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CRP-MSHELL ºÎÆ®·Î´õ Çϵåµð½ºÅ© ÀÌ½Ä ±â´É ÃÖÁ¾º» (v1.2.1.4, Friend v0.1.1w) °øÁö
헤놀로지 Synodisk (데이터디스크)에 부트로더를 이식해서 USB 부트로더를 떼어버리는 방법은
DSM 6 시절에도 있었던 기능였습니다.
하지만 DSM7 레드필에 오면서 로더의 커널사이즈가 점점 커지는 바람에 과거의 방법으로 부트로더를 이식하는건 더이상 불가능해 졌습니다.
rr 의 개발자 wjz304 님의 제안으로 시작하게된 기능입니다.
작년 10월 최초 버전이 나왔을때는 어쩔 수 없이 2개의 하드를 사용해야 했지만, 이젠 DSM6 처럼 하드1개로 부트로더 이식이 가능합니다.
rr 은 커널의 덩치가 mshell 보다는 훨씬 커서 부트로더 이식이 불가능할것 같습니다.
기존 디스크에 부트로더 이식용 파티션 3개를 모두 확보할 방법이 없어서
BASIC 타입의 디스크 또는 SHR 을 2개를 사용하도록 했었는데,
SHR 타입의 디스크에서 3개의 파티션을 모두 확보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았습니다.
대신 파티션의 공간들은 간신히 필요한 커널들을 딱 이식할 수 있는정도만 확보 됩니다.
SA6400 의 경우는 DSM 커널사이즈가 유독커지는 바람에 이식대상에서는 배제할 수 밖에 없었습니다.
그리고, BASIC 타입으로 디스크 2개를 사용하도록 하면 관리도 복잡해지고 디스크 관리의 위험요소도 더 커지는것 같습니다.
2개 디스크 중 하나가 유실되거나 기억이 안난다거나 하면 더 곤란해 질테니까요.
그래서, 최종버전인 이번 버전에서는 안전하게 SHR 타입만 지원하도록 하고 BASIC 2장은 더이상 지원을 하지 않습니다.
RAID 1 또는 RAID 5 디스크 유형도 BASIC 과 다르지 않기 때문(파티션 2개만 생성가능) 에 역시 지원하지 않습니다.
혹시 그간에 BASIC 타입 2장을 사용하시던 경우는 SHR 로 전환 부탁드립니다.
NVMe 도 물론 지원하지만, NVMe 단독만으로 SHR 을 사용하시는 경우는 지원되지 않습니다.
SATA 디스크가 최소한 1장더 있으신 경우 NVMe / SHR 을 부트로더로 이식하실 수 있습니다.
SHR 디스크가 여러장 (레이드 스트로지풀로 구성된 경우도 포함) 이 있을 경우는 맨 뒤의 디스크 1장만 취하도록 했습니다.
10개월전 최초 기능 구현시 올렸던 설치 가이드를 참조해 보시기 바랍니다.
https://svrforum.com/nas/1300475
이 기능은 시험적인 기능이므로 부트로더가 이식되는 타겟 디스크의 데이터는 항상 백업을 선행하시길 권장드립니다.
설치방법을 간단히 축약하면.
- 보통처럼 모델선택후 SN / MAC 기입후 로더를 빌드합니다.
- 부트로더가 이식될 디스크 최소 1장을 준비해서 DSM 설치까지 마칩니다.
- DSM 로그인후 디스크는 SHR 타입으로만 스토리지풀을 생성합니다.
- 다시 부트로더 빌드 메뉴로 재진입합니다.
- Additional Function (단축키 n), Inject Bootloader to Syno DISK (단축키 h) 로 부트로더 주입을 진행합니다.
- 전원을 종료합니다.
- USB 형 외 모든 부트로더를 제거합니다.
- 부트로더가 주입된 디스크로 부팅합니다.
부트로더 주입을 위해 생성된 파티션만 디스크에서 제거하고 싶으시다면
Additional Function (단축키 n), Remove the injected bootloader partition (단축키 m) 로 파티션을 제거합니다.
안전하게 부트로더 주입을 위해 생성한 83 Linux (VFAT) 파티션만 선별적으로 삭제합니다.
SHR 디스크에 부트로더가 주입된 상태의 파티션 배치 모양은 아래와 같습니다.
