 해서 노래를 듣는데 중간에 time out 되는 현상이 있네요..

감사합니다.
NGC 2017-02
pasv모드를 사용해서 특정 Port만 Data Port로 사용하세요
초록슈퍼맨 2017-02
여러 분들의 답변에 감사드립니다.

역시 제가 먼가 기본 설정을 잘못 했다는 것 같아서 열심히 다시 찾아보니 내부 ftp 접속 및 파일 송수신은 성공 했습니다.

원인은 윈도우 관리에서 서비스 중 microsoft FTP service "다시 시작"을 하니깐 정삭 적으로 되었습니다.

구글링 도중 누군가 포트 번호를 바꾼 경우 위의 다시 시작을 하면 된다는 글이 있어서 하니깐 되었습니다.

친절한 답변에 감사드립니다.
초록슈퍼맨 2017-02
그런데 외부 연결은 또 안되네요..ㅠㅠ
     
초록슈퍼맨 2017-02
자문 자답이네요. 외부 연결 문제는 iptime 공유기에서 비정규 포트 등록을 하니깐 해결 되었습니다.

혹시 저처럼 삽질하는 분들을 위해서 글을 남겨 봅니다.


QnA
제목Page 2091/5725
2015-12   1767347   백메가
2014-05   5242065   정은준1
2017-02   4851   김유중
2017-02   5320   행복하세
2017-02   4733   박문형
2017-02   4195   lovin09
2017-02   4792   메이
2017-02   5397   네이쳐
2017-02   6174   비오는날우산
2017-02   4472   행복하세
2017-02   5374   나파이강승훈
2017-02   4970   김건우
2017-02   5915   김건우
2017-02   4427   lovin09
2017-02   8000   초록슈퍼맨
2017-02   6006   대우
2017-02   4390   두cpu
2017-02   7092   신우섭
2017-02   5813   jc787899
2017-02   5648   씨형
2017-02   5258   무아
2017-02   5718   메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