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761929 |
25 |
2015-12
1761929
1 백메가
|
|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7) |
정은준1 |
2014-05 |
5235752 |
0 |
2014-05
5235752
1 정은준1
|
106664 |
백업에 대한 질문 (13) |
미담 |
2023-02 |
2174 |
0 |
2023-02
2174
1 미담
|
106663 |
[ CSISCO ] 730 노이즈 캔슬링 블투 지원 해드폰 |
전설속의미… |
2023-02 |
1611 |
0 |
2023-02
1611
1 전설속의미…
|
106662 |
안경을 쓸나이가 되니 돋보기를 쓸 수 밖에 없는데요 (8) |
신은왜 |
2023-02 |
2181 |
0 |
2023-02
2181
1 신은왜
|
106661 |
안녕하세요 호환되는 모니터보드가 궁금한대 아시는분있을까요? (1) |
알빠입니까 |
2023-02 |
1930 |
0 |
2023-02
1930
1 알빠입니까
|
106660 |
맥용으로 포맷한 하드 맥에 연결하기만 하면 커널패닉이 뜨네요 ㅜ.ㅜ (6) |
뭐든팔아요 |
2023-02 |
1885 |
0 |
2023-02
1885
1 뭐든팔아요
|
106659 |
(비컴) 초등학생용 rc카 추천 부탁드립니다. (4) |
정의석 |
2023-02 |
2350 |
0 |
2023-02
2350
1 정의석
|
106658 |
보드에 있는 U2포트 사용하는곳 있나요? (16) |
딥마인드 |
2023-02 |
5450 |
0 |
2023-02
5450
1 딥마인드
|
106657 |
에어콘 벽 구멍 틈새 메꾸는 방법 (8) |
한효석 |
2023-02 |
2853 |
0 |
2023-02
2853
1 한효석
|
106656 |
서버랙에 장착되는 멀티탭이 몇구짜리지요??? (9) |
Sikieiki |
2023-02 |
2791 |
0 |
2023-02
2791
1 Sikieiki
|
106655 |
윈도우 10 10G 듀얼랜 <-> 윈도우 11 10G 듀얼랜 간에 서로 못알아 먹는데요. (9) |
화정큐삼 |
2023-02 |
2618 |
0 |
2023-02
2618
1 화정큐삼
|
106654 |
삼성SSD 850pro 호환성 문제일까요? (12) |
무쏘뿔처럼 |
2023-02 |
4037 |
0 |
2023-02
4037
1 무쏘뿔처럼
|
106653 |
엑셀 수식 관련 문의입니다. (10) |
이희주 |
2023-02 |
2030 |
0 |
2023-02
2030
1 이희주
|
106652 |
X9DRI-F IPMI펌웨어 업데이트 (15) |
제온맨 |
2023-02 |
3204 |
0 |
2023-02
3204
1 제온맨
|
106651 |
이런 정도 모바일 앱 개발을 의뢰하려면 비용이 얼마나 들까요? (3) |
한효석 |
2023-02 |
1875 |
0 |
2023-02
1875
1 한효석
|
106650 |
HP Z620 메모리 구성... 방법... (9) |
을지문덕 |
2023-02 |
1969 |
0 |
2023-02
1969
1 을지문덕
|
106649 |
혹시 제온 cpu들은 삽입방향에 원칙이 있나요? (19) |
딥마인드 |
2023-02 |
3465 |
0 |
2023-02
3465
1 딥마인드
|
106648 |
혹시 제온 cpu들은 삽입방향에 원칙이 있나요? |
박문형 |
2023-02 |
1590 |
1 |
2023-02
1590
1 박문형
|
106647 |
idc 구축에 꼭 백본망이 필요한가요? (7) |
ZeroTrust |
2023-02 |
2428 |
0 |
2023-02
2428
1 ZeroTrust
|
106646 |
코로케이션 업체를 찾습니다 (6) |
ZeroTrust |
2023-02 |
2098 |
0 |
2023-02
2098
1 ZeroTrust
|
106645 |
롬 라이터기 하드웨어 세팅 문의 (5) |
겨울나무 |
2023-02 |
2866 |
0 |
2023-02
2866
1 겨울나무
|
외부로 빼면 쿨링 (솔루션 적용)이 쉬워지고
하드랙 같은 장비로 하드 교체가 쉽죠
케이블의 연결점이 많아 신호 손실이나 지연등의 문제가 생길것도 같지만
아래와 같이 조합하면 M.2 NVMe 도 매인보드 밖에 설치 가능합니다
아예 접점 부위를 땜으로 붙여놓은 제품도 있더군요 (플러그는 세월이 지나가면 접점 부위가 메롱해짐)
http://ableconn.com/images/pimg171001262561118.jpg
https://c1.neweggimages.com/ProductImageCompressAll1280/V1V0_131995135707548865sEEECiuqOc.jpg
주로 OS용과 스토리지 캐시에 쓰이는듯 하고 스토리지는 기존 형식의 SAS 어레이가 쓰이고요
심지어는 U.2용 HDD도 나온다고 하는 정도입니다
백플레인 따로 사서 할려면 잘 안 될꺼고, 달린 기종 쓰시던지 케이블 사서 디스크랑 1:1로 물리세요
밑의 사진경우 전용 케이블이나 브라켓같은거 필요해보입니다
아주 넓은 대역폭을 같죠.. 초당 Pcie 4배속을 배정 받을 수 있습니다.
