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스크탑 서버클러스터 노드 가능성 질문(스타트업용)

초버   
   조회 1998   추천 0    

요즘 컴터 가성비가 좋아져서 구상해봤습니다.

AMD 4650G/ 또는 5600G + 32GB램(4개)+SSD(캐싱용)+ 여기에 메인보드,파워,케이스 하면 총 70만원에 6코어12쓰레드, 128램 시스템이 되는데, 

3대 사서 Proxmox 같은걸로 클러스터 노드화 한다고 하면 x3 하여 210만원, 여기에 8TB HDD 2개씩 노드컴터1개당 달아주면 총6개로 약110만원추가. 

최종적으로 약 310만원에 - 18코어 36쓰레드, 384램, 하드 40TB (레이드5) 의 클러스터 서버화가 됩니다. (총 전력소모 400w 내외 예상)

속도 부족할시 노드마다 PCIE슬롯으로 RJ45포트 늘려줄 수 있고, 초기 오버스펙일시 램/하드등 용량 줄이면 더 저렴하게도 가능할거 같구요.

ECC/REG램이 없다는 단점이 있지만, 주기적 리붓으로 관리하면 되지 않을까 생각했습니다.

처음 3대로 시작하여 확장 필요할시, 대략 10여대까지는 보기에는 투박할테지만 가성비있게 구축이 가능하지 않을까 구상했는데 괜찮을까요??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박문형 2024-02
PC를 서버로 사용해도 되느냐라는 이야기로 들리는데 케이스바이케이스라고 생각합니다..

호스팅 서비스에도 PC를 사용하는 경우가 꽤 있으니까요..

개인적으로는 권장하지 않습니다..
     
초버 2024-02
그렇군요 답변 감사합니다.
송주환 2024-02
가능한가? Y
적절한가? 용도에 따라 다름
최선의 방법인가? N
     
초버 2024-02
스타트업이라 가성비만 고려한 구상입니다 당연 제대로된 장비나 구축이 아닌지라.. ㅎ
proxmox는 외장 스토리지 없이 클러스터 구성이 가능한가요?
     
초버 2024-02
저도 아직 잘 모르는 부분입니다; 안된다면 다른 방법 찾아야겠죠
lemh 2024-02
proxmox 클러스터면 안될거없죠.
3대부터 시작하시는 이유가 ceph 구성을 위한것처럼 느껴지는데
1G로 하신다면 좀 아쉬워 하실 것 같습니다.

물론 i5 2520m 5대 + E3 1230v3 1대에 올려서 클러스터 구성도 됩니다.


가성비를 원하신다면 1288H v5로 구성하는것도 방법입니다.
레인은 더 많고, 확장성은 1U긴 하지만 괜찮지 싶습니다.
단, 2cpu 장터에 있는 대부분의 1288H v5 매물은 2.5 베이짜리입니다.
     
초버 2024-02
답변 감사합니다. 서버로 유사하게 가성비 맞출 수 있다면 전문장비가 좋아보이네요!
dateno1 2024-02
절 돌아는 갑니다

다만 전력 소비 절.대. 저렇게 안 낮아요 (4000W이면 이해를 하겠지만, 400W은 아님)

그리고 요즘 시대에 무슨 하드로 가상화 서버를 구축하는지;
     
초버 2024-02
4650G/5600G 시스템 자체가 풀로드시 100w 내외밖에 안됩니다;; 그래픽카드 쓰는것도 아니구요.
          
dateno1 2024-02
디스크같은것 계산에 넣으면 더 먹을껍니다
     
maronet 2024-02
ceph 사용하시려는거 아닐까요?
maronet 2024-02
- 8~16 코어짜리 1대로 구성해도 충분한 용량 나올 것 같습니다. 클러스터로 구성해야하는 이유를 잘 모르겠습니다.
     
초버 2024-02
무중단 서비스+ ECC램이 아니라 주기적으로 리붓도 해야할 것 같아서 그러면 클러스터가 유리하지 않을까 생각했습니다.
          
