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버OS라고 별거있나요?

Sikieiki   
   조회 2226   추천 0    

쪽팔리면 질문하지 맙시다. 소중한 답변 댓글을 삭제하는건 부끄러운 일 입니다 

뭔가 언재부턴가 서버OS는 안정적이다, 안죽는다 이런말들을 들었는데


사실상 어떤지는 잘 모르겠네요(구조적인 차이점이)


서버OS에만 들어가는 메모리컨트롤 알고리즘이라던지 이런게 따로 있어서 안정적인건지....


윈10이 불안정한건 사용하면서 하도 뭘 ㎢지웠다 해서 요기저기 누수가 발생한것일지.....


혹시 서버OS만의 특별한 모시깽이가 들어있는걸까요?

Yesterday is history, tomorrow is a mystery, So Today is a present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박문형 2023-11
서버OS는 안정적이다, 안죽는다  ==> 절대 믿지 않습니다..

단 서버제조사나 OS제조사에서 인증했다 (인증도 여러가지이지만) 어느 시간 정도 테스트 했다 이런 것은 어느 정도 믿습니다..

서버OS는 지원하는 해당 서버 시스템의 모든 자원을 문제없이 사용가능하게 해줄수 있다면 그게 최고입니다..

모든 CPU코어 인식/메모리 최대용량 인식 / 디스크 최대 용량 인식 이것만 재대로 되도 꽤 쓸만해지죠..
     
dateno1 2023-11
+1

경험상 절대 그런거 없다고 봅니다 (그랬으면 외근 나갈일이 줄어서 정말 기쁠꺼같네요)

사용자가 불량이면 안 깨지는 OS 없습니다

잘 관리하면 클라용 OS도 재설치 없이 아주 오래 쓸 수 있기땜에 2k때부터 재설치 주기가 몇년이고, Vista쯤 되니 하드웨어 수명이랑 동일 주기가 되었습니다 (한마디로 망가지는일이 없음)
SiCMOS 2023-11
windows 기준 홈버전은 의도적으로 막아둔거긴 하지만... 프로/서버는 NUMA 2개 이상 : CPU 2소켓 이상 지원?
물론 전 대부분 서버가 Linux를 써서 윈도우에는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Linux에서 엔터프라이즈 버전이 의미하는거면 안정적인 패키지 버전 + 엔터프라이즈 커널용 HW 드라이버 지원 정도가 있다고 생각되네요.
이게 실제로 안정적으로 돌아간다는 의미는 아닙니다 ㅋㅋ
딸긔꼬마 2023-11
서버 OS에서만 제공하는 특정한 기능이 필요하지 않다면 서버라도 오히려 일반용 OS로 운용하는게 더 낫습니다. 서버 밴더사에서 특정 기종으로 하여금 호환성 체크를 했기 때문에 일반 OS보다 안정적일 수도 있다라는 이유가 전재되어 있다면 그 의견에 공감하지만 이유를 막론하고 무조건 일반 OS보다 서버 OS가 더 안정적이라고 하는 의견에는 동의하지 않습니다.
화란 2023-11
서비스 적게 올리면 덜 죽죠^^

아, 하드웨어 불량을 넘어서는 소프트웨어는 없다에... 한표요 ㅋ
piloteer 2023-11
요즘은 서버건 컨슈머용 기기 (안드로이드 폰 등)건 전부 리눅스인걸요. 그냥 유저랜드 구성이나 위에서 돌아가는 서비스가 좀 다르고, 서버의 경우 하드웨어적으로도 좀 더 안정적일 수 있다 (리던던시, ECC 등) 정도.

윈도우/맥이 돌아가는 데스크탑/노트북은 좀 다르긴 하지만.. 일반 데스크탑도 요즘은 잡스러운 프로그램 안 깔고 깔끔하게 관리하면 안 터지고 안정적으로 굴러갑니다. 그냥 살다보면 그게 뜻대로 안 될 뿐... 뭐 뱅킹하느라 (시스템을 깊이 건드리는) 보안프로그램 깔고, 게임 하나 깔아도 안티치트한다고 보안프로그램 깔고. 그러다가 보면 어느 새 살짝 맛이 가는 것이지요..
dateno1 2023-11
결론만 말하면 그런거 없다고 봅니다

사용자가 불량하면 안 죽는넘 없다고 봅니다

사용자 불량앞에선 모두 다 평등(?)합니다
     
화란 2023-11
SunOS 3.X 를 아무도 안만져서 가장 늦게까지 살아남아서 제가 shutdown -h now 를 날린 기억이 있어요 흑
          
dateno1 2023-11
오히려 안 건들면 잘 살아남습니다
제온프로 2023-11
메모리 관리를 잘합니다.

