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놀로지 NAS에서 하드를 잠시 제거 했다가 넣어도 안되나요 ?

ljssmh1   
   조회 8627   추천 0    

 
시놀로지 ( 418, SHR -1 사용 중)  에서 하드 하나를 잠시 제거 했다가 바로 다시 넣었는데 

HDD 인식할 수 없다고 하면서 초기화 하라고 하라고 해서 결국 초기화 이후 rebuild 중입니다.

그런데 10초 정도 제거 했다가 넣었는데 왜 인식을 못하나요 ? 그렇다면 만약 청소 등의 이유로 2개를 

제거 하면 완전 자료 소실 되나요 ?


아답텍 레이드로 raid 5로 사용 중인 다른 컴퓨터에서는 HDD 를 잠시 제거를 하든 아니면 여러개를 제거해서

순서를 임의로 조립하든 아무 문제 없이 바로 인식 했는데..


이 차이가 SHR 과 raid 5의 차이인지.. 아니면 시놀로지 특성인지. 아니면 운이 없었던 것인지 궁금합니다.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하드가 혹시 두개셨나요?
김황중 2021-03
원래 그러는게 정상이고
아답텍은 메뉴에 들어가서 제대로 않보셔서 그렇지 리빌딩 했을것입니다

레이드 등이 켜진상태에서의 하드를 빼는것은 하시면 않됩니다

씨놀러질 않써서 정확히는 특성을 모르겠지만
아래글 읽어보세요
https://www.synology.com/ko-kr/knowledgebase/DSM/tutorial/Storage/What_is_Synology_Hybrid_RAID_SHR
작은꼬마 2021-03
완전히 전원종료한 상태에서 빼서 청소후 다시 넣는건 가능한데..
켜진상태에서 빼시면 당연히.. 하드에 에러가 있어서 제거 되었구나 하고 다음에 들어오는건 새 하드니까 리빌딩 해야지..... 라는 프로세스로 가는게 맞는거같습니다.
박문형 2021-03
레이드가 켜진 상태에서 레이드 엔진은 계속 하드가 재대로 붙어 있는지 채크를 합니다..

그러나 그것은 실시간으로 채크되는 것은 아니고요.. (몇 분단위 심하면 몇십분 단위도 있습니다.. 모델에 따라 다름)

그 외 레이드 볼륨이 억세스 중 하드를 뺄 때의 채크는 별개로 봐야 합니다..

그 외 한번  빠진 하드를 다시 넣었을때 (레이드 엔진은 보통 하드디스크를 시리얼 넘버로 인식합니다..)

안에 있는 데이터를 채크만 할지 초기화를 하고 다시 리빌딩을 할지에 대한 정책은 제조자 마음입니다..

해당 상황은 제조사의 개발자 정도에 문의해야 답변을 얻을수 있는데 아마 답변을 얻기는 힘들 것입니다..
ljssmh1 2021-03
단순하게... 생각했는데 복잡하네요. 설명을 들어 보니 나름 이유가 있는 것 같고.

전원을 끄고 하면 문제가 없었을 텐데 제가 작동 중에 뺀 것이 문제였네요.
작동중에 잠시라도 off 되었으니 rebuild를 하는 것은 당연해 보이네요.

감사합니다
제온프로 2021-03
보통 SAS 컨트롤러는 하드 빼기 전에 하드 제거한다고 세우고 제거하고..
다시 온라인 시키는 기능은 있는데...
시놀로지도 찾아보면 있을 것입니다..

그리고 없으면 시놀로지를 끄고 제거하세요...

SHR은 전체를 하나로 묶는 개념이라 운영중 빼면 당연히 문제 생기죠..
Raid 5 는 문제 생기지 않습니다.. 


