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기가 듀얼랜 연결

   조회 5924   추천 0    

안녕하세요, 

IT 업종에 일을 하기는 하지만 프로그래머는 아니며 서버나 네트웍 전문 지식은 없고 여기저기 뒤져가면서 NAS 와 네트웍을 하나하나 알아가는 재미에 빠진 무모한 도전을 좋아하는 방구석 아재입니다. 이제 막 가입했는데 여기가 완전 신세계네요 ㅎㅎ

쪽팔림 무릎서고 질문 올립니다. (_ _)

유튜브를 보다가 우연히 헤놀로지를 알게되고 집에 노는 피씨에 설치한 후에 일이 커지고 있습니다. 특별한 용도는 없는데 (plex 설치해서 영화보고 오랫동안 쌓인 데이터 보관하는 정도…) 그냥 재밌어서 푹 빠져 있습니다. 그러다가 지름신이 강림하셔서 제온 E5-2695V4 와 asus x99-e 10g ws 를 중고로 질러서 NAS 피씨를 나름 업그레이드(?) 했습니다. 이렇게 구매한 가장 큰 이유는 검색하다가 asus x99-e 10g ws 마더보드가 박스까지 있는 미사용품이 싸게 나온게 있어서 입니다. (보드가 멋있게 생겼고 인텔 10기가 듀얼랜포트가 있었음, 15만원에 구매) 

이전에는 2.5G 랜카드로 메인 피씨와 NAS 피씨를 다이렉트(공유기 없이) 로 잘 사용했었기에 10G 도 될줄 알았고 검색하다가 알게된 티밍(본딩) 까지 하면 환상이겠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그래서 x540 T2 듀얼랜카드를 중고로 구매해서 메인피씨에 낑구고 다이렉트로 연결하고 티밍 설정을 했는데 최대 1G 전송속도가 랜덤(?)으로 나오고 시간이 지나면 연결이 꺼지더군요 ㅠㅠ

스위칭 허브가 필요한거겠죠? 어떻게 이사태를 수습해야 할까요?

선수 형님들의 많은 질타와 조언 부탁드리겠습니다.

============================================================ 업데이트 6/25======================================================

많이들 도와 주신 덕분에 어느정도 진전이 있었습니다.
얘기주신 SMB 3.0 멀티채널(직결)로 세팅했고요 2개의 랜카드가 동시에 작동하는것 확인했습니다.

PC>NAS  4~700MB/s(랜덤),

NAS>PC 1.5GB/s(항시)

테스트 하드는 양쪽다 삼성 M.2 SSD 2TB 입니다. PC 에서 NAS 로 속도가 불안정한데 이부분을 좀 더 테스트 해봐야 겠습니다.

감사합니다.!

PC > NAS (파일크기 50GB)

NAS > PC (파일크기 50GB)








잘부탁드립니다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안철현 2023-06
티밍을 하기 이전에..
라인1개로 잘되는지 확인하세요.
1:1 연결로 이상없이 동작해야 합니다.
     
julius3637 2023-06
앗, 10G도 다이렉트로 가능한건가요? 감사합니다!
     
julius3637 2023-06
라인 1개로만 1:1 연결 했는데, 파일(약 20GB) 을 카피하면 1G 로 시작 했다가 50% 쯤에서 250m 로 떨어집니다,
다른 파일을 계속 해보면 대부분 250m 가 나오고 가끔 1G 로 카피가 시작되고 250 m 으로 떨어집니다.
왜 그럴까요?
제온프로 2023-06
최대 1G 전송속도가 랜덤(?)으로 나오고 시간이 지나면 연결이 꺼지더군요 ㅠㅠ
열문제가 있네요... 
최대 1.1GB 전송속도는 맞습니다. 티밍은 그래요.
전송속도는 올라가지는 않지만. 2라인 모두 가동되어 대역폭이 2배가 됩니다.

님이 원하는 것은 SMB 3.0 멀티체널이네요. 10G+10G = 20Gbps 로 동작하는..

삼바 ---

장터에서 Dell R730XD 를 봐주세요. 님은 이런걸 원하시는 것 같어요..
아니면 Dell T620 3.5 나 T630 3.5 이런게 맞는 것 같어요...