불필요한 서비스는 실행되지 않아서..

윈도우 10 과 윈도우 11 과는 너무 차이 납니다.
     
dateno1 2023-11
커널상 전.혀. 차이가 없습니다

애초에 업데이트조차 공유할 수 있을정도로 (SP만 달라도 공유 안 될정도인데) 동일한 구조입니다
          
제온프로 2023-11
시장이 판단하겠죠..

Windows server 2019 16Core : 130만원
Windows 10 Enterprise : ?? 만원
Windows 10 Pro : 16만원

MS-SQL server 탑제하고.
3~4년간 잘 운영이 될지.. 
시장이 판단 할 것으로 보입니다..
               
dateno1 2023-11
안정성떄문이 아니라 커넥션 제한이라던가 서버에만 제공되는 서버용 기능들, 더 높은 하드웨어 사항 지원등이 있으니 쓰는겁니다
Caig 2023-11
각종 인증서 및 파일 서버로 쓰는 OS가 윈 10 프로버전인데, 관리만 잘해주니 1년 넘게 안꺼지고 잘 되네요
     
dateno1 2023-11
업데이트도 안 하시나요? (보안을 생각하면 1달 이상 버틸 필요성 1%도 없다고 봅니다)
          
Caig 2023-11
업데이트는 해줘야 하긴 하지만 특성상 24시간 꺼지기가 어려워서 전용 백신 리셀러한테 사서 사용 하고있긴 합니다.
장애의 가장 큰 원인중 하나인 "사용자의 터치"가 적다는게 이유일듯합니다.

"서버 잘못 건드리면 X된다!!!"라는 말을 직간접적으로 많이 들어서 ..........

일반 업무용PC는 고장나면 바꾸지 머~~~ 하는 구성원들도 서버에서 직접 작업하는것을 꺼려하더라구요. ^^
     
dateno1 2023-11
덕분에 윈도 이외의 OS가 깔려있으면 아주 오래 갑니다 (아무도 못 건듬)
곰돌삐약 2023-11
그냥 cpu 코어쓰레드 지원 수 메모리 인식용량 차이 아닌가요?
찬이 2023-11
기능차이죠.. 윈도서버는 서버 기능들이 있으니까요. cpu 제한도 있구요.
상석하대 2023-11
PC나 서버의 근본은 같아요.
윈도우 경우 NT로 통합된지 오래 됐어요.
아마 윈도우 2000부터였을 거예요.
PC 또는 서버라는 용도에 맞게 튜닝됐을 뿐이예요.
PC, 그러니까 데스크톱 버전이 있는 리눅스, 유닉스도 마찬가지예요.
     
witbox 2023-11
동감합니다.

pc용 운영체제는 가능한 많은 기능들을 넣으려 하고, 서버 운영체제는 어떻게든 기능을 줄이고 제한해서 안정성을 올리려 하는것이구요.
푸뽀 2023-11
https://learn.microsoft.com/en-us/windows/win32/memory/memory-limits-for-windows-releases

윈도우는 지원하는 물리적인 메모리, CPU 수량이 다를 겁니다.


리눅스라면 GUI Desktop 환경 올리느냐 아니냐 차이(ubuntu)
Centos(Rocky linux) 랑 fedora 차이는 고정된 버전의 차이 (페도라는 걍 계속 버전업, 릴리즈 버전에서 버그 패치나 백포트 정도만 하고 10년 가량 지원) 의 차이가 있습니다.


QnA
제목Page 225/5722
2015-12   1753485   백메가
2014-05   5226028   정은준1
2023-11   2075   박문형
2023-11   2227   Sikieiki
2023-11   2030   화란
2023-11   2399   화정큐삼
2023-11   1491   inquisitive
2023-11   1417   pumkin
2023-11   1910   Rich
2023-11   1697   seoulmetro
2023-11   2794   atozztoa
2023-11   2395   SLALqHD
2023-11   2168   Sikieiki
2023-11   1953   전설속의미…
2023-11   2774   마법사오즈
2023-11   1385   밥알1김형근1
2023-11   3558   나스좋군
2023-11   1942   Caig
2023-11   2349   치킨좋아요
2023-11   2606   영산회상
2023-11   1626   샤멍
2023-11   1380   미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