SHR 의 정확한 개념을 이해 하셔야 할 것 같습니다..
용량이 서로 다른 하드드라이브 를
블럭단위의 Raid로 묶어서 용량의 손실을 가장 적게 하고
공간 효율적인 레이드 방식이며..
일반 레이드에 비하여 Raid 유실율은 높은 것 같습니다..
가급적 Raid5로 잡아주세요..
이선호 2021-03
RAID 구성중, 전원이 켜져있는 상태에서 청소를 이유로 하드를 제거하는건 미친짓입니다.
꼭 청소를 해야겠다면 모든 전원을 종료한 후 탈착하여 진행하여야 합니다만. 괜시리 청소중에 단자에 먼지들어가서 접불나면 그것도 골치 아픕니다.
제온프로 2021-03
시놀로지 SHR에 대해서..
Synology Hybrid Raid  시스템.

보통의 일반 서버에서는 사용하지 않는 방법인데...

개인유저들 대상이다보니 하드드라이브 확장성과.
용량이 서로 다른 하드 드라이브를 어떻게 사용하게 할 수 있을까 에서..
나온 생각 같습니다...

예를 들어

1TB
500GB
2TB
3TB 등
용량이 제각각인 드라이브를 어떻게 하면 레이드로 묶을까에서

레이드 Unit을 500GB 로 하면..

1TB = 2개
500GB = 1개
2TB = 4개
3TB = 6개

이것은 500GB 13개로 만들어 레이드를 구성합니다...

더 좋은 생각도 있겠죠..
330GB로 자르면..

1TB = 3개
500GB = 1개
2TB = 6개
3TB = 8개

이런식으로 일정용량을 1 Unit로 해서 레이드를 구성합니다..
용량이 다르고 , 속도도 다르고 , 나중에 추가도 가능하고..
아이디어는 참 좋은데..
다소 트러블이 높은 편입니다... 아무래도 문제 발생부분이 많으니까요...

그래서 데이터 유지능력이 필요한서버, 중요한 서버, 사내서버로는
SHR 하지 마세요...
전 세계에서 트러블이 많이 보고 됩니다..

문제 생기면 Synology 사이트에 복구 툴들이 있더군요.. 그걸 활용하세요...

회사나 중요한 서버는
Raid 5+2(스페어)
Raid 6+1(스페어)
이런식으로 해 놓으면 비록 중고 SAS 드라이브를 쓰더라도 5~6년 안심할 수 있습니다..

서버와 스토리지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CPU와 메모리가 아니고,
Raid 컨트롤러가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drachen 2021-03
SHR에 대한 설명이 조금 잘못되었는데, 특정 용량을 단위로 쪼개는게 아닙니다.

예로 드신 1TB, 500GB, 2TB, 3TB 라면

먼저 가장 용량이 작은 500GB를 기준으로 잘라서
1. 500GB X 4  RAID5

남은 공간 500GB, -, 1.5TB, 2.5TB 중에 가장 작은 500GB를 기준으로 잘라서
2. 500GB X 3  RAID5

남은 공간 -, -, 1TB, 2TB 중 작은 1TB를 기준으로
3. 1TB X 2  RAID1
4. 남는 1TB는 사용 못함...이런 식으로 만들어집니다.

리눅스의 MDADM 등을 써서 구현하는거라서
여타 리눅스의 소프트웨어 레이드에 비해서 안정성이나 성능이 크게 차이가 나지는 않습니다.


QnA
제목Page 803/5725
2015-12   1766694   백메가
2014-05   5241289   정은준1
2021-03   2922   FloppyDiskette
2021-03   3074   GPGPU
2021-03   3746   Ibory
2021-03   3446   스피드758
2021-03   5488   hydetky
2021-03   3469   다롱이
2021-03   5639   짱님
2021-03   11130   원주멋진덩치
2021-03   3639   hitpercent
2021-03   2859   네오네모
2021-03   3860   무쏘뿔처럼
2021-03   5553   아조
2021-03   5641   고민형티버
2021-03   8628   ljssmh1
2021-03   4793   우뭉
2021-03   2686   전설속의미…
2021-03   3255   FreeBSD
2021-03   4216   GPGPU
2021-03   4811   레비오사
2021-03   3375   푸른소나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