데이터 영역은 침범하지 않은 상태로 그 주위에 여유공간 약 220M 정도를 활용합니다.
83 Linux (Vfat) 타입의 파티션 (부트로더와 같은타입) 으로 파티션 4,6,7 을 생성합니다.
파티션 5번인 W95 Ext'd (LBA) 타입은 SHR 만 가지고 있는 고유한 파티션 유형입니다.
이 유형 때문에 파티션을 3개까지 확보할 수 있는 가능성이 열렸습니다.
파티션 번호가 기존의 부트로더처럼 1,2,3 번의 순서가 아닌 4.6.7 이라도 부트로더 처럼 FAKE 하기 위해
synoboot1,2,3 번으로 심볼릭 링크를 강제로 만들어 사용합니다. (automout addon 이 이부분을 담당)
https://github.com/PeterSuh-Q3/tcrp-addons/blob/main/automount/src/install.sh
이 부트로더가 심어진 SHR 디스크라고 해서 특별히 따로 건들지 않고 두실 필요는 없습니다.
기존 디스크들과 SHR 그룹의 멤버로 RAID 그룹을 묶으셔도 무방합니다.
대신 SHR 스토리지 그룹을 새로 만드신다면 포맷이 되기 때문에 이 주입된 부트로더도 같이 삭제가 되는것은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각 플랫폼별 주입된 3개의 파티션에 사용되는 용량 분포 입니다.
각 캡쳐에서 2번째 / 3번째 파티션의
TARGET SPACE LEFT (총 여유공간) 과 TARGET TOTAL USED (총 사용공간) 만 눈여겨 보시면 될것 같습니다.
플랫폼별로 커널이 차지하는 공간이 제각각 입니다.
많이들 사용하시는 아폴로레이크, 브로드웰nk, r1000, 덴버톤은 여유공간이 상대적으로 있는편이고
제미니레이크 / v1000 은 좀 많이 빡빡합니다.
참고하셔서 선택 사용하시면 좋을것 같습니다.
[broadwellnk]
[broadwell]
[broadwellnkv2]
[broadwellntbap]
[purley]
[apollolake]
[r1000]
[geminilake]
[v1000]
[denverton]
Ãßõµå¸®°í °©´Ï´Ù.
¾÷µ¥ÀÌÆ®¶ó´ø°¡ ¹ºÀÏ ÀÖÀ»‹š ¹®Á¦ »ý±â´Â°É °¢¿ÀÇÏ°í Çϴ°Ŷó ºÁÁÖ¼¼¿ä (¿¹¸¦ µé¾î ºÎÆ®·Î´õÀÇ Ä¿³Î Å©±â°¡ °©ÀÚ±â Ä¿Áö°Å³ª ½Ã³îÀÌ ¹ºÁþÇÏ¸é ¹®Á¦µÉ °¡´É¼º Å)
½ÃÇèÀûÀÎ ±â´ÉÀ̱⿡ ¸¹Àº ÁÖÀÇ°¡ ÇÊ¿äÇÕ´Ï´Ù. ¹é¾÷µµ ¹°·Ð ÇÊ¿äÇϱ¸¿ä.
small fix update »óȲ¿¡¼´Â Ä¿³ÎÅ©±â°¡ °©ÀÚ±â Ä¿Áú °¡´É¼ºÀº º°·Î ¾ø´Âµ¥,
micro ¹öÀü ´ÜÀ§ ÀÌ»óÀ¸·Î 7.2.2 -> 7.2.3, 7.2.2 -> 7.3 µîÀ¸·Î ¹Ù²î´Â ½ÃÁ¡¿¡¼´Â ÁÖÀÇ°¡ ¸¹ÀÌ ÇÊ¿äÇÒ ¼ö ÀÖ½À´Ï´Ù.
ÀÌ·²¶§´Â ¿ø·¡ »ç¿ëÇϽôø USB ºÎÆ®·Î´õ´Â ¹ö¸®Áö ¸¶½Ã°í º¸Á¶¿ëÀ¸·Î ´Ù½Ã »ç¿ëÇÏ½Ç ¼ö ÀÖµµ·Ï ´ëºñÇØ µÎ½Ã´Â°ÍÀÌ ÁÁ½À´Ï´Ù.
°¢ Ç÷§Æû º°·Î Â÷ÁöÇÏ´Â Ä¿³Î»çÀÌÁîµµ Á¤¸®Çؼ Çѹø Ç¥±â µå¸®°Ú½À´Ï´Ù.
