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놀로지 Nas두대 운영 질문

   조회 6426   추천 0    

 짧고 굵게..

얼마전 자료날려먹고 두대를 이용하여 자료보존을 고민하고 있습니다


레이드 5혹은 10으로 두대다 하느냐

단일로 해서 메인으로

서브는 ha를 이용해서 하느냐


어떻게 구성하는게 나을까요?

Ha로 연동하면 자료도 서브컴에 백업되죠?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박문형 2017-12
HA가 재대로 지원되는지부터 알아보세요..

HA 지원할 때 따로 소프트웨어가 필요하다면 그 가격과 셋팅비도 잘 생각해보세요..
     
오퍼레잇 2017-12
현재 시놀로지 사용중인데, ha 지원된다는것같더라구요.
1+0 두대로 개별운영을 권장드리며,
별도 네트워크 구성도 고려해보세요.
     
오퍼레잇 2017-12
주소가 두개로 나뉘어져있는게 영 보기좋지않아서요.
두개를 한대처럼 하는방법은 없나요?
          
입에 쓴 약이 몸에 좋듯.. 데이터백업은 조금은 귀찮아도.. 보기 않좋아도.. 불편해도... 안전합니다.
박문형 2017-12
개인적으로는 HA를 믿지 않기에...

1+0 두대 운영에 하나는 메인으로 하나는 풀백업이나 스케쥴링 백업으로 셋팅해서 사용하는 것을 권해 드립니다..

24시간 켜둔다면 증가된 것만 하루에 한번씩 (밤이나 새벽에) 백업해두면 어느 정도 사고는 막을 듯합니다..

3대로 한번 더 백업 해두면 사고 위험이 좀 더 줄어들겠지요..
     
오퍼레잇 2017-12
따로 백업기능을 이용해서 백업하라는거군요.
감사합니다 ㅎ
박문형 2017-12
서버도 HA구성하려면 돈 천만원 이상들고 재대로 하는 데도 잘 없는 것으로 알기에

진짜 필요한 금융권 정도 아니면 잘 사용하지 않는 것으로 압니다..
     
오퍼레잇 2017-12
아, 단순히 쉬운게 아니였네요..
anh 2017-12
상시 운영이 되어야 하는건...하드웨어도 백업장비가 반드시(?) 있어야죠....^^
보통 나스 한대만 운영하시는데...
그러시는분들 보면...장비 죽으면...아무것도 못하실텐데 말이죠...ㅋㅋㅋ
그러는 사람이 의외로 많아요...
그리고..고장나면..그때,,,난리가 난리도 아니더라구요^^
     
오퍼레잇 2017-12
사실 그냥 백업을 위해서 그런거였는데,
그럼 레이드0으로 전부 구성하고 서브 서버에서 백업만 걸어두는건 어떨가요?
UPS는 조만간 사서 설치할예정입니다..
오퍼레잇 2017-12
시놀로지 이상하게 불안정한것같더군요..
전에 일반 리눅스서버떄는 이런적이 없었는데.. 운이 좋앗던건지..

그냥 레이드0으로 하고, 서브서버에서 백업 스케줄링을 거는건 어떨까 모르겠네요.
실사간으로 자료를 백업해야하는건 아니라서 하루에 한번정도 백업을 걸어두면..
그중에 중요한 자료는 한곳에 더 백업해두고..
박문형 2017-12
레이드 0는 임시공간용이며 한개의 하드에 배드만 나도 데이터 훌러덩 날라갑니다..
     
오퍼레잇 2017-12
어렵네요.. ㅡ_ㅡ;;
기존엔 레이드0으로 하드 하나만물려서 썼었는데
SOGm 2017-12
시놀로지 제공 어플리케이션 중에요 hyper backup이라고 있습니다.
서버에는 hyper backup vault 까시면 되구요
버전생성해서 백업을 해줍니다.
저도 DS216이랑, 헤놀 3615돌리고 있습니다.
216이 메인장비이구요, 중요데이터만 헤놀에 Hyper Backup Vault로 백업 받고있습니다.
     
오퍼레잇 2017-12
혹시 궁금한게 RSync같은 기능은아니죠?
대용량 파일이라면.. 굳이 또백업할필요는없는데, 용량문제로..
동영상이나 이런건
          
SOGm 2017-12
아마 비슷할것입니다..

백업은 거기서 거기니깐요..??
근데.. Rsync를 잘 몰라서요..ㅠㅠ

Hyper backup은
일단 정해놓은 시간에 정해놓은 디렉토리만 백업합니다.
전채를 백업하는것은 아니구요.
               
오퍼레잇 2017-12
아무래도 같은 파일을 또 백업하면 용량이 비약적으로 늘어날테니까요 ㅎㅎ
근데 저리해도 raid10으로 가야겟죠? 으.. 용량이
                    
SOGm 2017-12
1/3정도로 압축이 되긴 합니다.
물론... 용량의 압박은 어쩔수 없는것 같군요..
저는 다행히도 중요 문서만 백업이라서요..ㅎ
                         
오퍼레잇 2017-12
감사합니다 ㅎㅎ
                    
용량(비용)과 데이터(가치) 중 어느쪽을 선택할지도 백업시스템구축에 중요한 결정요소입니다.
아나벨가토 2017-12
DB나 자료가 시놀로지 안에 있다면 시놀로지->시놀로지로 위에 댓글에 있는것처럼 백업예약걸어서 백업하시면될거 같고

DB 가 밖에 있거나 나스데이터에 접근 가능한 백업프로그램이 별도 있다면 백업프로그램으로 증분백업이나 이미지 백업,단순복사
작업을 하셔도 가능합니다. (ex. 아크로니스)

제일 좋은건 원격지 백업이 하나 더 있는게 좋죠.

좀 변칙방법이긴한데, 시놀로지나 아크로니스를 못믿는다면, 하드웨어 좀 미친듯이 빵빵하게 하나 서버셋팅해서(자작서버) FREENAS 의
btrfs 파일시스템의 내부 증분백업을 이용해도 됩니다. (어떤분들은 ext4 보다 아직 불안정하다고 하시는분도 있으시지만요.)
자료양에 따라서 비용이 더 나올수도 적게 나올 수도 있습니다. 이렇게 해서 FREENAS는 단순히 백업용도로만 사용하셔도 됩니다.


QnA
제목Page 1790/5725
2014-05   5245724   정은준1
2015-12   1771040   백메가
2017-12   5114   메모리님
2017-12   5015   iaress
2017-12   5607   암브로시아
2017-12   9057   무아
2017-12   4475   henol
2017-12   6548   나라사랑
2017-12   3865   난다곰
2017-12   6427   오퍼레잇
2017-12   3587   SOGm
2017-12   6240   barcodekr
2017-12   4099   킵고잉
2017-12   3919   하셀호프
2017-12   4285   1z2z
2017-12   4542   아슬레이
2017-12   4115   뒷북소년
2017-12   4609   Psychophysi…
2017-12   5448   바부팅이
2017-12   4060   inquisitive
2017-12   4118   NiteFlite9
2017-12   3830   포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