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9 |
(CrystalDiskMark) 2TB 5400rpm + 64GB SATA3 SSD캐시로 만든 윈도우11 storage space pool (5) |
김은호 |
2024-02 |
4827 |
0 |
2024-02
4827
1 김은호
|
78 |
(ETC) scp / smb 간단 속도 측정 (11) |
SiCMOS |
2023-09 |
28929 |
0 |
2023-09
28929
1 SiCMOS
|
77 |
(CrystalDiskMark) Ebay산 PM983 1.88T 간단한 벤치및 시험 (13) |
dateno1 |
2023-08 |
24799 |
0 |
2023-08
24799
1 dateno1
|
76 |
(CrystalDiskMark) hynix enterprise ssd 960g / Irst , highpoint rocketraid 2722 (4) |
긴머리루이스 |
2023-03 |
31942 |
0 |
2023-03
31942
1 긴머리루이스
|
75 |
(HD Tune) MicroServer Gen8 + P420 + RAID5(8TB * 4EA) (2) |
미친감자 |
2021-11 |
7391 |
0 |
2021-11
7391
1 미친감자
|
74 |
(ETC) MicroServer Gen10 X3216 (CPU-Z Benchmark) |
미친감자 |
2021-10 |
7302 |
0 |
2021-10
7302
1 미친감자
|
73 |
(HD Tune) 레이드 컨트롤러 6G VS 12G 차이 (16) |
캔위드 |
2021-01 |
11639 |
0 |
2021-01
11639
1 캔위드
|
72 |
(CrystalDiskMark) 온보드 SAS 12G 3108 RAiD 컨트롤러 벤치 (2) |
트렌드 |
2020-09 |
6957 |
0 |
2020-09
6957
1 트렌드
|
71 |
(CrystalDiskMark) SATA HDD, SAS HDD, SATA SSD, NVME SSD 비교 (3) |
motu |
2019-11 |
6726 |
0 |
2019-11
6726
1 motu
|
70 |
(CrystalDiskMark) 가지고 있는 SSD/HDD 궁금증 유발로 테스트 (2) |
더블로 |
2019-03 |
4694 |
0 |
2019-03
4694
1 더블로
|
69 |
(AJA) areca 1883ix-24 8G Buffer / 8TB x12 & 8TB x10 / Raid 6 (5) |
Jasper |
2018-12 |
5727 |
0 |
2018-12
5727
1 Jasper
|
68 |
(CrystalDiskMark) Areca 1883ix-24 (12GB) / 8G RAM / HPE 8TB SAS 12G x 12 / Raid 6 (6) |
Jasper |
2018-12 |
6170 |
0 |
2018-12
6170
1 Jasper
|
67 |
(CrystalDiskMark) 삼성 sata3 850 벤치 (1) |
나나나나나 |
2018-11 |
6396 |
0 |
2018-11
6396
1 나나나나나
|
66 |
(ETC) [KVM/GPU passthrough, 3DMark] Gigabyte RX580 4G Mining 점수 (6) |
아름드리소… |
2018-10 |
10259 |
1 |
2018-10
10259
1 아름드리소…
|
65 |
(CrystalDiskMark) SATA3 SSD vs NVME(PCIE2.0) SSD (3) |
백만스물하나 |
2018-08 |
13948 |
0 |
2018-08
13948
1 백만스물하나
|
64 |
(CrystalDiskMark) WD80EFAX 8TB * 4 RAID5 (3) |
이선호 |
2017-12 |
11056 |
0 |
2017-12
11056
1 이선호
|
63 |
(CrystalDiskMark) HGST 4T 7.2K NAS SATA HDD RAID 테스트 (1) |
online9 |
2017-06 |
9218 |
2 |
2017-06
9218
1 online9
|
62 |
(CrystalDiskMark) 12G SAS HDD (300GB/15K*8)RAID-5 RAID-10 테스트 (1) |
song05 |
2017-06 |
7742 |
2 |
2017-06
7742
1 song05
|
61 |
(CrystalDiskMark) 12G SAS HDD RAID-10 , RAID-5 , RAID-50 테스트 |
song05 |
2017-06 |
6525 |
0 |
2017-06
6525
1 song05
|
60 |
(CINEBENCH) L5630 듀얼(1366소켓) 시네벤치 결과입니다. (4) |
꿀벌l최인혁 |
2016-10 |
10592 |
3 |
2016-10
10592
1 꿀벌l최인혁
|
레이드 0/1 은 인텔 내장 레이드가
가장 유연하고 사용하기 편리하며 안정적입니다.
오래된 보드에서 묶은 것도 그대로 옮겨 아무 문제 없이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인텔 내장 레이드 기술의 기원은 LSI 입니다만
LSI 의 그것보다 더 유연하고 안정적이며 편리합니다.
레이드로 선택해서 사용하더라도,
싱글 드라이브를 RAW 상태로 자유롭게 사용가능하기 때문입니다.
이미 하드웨어 레벨의 알고리즘이
트림 / 개배지 코렉션 등을 작동시키고 있습니다.
물론 이것을 OS 레벨에서도 함께 수행한다면 좀 더 효율적이겠으나
그렇지 않다고 해서 SSD 수명이 급격히 떨어진다거나 하지 않습니다.
자유롭게 사용해도 문제 없습니다.
이 답변은 인텔 초기 제품 GC1 시절때부터
지금까지 2.5 SSD 를 인텔 내장 레이드 0 으로
사용해왔던 랩의 테스트, 개인 사용의 결과물입니다.
행복한 휴일 되세요.
도움이 되었다면 그거야 말로 즐거운 일입니다.
레이드 카드를 구매해서 사용하기 보다는
차라리 네이티브 8채널 / 10채널 인텔 보드를 사용해서
딱 그 채널만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과거 E3 계열의 일부 제온 보드들
최근 Z 라인업의 일부 보드들이 네이티브 8채널을 지원합니다.
2011 소켓등의 서버 라인업 고가 보드들이 8 - 10채널을 지원합니다.
M.2 슬롯을 사용하면 SATA 포트가 일부 사용이 막히는 경우가 있으니,
PCI EX 슬롯에 M.2 설치하는 카드를 (보통 1만원 이하) 사용해서 OS 를 설치하고
SATA 채널은 온전히 다 사용해서 HDD / SSD 를 연결하는 것이 제일 좋습니다.
개인용도의 HDD 스토리지 사용하기에 이 방법이 제일 좋다고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