SA6400 À» Á¦¿ÜÇÏ°í ÃÑ 10°³ÀÇ Ç÷§ÆûÀÌ Áö¿øµÇ±¸¿ä.
±×Áß DS918+ ÀÎ ¾ÆÆú·Î·¹ÀÌÅ©°¡ °¡Àå Å©±â°¡ ÀÛ°í °¡º±³×¿ä.
Âü°í·Î °íÁ¤Å©±â·Î ºÁµµ ÁÁÀº FRIEND Ä¿³ÎÀº 1¹ø ÆÄƼ¼Ç¿¡ À§Ä¡Çؼ Å©±â´Â Á¦°¡ ÄÁÆ®·ÑÀÌ °¡´ÉÇÏ°í
2¹ø ÆÄƼ¼Ç¿¡´Â smallfixversion update ¿¡ °ü¿©ÇÏ´Â rd.gz °ú zImage °¡ ÀÖ½À´Ï´Ù.
3¹ø ÆÄƼ¼Ç¿¡´Â DSM ·Î´õ ºôµå½ÃÁ¡¸¶´Ù »ý¼ºµÇ´Â zImage-dsm Ä¿³ÎÀÌ Á¸ÀçÇϴµ¥, ÀÌ Ä¿³ÎÀÇ »çÀÌÁî°¡ °ü°ÇÀÔ´Ï´Ù.
Æß¿þ¾î¿Í Ä¿³Î¸ðµâÀÌ Àý¹ÝÀÌ»óÀÇ »çÀÌÁ Â÷ÁöÇÏ°í ÀÖ¾î¼ À̺κеµ °æ·®È ÇÒ ¼ö ÀÖ´ÂÁö´Â Á» °í¹ÎÁßÀÔ´Ï´Ù.
´Ù¸¸ ÇØ´ç ÆÄƼ¼Ç »óÇÑÀ̶õ°Ô ¼øÁ¤ ½Ã³îÀÇ ¹°¸®Àû ½ºÆÑÀ̶û °ü·ÃÀÌ ÀÖÀ»Å×´Ï ÀÏÁ¤Ä¡ ¸ø ³ÑÀ»²®´Ï´Ù (¾È¿¡ USB´ø°¡ SATADOMÀÌ´ø°¡ ²ÉÇôÀÖ½À´Ï´Ù)
ÇØ´ç ½ºÆÑ Á¶»çÇؼ ¹Ì¸® ÃÖ´ë Ä¡Å© Àâ¾Æ¹ö¸®´Â°Íµµ ¹æ¹ýÀÌ¶ó º¾´Ï´Ù
2°æ¿ì Â÷ÈÄ Áö¿øÇÏ´Â ÀåÄ¡ ¸ñ·ÏÀÌ ´Ã°Å³ªÇϸé Á¶±Ý ´õ Áõ°¡ÇÒ²¨¶ó ¿¹»óµË´Ï´Ù
À̺κÐÀº ·Î´õ ¸®ºôµå½Ã Ä¿³Î»çÀÌÁî°¡ ¿À¹ö³ª¸é ·Î´õ ÁÖÀÔÀ» ¸ØÃßµµ·Ï µÇ¾î ÀÖ½À´Ï´Ù.
·Î´õ ÁÖÀÔ»ç¿ëÀ» ¸øÇÏ°Ô µË´Ï´Ù.
Àú·± µ¡±Û ³²±ä ÀÌÀ¯°¡ ¿§³¯¿¡ 6 Jun½ÃÀý¿¡ Àú°Å Çß´Ù°¡ ³ªÁß¿¡ ¹®Á¦ µÇ¾î¼ »ðÁúÇÑ ±â¾ï¶§¹®¿¡ ³ëÆĽÉÀ¸·Î ±×·±°Í»ÓÀÔ´Ï´Ù
°æ°í¹®À¸·Î ¹®Á¦ »ý±æ ¼ö ÀÖÀ¸¹Ç·Î ±âÁ¸ ·Î´õ º¸°üÇؾßÇÏ°í(ÀÌÇÏ »ý·«) »ðÀÔÈÄ Y/N ¹¯´Â½ÄÀ¸·Î ÇÏ¸é µÉ²¨¶ó º¾´Ï´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