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ATA RAID 모드 일때와 AHCI 모드일 때 성능차이 있는 건가요?

SLALqHD   
   조회 18406   추천 0    

HP Z440 만져 보는 중인데 사양만 봤을 때는 제가 느끼는 만큼 버벅 거릴 사양이 절대 아닌데 이상하게 

딜레이 같은게 생긴다는 느낌이 듭니다.

윈도우 새로 설치하기 전일 때야 윈도우에 오토캐드에 시큐어 디스크 등등 온갖 프로그램들이 난무하던 PC였으니

부팅 시 로딩도 오래 걸리고 꽤 오래 동안 윈도우 재설 치를 하지 않았으니 느려질 수 있겠다 싶었는데

윈도우 새로 설치하고도 생각보다 빠릿한 반응이 아니라 약간 당황 스러웠네요.

E5-1630 CPU에 메모리 32기가에 쿼드로M2000 그리고 500GB SANDISK HP OEM SSD 달려있는데 일반 데스크탑

i3급에 16기가 메모리 정도의 ssd 달린 pc보다 뭔가 굼뜨는 듯한 느낌입니다.

바이오스에 들어가보니 sata 모드가 raid로 되어있던데 이걸 ahci로 변경 해봤더니 기분 탓인지 raid 보다는 

빠릿해진 느낌입니다. crystaldiskmark로 속도 측정 해봤는데 측정값도 근소한 차이로 좀 더 잘나오긴 하네요.

단순한 제 기분 탓일까요 아니면 실제로 raid와 ahci 모드간 약간의 성능 차이가 있는 걸까요?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SATA 방식에는 AHCI 모드가 호환이 더 좋은 듯 합니다.
성능 차이는 잘 모르겠고... ^^;;
현재 사양에서 SANDISK SSD가 좀 걸리네요.
m.2 컨버터 사셔서 PM981a 정도의 NVMe를 설치 해 써 보시는 게 어떨지요?
     
프리머스 2021-08
저도 사실 이게 제일 의아합니다. Z440 구매 할 가격으로 차라리 더 나은 성능의 조립PC나 조립 워크스테이션 만드는게 낫지 않을까 싶어서
처음에 받아본 견적에서는 SSD가 NVMe방식인걸로 알고 있었는데 나중에 보니 sata 더군요.
구매 담당자가 이 쪽 관련 지식이 별로 없던 터라 그냥 가격만 보고  단순 비교만 한것 같은데. 더군다나 이 제품 보드에는 m.2 슬롯 자체가
없네요^^;; 분명히 자리는 있는데...
용량도 어느정도 한게에 온 것 같아서 일단은 디스크 추가 권장을 할텐데 실사용자가 이걸 윗선에 품의 할지는 모르겠습니다.
님 말씀대로 컨버터 사서 nvme 장착 한다고 하더라도 호환성 문제에  걸릴 염려는 없는지도 살짝 걱정 되긴하네요.
답변 감사합니다.^^
dateno1 2021-08
별다른 차이 없어요

어느쪽이냐면 싱글 코어 성능때문일껍니다

E5면 구형이고, 클럭도 낮아서 싱글 코어 성능이 너무 낮으므로 케드같은건 당연히 느리고, 체감 성능도 차이 많이 나요
     
프리머스 2021-08
같은 스토리지인데 싱글코어 성능 때문에 차이가 난다는 건 좀 이해가 어렵네요^^ 다른 PC와 비교했을 때면 그럴 수도 있겠군요.
아무리 생각해도 RAID 모드일 때랑 AHCI 모드일 때랑은 성능 차이가 있어보입니다.
처음 윈도우 설치하고 드라이버만 깔았을 때도 RAID에선 약간의 딜레이 같은 현상이 생겼는데 AHCI모드로 바꾸고 나서는 기본적인
한글이나 오피스까지 다 설치하고도 지금 까지 전혀 그런 현상이 없네요. 처음에는 그냥 느낌적인 느낌인가 했었는데
윈도우 설정들어가서 업데이트 확인 할 때만 하더라도 확실히 반응 속도나 중간에 멍때리는 증상이 없어졌습니다.
하다 못해 웹페이지 하나 열리는 속도도 차이가 느껴지네요.^^
          
dateno1 2021-08
?

