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767066 |
25 |
2015-12
1767066
1 백메가
|
|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7) |
정은준1 |
2014-05 |
5241776 |
0 |
2014-05
5241776
1 정은준1
|
104070 |
HP ML350e Gen8 파워 교체 관련 문의 드립니다. (6) |
ASTER1SK |
2022-07 |
1769 |
0 |
2022-07
1769
1 ASTER1SK
|
104069 |
스풀 기능을 사용하지 않고 인쇄를 선택할수 없습니다 (5) |
미수맨 |
2022-07 |
4163 |
0 |
2022-07
4163
1 미수맨
|
104068 |
델 T5820, O/S용 SSD 업그레이드 가능한지요? (4) |
블루영상 |
2022-07 |
1659 |
0 |
2022-07
1659
1 블루영상
|
104067 |
법인카드 사용방법에 대해 궁금해서 여쭈어 봅니다. (8) |
galaxyfamily |
2022-07 |
1740 |
0 |
2022-07
1740
1 galaxyfamily
|
104066 |
Taobao에 원하는앱문의 (2) |
스무프 |
2022-07 |
1109 |
0 |
2022-07
1109
1 스무프
|
104065 |
부산 사직야구장 주차 (4) |
2CPU최주희 |
2022-07 |
1364 |
0 |
2022-07
1364
1 2CPU최주희
|
104064 |
이베이 불량품 판매 후 응답없는 셀러 어떻게 해야할까요 (6) |
VSPress |
2022-07 |
1508 |
0 |
2022-07
1508
1 VSPress
|
104063 |
[ certbot & nginx ] SSL 인증서 (4) |
전설속의미… |
2022-07 |
1421 |
0 |
2022-07
1421
1 전설속의미…
|
104062 |
scroll capture에는 어떤 툴이좋나요 (7) |
pumkin |
2022-07 |
1547 |
0 |
2022-07
1547
1 pumkin
|
104061 |
hp dl360 g5 서버 주기적 꺼짐 현상 (8) |
chotws |
2022-07 |
2299 |
0 |
2022-07
2299
1 chotws
|
104060 |
삼성 프린터 중에서 재생토너 있는거 추천 부탁드립니다 (8) |
미수맨 |
2022-07 |
1695 |
0 |
2022-07
1695
1 미수맨
|
104059 |
DVD RW 외장형 ODD 사용 질문이요!! (3) |
fprrmsl |
2022-07 |
1694 |
0 |
2022-07
1694
1 fprrmsl
|
104058 |
DVD RW 외장형 ODD 사용 질문이요!! (1) |
삐돌이슬픔이 |
2022-07 |
1310 |
0 |
2022-07
1310
1 삐돌이슬픔이
|
104057 |
pfsense 를 가상화해서 사용하는 법 문의드립니다 (3) |
미수맨 |
2022-07 |
1730 |
0 |
2022-07
1730
1 미수맨
|
104056 |
[질문] 노트북 HDMI로 4K 모니터 연결시 특정위치 폰트색상 이상 현상 (11) |
RIGIDBODY |
2022-07 |
2794 |
0 |
2022-07
2794
1 RIGIDBODY
|
104055 |
MS 플라이드 시뮬레이터용 장비 (9) |
epowergate |
2022-07 |
2142 |
0 |
2022-07
2142
1 epowergate
|
104054 |
무료 하드 복구 툴 질문 (10) |
9chani |
2022-07 |
1656 |
0 |
2022-07
1656
1 9chani
|
104053 |
MS Office 중 선택삭제가 가능한가요 ? (7) |
화란 |
2022-07 |
1493 |
0 |
2022-07
1493
1 화란
|
104052 |
진법과 레이턴시 (9) |
마지막세대 |
2022-07 |
1916 |
0 |
2022-07
1916
1 마지막세대
|
104051 |
ioDrive2 윈도우 드라이버 (3) |
성기사 |
2022-07 |
1922 |
0 |
2022-07
1922
1 성기사
|
단순히 궁금해서 질문을 드렸습니다.
하지만 왜 이진법이 대세가 되었을까요? 그것은 반도체와 불 대수의 발견 때문입니다. 불 대수를 통해 0,1의 두 가지 상태로 모든 논리적 계산을 수행할 수 있음을 보였고, 그것을 반도체의 전기가 흐르는 상태/전기가 흐르지 않는 상태로 대응시킬 수 있었기 때문에 이진법이 컴퓨터에 널리 쓰이게 된 것입니다.
결국 N진법 컴퓨터를 논하는 것 자체가 큰 의미가 없습니다. 하지만 예를 들어 전압의 세기에 따라 다른 정보를 나타내는 방법도 있겠죠. 이것이 MLC(Multi Level Cell) 플래시 메모리가 동작하는 방식입니다. 그러나 이 방법은 연산용으로는 쓰이지 않습니다. 전압을 정확하게 측정하는 것에 시간이 오래 걸리기 때문이며, 다진법 체계를 도입할 경우 이진법 환경에 맞춰 만들어진 최적 알고리즘들을 그대로 쓸 수 없기 때문입니다. 양자 컴퓨터에 양자 알고리즘이 필요하듯이 말이죠.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문제는 60진법 프로그램을 짤 수가 있느냐 입니다.
64비트가 64진법으로 생각하심 편합니다.
64비트로 작성하는 프로그램이 있나요?
기존에는 전기가 흐른다 / 흐르지 않는다를 0과 1로 정의해서 이를 하나의 비트에서 처리하는 세상이엇는데...
기사에서는 하나의 트리트(?)에서 0, 1, 2를 다루는 세상이 될 수도 있겠네요.
현재는 모든 주변 상황이 비트로 맞춰져 있어서 2진법을 쓰는 컴퓨터가 빠르겠지만, 시간이 지나면 3진법, 4진법.. 등 자꾸 더 높은 진법을 쓰는 컴퓨터들이 나올테고...
그때는 그것들이 레이턴시가 더 낮아지겠죠? 2번 할 일의 분량을 한 번에 처리가 가능할테니까요.
하지만, 그게 금방오진 않을 것 같아서요. 제가 살아서 그 세상을 볼 수 있을 지 궁금하네요.
하드웨어로 구성이 가능하다면 어느 하드웨어가 더 저렴하고 성능이 좋을진 따져봐야 겠지만
bit가 오르는것 처럼 획기적으로 오를것으로 생각되진 않습니다.
반대로
SLC, MLC, TLC, QLC, PLC(penta?), HLC(Hexa?) 식으로 늘어간다고 할 경우 속도가 빨라질까요?
디지털이 아닌 아날로그에 가까워짐으로서
64진법의 16비트 ADC는 가격이나 성능 측면에서 메리트가 발생할진 솔찍히 장담하기 힘들 것 같습니다. (에러 검출등의 오버헤드가 더 커질수도 있기에 가격측면에서도..)
양자의 경우 확률론적으로 계산하는거라 기존의 컴퓨터 대비 연산 우위를 지닌다고 확실히 증명되지 않았고
조금은 다른 접근 방법으로 gray code를 이용하여 저전력으로 작동하는 cpu에 대한 접근은 들어본적이 있습니다.
이해를 넓히는데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