Asus 보드는 이뻐서 많이 사요 ..
  그러고 실망해서 많이 팔어요..
     
julius3637 2023-06
예 말씀 감사합니다, 더 알아보겠습니다.
김황중 2023-06
10G 카드는 열이 많이 발생됩니다

제일 우선이 10G 칩셋의 방열부터 해결함이 우선입니다
     
julius3637 2023-06
예 알겠습니다, 열이 문제가 될줄은 몰랐습니다. 감사합니다
          
dateno1 2023-06
기존에 2.5기가 쓰셨다면 그쪽도 발열 신경써야하는데 다행히 아무 문제 없었나보네요

1기가정도라면 모르겠지만, 그 이상은 죄다 발열에서 자유롭지 않습니다

2.5기가조차 제대로된 패시브 쿨링 수단정도 있어야 정상 작동하고, 10기가면 엑티브 쿨링의 영역으로 간다고 생각해주세요
박문형 2023-06
QnA 게시판이나 네트워크 게시판에서 10G 에 대해 검색해보면 여러가지가 나옵니다만

보통 10G UTP 는 광보다 열이 마니 난다입니다..
김민철GC 2023-06
X540보다 발열이 적다는 X550 발열도 저는 무시못하겠던데요...

X540이면 추가로 액티브 쿨링 필수일 듯 합니다.
죠슈아 2023-06
asus x99-e 10g ws 마더보드 인텔 10기가 듀얼랜포트 가 있는데 ....
"x540 T2 듀얼랜카드를 중고로 구매해서 메인피씨에 낑구고  다이렉트로 연결하고 " 
이미 10G NIC가 Dual로 있는데 x540 을 추가 하는 이유가 뭘까요?

NAS에는 " 2.5G 랜카드로 메인 피씨와 NAS 피씨를 다이렉트(공유기 없이) 로 잘 사용했었기에" 이므로 2.5G Dual 로 구성된 상태로
PC와 NAS 간의 전송 속도가 랜덤으로 최대 1Gbps  나온다고 하시는 것인가요?

x540 T2 듀얼랜카드를 중고로 구매해서 NAS에 설치해서 ..  라고 쓰셔야하는데 ..  Typo 이겠죠?



PCIe 3.0 x16_1 과  Intel LAN1 (x550) shared IRQ
PCIe 3.0 x16_2 과  Intel LAN2 (x550) shared IRQ
메뉴얼에서 확인 하셨지요.....

asus x99-e 10g ws는  각각 IRQ 할당 공유를 하고 있으므로 PCIe 3.0 x16_1과 PCIe 3.0 x16_2를 비어두고
PCIe 3.0 x16_1을 제외한 모든 PCIE 슬롯은 X8 배속이므로 ...
Xeon W/S 보드 이므로  PC를 게이밍으로 사용하지 않을 것이므로 .....
VGA는 다른 PCIE에 창착 해보세요.
     
julius3637 2023-06
x540 T2 는 NAS 가 아닌 제가 사용하는 PC(메인피씨)에 설치 했습니다.
PCIE 슬롯은 확인해 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죠슈아 2023-06
asus x99-e 10g ws 가 NAS 였군요...
NAS에 VGA 설치는 그래픽 성능이 요구되지 않는 터미널 용도 이겠군요.
               
julius3637 2023-06
예 그렇습니다, 1만원에 구매한 그래픽카드죠 ㅎㅎ
                    
죠슈아 2023-06
PC와 NAS간에 iPerf 측정을 해보셨나요?
dual port를 티밍 하지 않고 단일 10G 끼리 연결된 상태와 티밍한 상태와 비교 하면 bandwiddth가 각각 얼마나 나오나요?

PC1 (10G) -  pfsense router - PC2 (10G)  iPerf 테스트시 bandwiddth가 3.12 Gbps 정도 나옵니다.
10G 스위치 연결시에는 7~8Gbps 나왔었는데요. 

PC에 10G NIC를 여러 개 달아서 Bridge으로 구성한 상태인데요.
pfsense router를 스위치처럼 동작하게 하려고 했기 때문에 스위치 칩이 내장된
리얼 스위치가 아니기 때문에  bandwiddth가 2.7Gbps 정도 이라고 생각 됩니다.
10G는 아니더라도 5Gbps 정도는 기대했는데 .. 실망 이네요...  pfsense 옵션을 최적화를 하거나
DPDK 관련 블로그를 참조해서 뭔가를 하면 달라질 수도 있을지 모르겠네요.
                         
julius3637 2023-06
iperf 는 사용해 본적이 없어서 모르겠습니다 ㅠㅠ.
smb3.0 멀티채널 설정해서 직결로 해서 해보니 PC > NAS  4~700MB/s 정도 나오고(여전히 랜덤), NAS > PC 는 1,5 GB/s 칼같이 나오네요.
NAS 리소스모니터를 확인해 보니 정확히 두개의 랜이 반반씩 나눠 가지네요. 이정도면 성공한거겠죠?
NAS 와 PC 모두 테스트한 하드는 삼성 M.2 SSD 입니다. NAS 에 RAID로 하드 한번 묶어서 해봐야 겠습니다.
                         
