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가입한지 얼마 안 된 신입 회원입니다.
진작에 이 곳을 알았더라면 제 취미 생활에 여러모로 도움도 되고
필요했던 부품도 저렴하게 구입하고, 이런저런 정보도 많이 알게 되었을 텐데 늦게 알게 되어서 아쉽습니다.
아무튼, 제가 취미 생활 하는 것에 하드디스크가 많이 필요한데요
하드디스크를 많이 사용하다 보면, 언제나 걱정되는 것이 배드섹터 혹은 하드 사망으로 인한 데이터 유실입니다.
크리스털 디스크 인포로 하드디스크의 정보를 간략히 체크했을 때
이렇게 재할당된 섹터 수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2012년에 구매한 시게이트 2테라 하드이고, 작년 4월에 원시값이 271 이었고
얼마전에 279로 증가했습니다
그래서 GM프로그램으로 배드섹터 검사를 해 본 결과 배드 섹터는 없었습니다.
아래는 슈퍼플라워 하드 때문에 사망한 삼성 1테라 하드인데요
재할당된 섹터는 발생하지 않았지만, 보류 중인 섹터가 발생하였습니다. 즉 배드섹터지요.
GM데이터 프로그램으로 검사했을 때 처음에 4개가 발생하였고
파워에 의해 배드가 발생한 거라 혹시 파티션 나누거나 프로그램등으로 배드 부분만 처리하고 남은 부분은 험하게 다운 받는 용도로 써 볼까 했는데
다시 검사 해 보니 배드가 6개로 증가했더군요
경험상 이렇게 배드가 갈수록 증가하는 가망이 없기 때문에 버려야 할 것 같습니다.
아무튼, 저같은 일반인들이 검색을 해 보면 나오는 블로그 등에서는
재할당된 섹터 수가 증가하는 건 하드의 건강에 좋지 않고, 배드섹터가 발생할 위험이 높다
이렇게들 말하는데요
그런데 제가 혼자 하드 수십개를 사용하면서 느낀 점은, 그런것 같지가 않다... 입니다.
한때 히타치 하드를 애용했는데, 히타치 하드의 경우에도 재할당된 섹터가 발생을 하고 때로는 늘어나기도 하지만
막상 배드 섹터도 발생하지 않고, 소음이나, 인식 불가나 이러한 일 없이 잘 돌아 갑니다.
재할당된 섹터가 발생하고 나서 곧 하드가 죽을 줄 알고, 오래된 토렌트 험하게 받는 일을 시켰는데
그래도 사망하지 않고 잘 쓰고 있습니다.
반대로 배드섹터가 발생하거나, 아예 인식조차 되지 않아서 ( 메인보드에서 인식 안 되는 경우도 있고, 보드에서는 인식하는데 운영체제에서 안 뜨는 경우도 있고) 일명 죽어버린 하드디스크의 경우, 죽기직전까지도 재할당된 섹터가 발생하지 않았던 경우가 많았습니다.
저 같은 비전공자로서는 "재할당된 섹터 수" 가 무엇을 의미하는지 아직도 정확히 잘 모르겠습니다.
인터넷에서 떠돌아다니는 정보로는
재할당 섹터의 발생은 하드디스크 품질이 나빠졌다는 것을 의미하며
배드섹터 발생의 전조 증상이다, 이렇게 말하는데요
저의 경험으로는, 재할당된 섹터의 발생과 하드디스크의 배드섹터 발생 혹은 사망과는 별 상관이 없었던 것 같습니다.
재할당된 섹터가 정확히 무엇을 의미하는지
그리고 제가 경험을 토대로 내린 결론인 재할당된 섹터의 발생과 하드디스크의 고장은 별 상관관계가 없다 라는 것이 맞는지
고견을 부탁드립니다.
하드 컨트롤러가 베드 섹터를 판단하는 기준은 특정 섹터를 읽고 쓰는데 문제가 있어서 지정된 시간 이상 걸리고, 그게 지정된 횟수 이상 반복되는가 하는 겁니다.
그래서 특정 섹터를 읽고 쓰는데 문제가 있지만 아직 기준 이하면, 그게 보류된 섹터로 분류가 됩니다. 즉 이게 배드 섹터의 예비 단계 입니다.
그리고 그 기준을 넘어서면 배드 섹터로 분류하고 사용을 금지하는데, 그 때 예비 영역이 남아 있다면 그걸 대신 사용하는 겁니다. 이게 재할당된 섹터의 의미죠.
즉 재할당된 섹터가 떴다는건 이미 배드 섹터가 발생했다는 의미 입니다.
예를 들다면 10번 섹터를 읽고 쓰는데 문제가 있어서 베드 섹터로 분류했는데, 만약 예비 영역의 10001번 섹터가 비어있다면 그걸로 대체하게 됩니다.
그리고 OS에서 10번 섹터를 사용하려고 하면 하드의 컨트롤러 칩이 자동으로 10001번 섹터로 대신 사용하도록 하는 겁니다.
그러니까 단순히 읽고 쓰기 시에 딜레이 시간만 따지만 GM 데이터 같은 걸로는 아무런 차이가 안나오거나, 딜레이 시간이 약간 길어지는 정도로 밖에 안 보입니다.
이걸 배드 섹터가 발생할 때마다 반복하다가, 예비 영역이 떨어지면, 그 때부터는 회복 불가능한 섹터로 분류하고 사용만 금지해두는거죠.
이런 동작은 어디까지나 소수의 섹터에 문제가 생길 경우에 대한 대비책이기 때문에, 그 외의 문제가 발생한 경우에 대해서는 의미가 없습니다.
또한 배드 섹터가 발생하는 원인 중 하나가 전원 공급 불량이나 오작동에 의해서 플래터가 손상되는건데, 이 때문에 배드 섹터가 하나가 발생하면 주변 섹터에 영향을 미친다고 얘기하는거고요.
시게이트 2테라 저거 재할당된 섹터 수 늘어가는 거 보니...
SSD에 OS만 깔고 용량 큰 프로그램이나 게임 같은거 설치 해 둔 하드였는데 안 되겠네요...ㅠ 귀찮아도 다시 설치해야겠습니다.
이 프로그램 하나면 하드에 대한 관리는 많이 편해질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