코어 많아봤자 못 써먹는 소프트 입장에선 그냥 장식입니다

저런 소프트 듀얼이나 쿼드 코어밖에 못 쓰는게 보통이고, 심하면 싱글 코어밖에 안 써서 나머지 싹 다 놀립니다
               
프리머스 2021-08
님 말씀은 무슨 말씀인지 알아 들었습니다.^^ 단지 같은 PC 에서의 성능 차이가 싱글코어 성능 때문이라고 답변 하신건가? 해서 뒤에 다른 PC와 비교 했을 때면 그럴수 있다고 첨언했습니다.^^
별다른 차이 없다 하셨고 싱글코어 성능 때문이라고 단편적으로 답변 하셔서 오해 할 소지가 있었다 봅니다.
레이드설정일 때와 AHCI 설정일 때의 성능 차이가 있냐고 질문을 했고 답변은 코어와 관련한 답변이 더 많으셨지요.
근데 이건 제 질문과 별반 상관은 없지 않나요? 제가 질문 한건 소프트웨어가 코어를 얼마나 활용 하냐가 아니었지요.
조슈아 님의 답변이라면 충분히 수긍이 갑니다만.
                    
dateno1 2021-08
RAID랑 AHCI 벤치해봤을때 큰 차이 없었습니다

심지어는 일부 렙탑은 BIOS 기본 옵션이 AHCI가 아닌 RAID로 되어있을정도입니다 (슬롯도 한정되어서 RAID 제대로 써먹지도 못할꺼라 결국 단일 디스크로 볼름 구성할껀데도 RAID가 기본값입니다)
박문형 2021-08
HDD가 느리다고 생각하면 하드 단편화 모음 한번 해보세요..
     
프리머스 2021-08
HDD는 없습니다.^^ SSD 인데 생각보다 반응이 굼떠서... 뭔 차이가 있으려나 궁금해서 질문 올려봤습니다.
죠슈아 2021-08
단일 디스크로 RAID 볼륨을 만든 것과 AHCI 디스크 성능 차이는 없습니다.
RAID는 여러개 디스크를 구성하는 방법에 대한 것이며 프로토콜은 동일하게 AHCI 입니다.
BIOS에서 AHCI 와 RAID 를 구별하는 것은 프로토콜을 선택하는 것이 아니고 단일 볼륨의 디스크 구성 방법의 옵션을 선택하는 것 입니다.

각각에 대해 성능 차이를 느끼는 것은  오차 범위 이내일 겁니다.
동일한 디스크로 여러번 벤치마크를 진행하면 그때 마다  조금씩 차이가 납니다.
이런 차이 정도 일 겁니다.

하지만 디바이스 드라이버가 실행되는 CPU와 메모리 등등의 디스크가 아니 다른 요인에 의해서 차이는 날 수도 있습니다.
반면에 여러개의 디스크를 구성한 RAID와 단일 디스크 AHCI 와의 비교는 타당한 비교가 아니기 때문에 ...
따라서 단일 디스크의 RAID와 AHCI 는 동일한 것을 이름만  다른 것으로 비교를 하는 겁니다.

차라리 AHCI device driver가 RAID device driver 보다 다중 디스크 처리의 오버헤드가 없기 때문에 빠를 수 있다 정도에는 동의 할 수 있습니다.
     
프리머스 2021-08
저도 드라이버 상에서의 처리 속도 문제일지도 모르겠다는 님의 말씀에 동의 할 수있을것 같습니다. 다른 조건은 어느모로 보다 별반 상관이 없어 보이네요.


QnA
제목Page 725/5725
2015-12   1766830   백메가
2014-05   5241541   정은준1
2021-08   2278   Sikieiki
2021-08   10191   멍따쌥
2021-08   4770   일국
2021-08   7425   가상화린이
2021-08   2543   반성만
2021-08   2432   langrisser
2021-08   2338   알수없는힘
2021-08   10795   허인구마틴
2021-08   3795   VSPress
2021-08   2619   Marco21
2021-08   2522   쟈니오빠
2021-08   2585   알수없는힘
2021-08   6069   Xecus
2021-08   3882   VSPress
2021-08   2769   불고기덮밥
2021-08   10317   찌록
2021-08   18407   SLALqHD
2021-08   2424   늘파란
2021-08   2339   전진
2021-08   2761   드레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