송주환 2024-02
참고로 ECC의 역할은 주기적인 재부팅으로 대신할 수 있는 게 아닙니다. Bit flip 확률은 독립시행이니까요.
               
초버 2024-02
답변 감사합니다. 좀 더 구글링을 해보니 웹호스팅, 페이지출력 같은 일반 서비스는 ECC를 안써도 되지만, 숫자가 단 하나라도 잘못 출력되면 안되는 중요한 DB,헬스,금융등에서는 ECC를 써야 한다고 하네요.
          
maronet 2024-02
스타트업에서 사용자를 대상으로 고가용성 서비스가 필요하다면 클라우드가 가성비가 좋아 보입니다.
저렇게 구성하면 내부 관리요소만 증가해서 더 신경쓰일 수도 있어요.
추가로 5600X등의 버미어 혹은 G 계열이면 PRO모델(예컨데 4750GE, 5750GE등)을 사용하시면
ECC UDIMM을 사용해서 ECC활성화가 가능하므로 나름 안정성도 챙길 수 있습니다.
PBO 끄고 정규클럭으로만 운영하셔도 발열에 좋은 대책이 됩니다.
     
초버 2024-02
라이젠이 ECC unbuffed 램 사용이 가능하다고 해서 구글링으로 좀 알아보았는데, 말그대로 슬롯에 껴서 ECC램을 '사용' 할 수 있다는 것뿐이고, 실제 ECC램의 오류교정 기능을 하진 않는다는 내용이 있어 정확한게 뭔지 잘 모르겠습니다. DDR5는 뭔가 다른 방식으로 ECC기능을 일반 데스크탑도 다 한다고 하더군요.
          
ECC가 활성화 되려면 CPU, RAM, 보드 세곳에서 모두 지원해야 가능합니다. 어느 한곳이라도 지원하지 않으면 활성화가 되지 않고요.
하지만 소프트웨어적으로 체크시엔 활성화가 맞고요. 그런데 활성화 되었다고 표시가 되도 말씀대로 진짜로 기능이 돌아가는지 여부는 잘 모릅니다.
일반 인텔의 경우 대부분 CPU에서 기능지원을 하지 않고(i5, i7 등), 일반보드에서는 대부분 지원되지 않습니다만,
라이젠의 경우에는 제조사가 보증은 하지 않는 선에서 지원을 막지는 않은 것으로 알고있습니다.

외형적으로 DDR4 ECC UDIMM의 경우 일반램과의 차이로 ECC기능을 하는 칩이 추가로 1개 더 달려있는 외형적 차이가 있고요.
DDR5는 기존 ECC UDIMM에 해당하는 모듈을 아직 본 적이 없어서 잘 모르겠습니다.
내부적으로 ECC가 지원된다는것 같은데, DDR4 ECC UDIMM과는 다른 방식인것으로 본 것 같습니다.
     
dateno1 2024-02
그런데 서버용같은것 제외하면 연구소제 보드정도밖에 선택지가 없을껍니다
제온프로 2024-02
메모리와 네트워크가 중요한데..
댓수가 늘어나면서.. 효율이 막 떨어져요...
epowergate 2024-02
일단 해보고 아니면 바꾸면 되죠
CEPH 너무 믿지 마세요
잘 모르는 거 잘못 사용하면 ...
RDB를 BLOCK Device로 사용하다가 "다" 날린 회사들 제법 있습니다.


QnA
제목Page 175/5722
2015-12   1753662   백메가
2014-05   5226214   정은준1
2024-02   2328   미담
2024-02   1999   초버
2024-02   1776   김은호
2024-02   1836   미담
2024-02   1370   화란
2024-02   2076   시류떡
2024-02   2895   허니베어
2024-02   1549   허밍버드
2024-02   1667   미담
2024-02   1887   핸즈
2024-02   1041   미담
2024-02   1482   아날로그
2024-02   3456   Rich
2024-02   1586   미담
2024-02   1488   미담
2024-02   1462   신우섭
2024-02   1232   Caig
2024-02   1320   L2스위치
2024-02   1499   dotcat
2024-02   1154   isilentwi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