죠슈아 2023-06
PC > NAS  와  NAS > PC  비대칭은  PC 와 NAS 의 CPU 사양의 차이 때문 일까요?
이런 종류의 테스트에서 흔히 ..  방향에 따라서 결과가 다르게 나오는데 ..  OS의 영향인지 ..  하드웨어의 사양 차이 때문인지...
smb3.0 멀티채널은 성공적이라고 하수 있겠네요.
ㅎㅎ 그런데 NAS와 PC LAN을 직결하면 ..  DAS 가 되는 거죠. 
이제 .. 10G 스위치를 구입 하시면 NAS가 되겠죠...
                         
julius3637 2023-06
DAS? NAS? 그런가요 ㅎㅎ
어쩌면 PC 사양차이일수도 있겠네요... PC 사양이 13th Gen Intel(R) Core(TM) i9-13900K  3.00 GHz
NAS 사양이 제온 E5-2695 V4  이라서
화정큐삼 2023-06
집에서 개인적으로 사용하시는 경우라면 속도상승을 위해선 제온프로님 말씀대로 SMB 3 멀티채널로 구성하셔야 합니다.
DSM 7.2 부터는 이 멀티채널이 기본으로 구성된다고 들었습니다만, 저도 직접 확인은 못해 봤네요.
이 멀티채널을 위해선 티밍은 사용하지 않으셔야 합니다.

NAS 란에 "멀티채널" 키워드 검색하시면 사례가 많이 나와 있습니다.
클라이언트와의 테스트를 위해서는 윈도우 버전은 최소 10 이상 사용하셔야 SMB 3 가 보장됩니다.
MACOS 의 경우는 빅서 이후부터 입니다.

하드디스크 억세스 속도의 한계가 있어서 10G 의 특이나 20G 로 올리신 상황의 듀얼에서는 제성능이 보장이 안되실겁니다.
일단 RAID 구성한 하드에 NVMe 캐쉬를 먼저 달아보시고 그래도 성능이 만족스럽지 않으시다면
NVMe 의 디스크 볼륨화까지 생각해 보십시요.

그리고, 스위칭 허브가 없는 상태에서 2개의 10G 선을 각각 직결하실 생각이신것 같은데,
아마 이렇게 되도 멀티채널 동작 보장이 안될겁니다. 제가 X540-T2 듀얼 두장으로 시험해 봤던 결과로는 그랬습니다.
     
julius3637 2023-06
실수로 답글이 지워졌네요... ㅠㅠ
smb3.0 멀티채널 설정해서 직결 어느정도 성공한것로 보입니다. 일단 NAS 에서 PC 로 속도는 1,5 GB/s 칼같이 나옵니다.
두개의 랜이 동시에 작동되는거 확인 했고요,  이제 NAS 로 가는 속도 쪽을 파봐야 겠습니다.
     
julius3637 2023-06
RAID 로 묶고 SSD 캐쉬도 달아봤는데 속도에 차이는 없는것 같습니다.
          
화정큐삼 2023-06
삼성 M.2 SSD 2TB 라고하신것이 M.2 NVMe 4.0 표준 제품인가요?
NVMe 의 스펙, 인텔 13세대 보드 칩셋에 따른 LANE 수와 대역폭 이런것들이 속도의 변수를 좌우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X99 메인보드에 E5-2695V4 는 대역폭이 충분할것 같구요.
               
julius3637 2023-06
삼성전자 970 EVO Plus M.2 NVMe 입니다


QnA
제목Page 309/5725
2015-12   1766946   백메가
2014-05   5241658   정은준1
2023-06   3995   AMD2CPU
2023-06   2405   민경열
2023-06   2808   바다까마구
2023-06   2931   서버같은인생
2023-06   5925   julius3637
2023-06   3052   라봉
2023-06   2120   미수맨
2023-06   2275   신은왜
2023-06   3466   일론머스크
2023-06   2885   부산초보
2023-06   1980   pumkin
2023-06   3572   씨퓨지퓨
2023-06   2480   배고프고가…
2023-06   3660   서버같은인생
2023-06   5430   링게르
2023-06   2112   명랑
2023-06   2141   Uinx
2023-06   1891   잠팅2
2023-06   3702   제온프로
2023-06   1444   정은준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