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767117 |
25 |
2015-12
1767117
1 백메가
|
|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7) |
정은준1 |
2014-05 |
5241831 |
0 |
2014-05
5241831
1 정은준1
|
85931 |
모니터 잔상이 남는데 어느쪽이 문제인가요? (2) |
inquisitive |
2019-02 |
3880 |
0 |
2019-02
3880
1 inquisitive
|
85930 |
프로젝트 전구 많이 비싸거나 구하기 어렵나요? (3) |
김건우 |
2019-02 |
2967 |
0 |
2019-02
2967
1 김건우
|
85929 |
도어락 스트라이크 질문입니다.. (4) |
2CPUI김세훈 |
2019-02 |
8756 |
0 |
2019-02
8756
1 2CPUI김세훈
|
85928 |
ubuntu의 시넵틱에서 나오는 패키지 명을 터미널창 CLI 기반으로 확인해서 설치하는 … (7) |
유호준 |
2019-02 |
2876 |
0 |
2019-02
2876
1 유호준
|
85927 |
윈도우 저장소 VS x놀로지 SHR (9) |
캔위드 |
2019-02 |
4329 |
0 |
2019-02
4329
1 캔위드
|
85926 |
복구용 usb 용량? (3) |
susemi |
2019-02 |
2959 |
1 |
2019-02
2959
1 susemi
|
85925 |
핀헤더를 자작할수도있나요 ? (11) |
삐돌이슬픔이 |
2019-02 |
3609 |
0 |
2019-02
3609
1 삐돌이슬픔이
|
85924 |
virtualbox + centos7 웹서버 운영 (5) |
호호 |
2019-02 |
3382 |
0 |
2019-02
3382
1 호호
|
85923 |
HP DL360G7 에 Dell OEM용 Qlogic 8Gb HBA QLE2562 사용이 가능한가요? (10) |
시도니 |
2019-02 |
4066 |
0 |
2019-02
4066
1 시도니
|
85922 |
잘못된 선택 (2) |
가상화공부중 |
2019-02 |
3372 |
0 |
2019-02
3372
1 가상화공부중
|
85921 |
윈도우 서버로 DNS서버 구축을 하려는데 라이센스를 도통 모르겠습니다. (10) |
악땅 |
2019-02 |
4394 |
0 |
2019-02
4394
1 악땅
|
85920 |
디스크 드라이브 상태가 5%인데... (2) |
모자란트 |
2019-02 |
2748 |
0 |
2019-02
2748
1 모자란트
|
85919 |
aliexpress 구매 물품이 도착을 안합니다.. (7) |
집안청소 |
2019-02 |
3069 |
0 |
2019-02
3069
1 집안청소
|
85918 |
GTX970 으로 4k 영상 구현 가능한가요? (16) |
NUXE |
2019-02 |
12770 |
0 |
2019-02
12770
1 NUXE
|
85917 |
슈마8베이 케이스에 하드랙 어떻게설치해야할까요? (3) |
행복하세 |
2019-02 |
3124 |
0 |
2019-02
3124
1 행복하세
|
85916 |
[질문] D 속도제한 방법 해제? (5) |
페르세우스 |
2019-02 |
5731 |
0 |
2019-02
5731
1 페르세우스
|
85915 |
hp smart array 배터리 교체 질문 (6) |
chotws |
2019-02 |
4020 |
0 |
2019-02
4020
1 chotws
|
85914 |
가계부 앱이나 웹사이트 추천 좀 해주세요. (7) |
화란 |
2019-02 |
4118 |
0 |
2019-02
4118
1 화란
|
85913 |
내장랭 성능 질문 I219-LM 어떤가요? (3) |
프로시아 |
2019-02 |
3947 |
0 |
2019-02
3947
1 프로시아
|
85912 |
전류전압 테스트기 봉만 구매 할때가 있는지요 (3) |
으라차차차 |
2019-02 |
3276 |
0 |
2019-02
3276
1 으라차차차
|
대략 보니 가상화 기술로 가장 작은 디스크 볼륨이미지를 여러개 만들어서 사용 공간을 최소화 하는 기술이네요..
여기서 큰 물리적 하드가 1개 날라가서 작은 가상화 디스크가 여러개 날라가버리면 복구에는 답이 없어 보입니다..
셋팅한 다음 4T 하나 확 빼보는 테스트를 해봐야겠습니다
용량이 다른 디스크에 레이드 볼륨을 만들고 난 나머지 짜투리 영역을 가지고 다른 레이드 볼륨을 만들수 있었던 것으로 기억하는데
지금 시놀러지의 SHR 정책과는 좀 다른 것입니다..
그래야 운영중 용량 변경도 가능하고
컨트롤러의 장애에도 유연하게 대처 가능해서요.
아무래도 shr 짬봉 hdd 장애 및 용량 변경 테스트는 직접 진행해야겠군요..
윈도우에서 btrfs의 스냅샷 기능만 있으면 될일인데 참.. 맘 같지가 않네요
2.shr2는 2개까지 대응합니다. 말씀하신대로 핫스왑 베이시면 기존용량보다 같거나 큰 새로운디스크 장착하시고 복구만 눌러주시면 됩니다.(복구시에는 상당한 시간이 소요됩니다)
3.사용안해봐서 몰라유
4.안정성이라면 하드웨어 레이드만큼은 아니지만 개인적으론 나쁘지않다고 봅니다.
실제 상황에서는 대부분 모잘라서 늘리는게 보통이긴 합니다만
그래도 조금은 아쉽네요.
혹시 늘리는게 갯수를 늘리는게 아니라
2T를 빼서 빈 4T로 교체하면 자동 리빌딩이 되나요 ?
https://www.synology.com/ko-kr/knowledgebase/DSM/help/DSM/StorageManager/storage_pool_change_raid_type
여기에 자세히 나와있으니 참고하시면 될듯합니다.
혹 정품시놀중에서 몇몇제품(특히 베이수가 많은제품)과 XPEnology에선 비활성화 되어있을수 있습니다. 이런경우에는 ssh로 접속하여 활성화 가능합니다.
꼭 필요한 정보는 다 확보한 것 같네요. ^^
감사합니다 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