장터에 보면 U.2 SSD 드라이브 자주 나오더군요.
속도도 일반 SSD에 2~3배 빠른 것으로 알고 있어요.
메인보드에 M.2 가 있어. 효용성은 좀 떨어지지만.
추가 드라이브 설치 한다면 좋은 방법이죠.
M.2 속도가 좋아서.. 좀...
CPU의 PCIe 레인 계산 잘 하셔야 합니다.
개인용 CPU는 PCIe 레인이 적으니까요 ??
i5, i7 은 PCIe 레인 수가 서로 같은지.. i7이 더 많은지 확인 바랍니다.
케이블을 구하면 기존 레이드카드 빼고 백플레인에 접속 가능할까요?
재일 밑에 인텔 NVME U.2 정품 사면 번들로 들어 있는 케이블이 그나마 재일 믿을 만합니다..
구글 뒤지면 여러가지 중국산 제품들이 보이기는 할텐데 재대로 동작할지는 글쎄요?? 실제 구해서 동작해봐야 압니다.. 입니다..
이 U.2 연결 하는 것은 몇년 전에 반짝 이슈로 뜨기는 했는데 개인 NVME에서는 U.2 SSD나 다른 것들 구하기 힘들고 해서 금방 시들해졌던 것입니다..
PC용 보드 중에서 거의 최고급 모델들이 가끔 U.2 커넥터가 보드에 하나 정도 붙어 나옵니다..
U.2용 케이블이나 악세사리가 국내에서는 거의 구하기 어렵다고 봐야 합니다..
초기 나온 U.2 Nvme 디스크들은 뜨거웠습니다.. 가격도 비쌌고요..
지금 새로 나오는 서버들은 마더보드든 베어본이든 U.2 Nvme가 어느 정도 기본화가 되어 버렸습니다..
그만큼 서버 CPU들이 PCIe 레인이 많이 늘어났고 거기에 대응해 빠른 스토리지가 발전한 결과물이긴 합니다..
그러나 아직 Nvme RAID는 발전을 더해야 합니다..
인텔의 스케일어블 프로세서 이상에서만 되는 VROC 와 LSI 의 Tri MODE 레이드 카드 정도가 RAID 솔류션의 전부라고 봐야 할 정도입니다..
실은 U2에서 백플레인에 연결할 케이블을 구해볼까 했는데
보드의 바이오스에서 백플레인 인식원문제도 있을테고
결론적으로 U2가 사용중인 9260-8i SAS 레이드 카드를 대체하기는 힘들다는거죠?..
이 백플레인도 어떤 것은 U.2 디스크만 인식하고 어떤 것은 U.2 디스크와 SAS 디스크까지 인식하고 등등등해서
개발 시기와 목적에 따라 여러가지 입니다..
연결되는 커넥터 방식도 대략 3가지가 넘을겁니다..
결론적으로 U2가 사용중인 9260-8i SAS 레이드 카드를 대체하기는 힘들다는거죠?.. ===> 무엇인가 비교대상이 틀린 듯합니다..
속도 때문에 그러는 것인지 용량 때문에 그러는 것인지 모르겠네요..
현재 나온 스토리지 인터페이스 방식중에는 U.2가 재일 빠르고 대역폭도 넓지만 가격이나 시스템 제한 같은 문제가 있기는 합니다..
U.2 디스크 새 것 가격 알아보시면 아마도 억!! 하실 지도...
물론 U2에 nvmeSSD를 설치할때 샤시 측면에 부착하고 30cm 정도의 케이블 점퍼로 접속하는건 압니다.
현재 백플레인은 레노버에서 나온 3.2/2.5 Combo, 12C, SAS/SATA 입니다.
그러나 U.2로 많은 디바이스를 연결하기에는 이래저래 한계가 있습니다.. 그것보다는 SAS가 더 유연합니다.. U.2보다는 가격도 저렴한 편이고..
커넥터가 같다고 신호가 같지는 않습니다..
현재 사용하시는 레노버 서버 백플레인이 U.2 지원하는지부터 확인해야 합니다..
이게 NVME U.2 까지 지원하는 레이드 카드입니다만 저 카드 1개에 최대 달릴 수 있는 NVME U.2 는 4개 입니다..
저는 단지 보드에 U2 포트가 있어서 혹시 레이드 컨트롤러를 대신할수 있을까 생각해본거고
결론은 아니라는것.
LSI에서 처음에 나온 U.2 레이드 콘트롤러에 대한 설명 자료입니다..
U.2가 새로운 방식이기에 그것을 지원하는 많은 것들이 다 새로 만들어져야 합니다..
U2기반 NVME Raid 라면 대규모 스토리지 트래픽이 동시다발로 발생되는
PXE와 DiskLess 시스템에 10G 망과 함께 적용하면 최상의 서버시스템이 되겠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