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774620 |
25 |
2015-12
1774620
1 백메가
|
|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7) |
정은준1 |
2014-05 |
5249340 |
0 |
2014-05
5249340
1 정은준1
|
1035 |
(ETC) 4개 RTX3080 블로워 tensorflow 벤치마크 (2) |
TubeAmp |
2023-09 |
24381 |
0 |
2023-09
24381
1 TubeAmp
|
1034 |
(ETC) Intel VROC 7.5 RAID-5 구성 성능 테스트 (1) |
송주환 |
2023-09 |
15848 |
0 |
2023-09
15848
1 송주환
|
1033 |
(CrystalDiskMark) vSphere 8.0 U1 NVMe over RDMA + GRAID SR-1010 (3) |
송주환 |
2023-08 |
20637 |
1 |
2023-08
20637
1 송주환
|
1032 |
(CINEBENCH) EPYC 7D12 (3) |
꿀벌l최인혁 |
2023-08 |
22529 |
0 |
2023-08
22529
1 꿀벌l최인혁
|
1031 |
(CrystalDiskMark) Ebay산 PM983 1.88T 간단한 벤치및 시험 (13) |
dateno1 |
2023-08 |
24797 |
0 |
2023-08
24797
1 dateno1
|
1030 |
(SPEC Viewperf) 심심 해서 SPEC를 돌려봤습니다. (2) |
무쏘뿔처럼 |
2023-08 |
28826 |
0 |
2023-08
28826
1 무쏘뿔처럼
|
1029 |
(AJA) NVMe PCIe4.0x4 (64GT/s) 삼성 980 Pro 2TB 의 PCIe3.0x4 (32GT/s) 하향 환경 테스트 (2) |
화정큐삼 |
2023-07 |
34927 |
0 |
2023-07
34927
1 화정큐삼
|
1028 |
(CrystalDiskMark) PROXMOX 8 + iomemory 6.4TB + WIN10 VM (5) |
꿀벌l최인혁 |
2023-07 |
37985 |
0 |
2023-07
37985
1 꿀벌l최인혁
|
1027 |
(CINEBENCH) i9-10900X 시네벤치 (3) |
TubeAmp |
2023-07 |
34762 |
0 |
2023-07
34762
1 TubeAmp
|
1026 |
(소비전력) 최근 지포스 RTX 4060 소비전력 (9) |
프로게이머 |
2023-07 |
34873 |
0 |
2023-07
34873
1 프로게이머
|
1025 |
(ETC) (타오바오) Erying G660i i7-12700H 노트북 CPU M-ITX 컴파일 (3) |
pmnxis |
2023-05 |
60945 |
0 |
2023-05
60945
1 pmnxis
|
1024 |
(ETC) E5-2696V4, RTX 2080 Ti 1개 및 2개의 Puget 다빈치 리졸브 벤치마크 (6) |
TubeAmp |
2023-05 |
63371 |
0 |
2023-05
63371
1 TubeAmp
|
1023 |
(ETC) E5-2696V4, RTX A4000 1개 와 2개 시스템의 Puget 다빈치 리졸브 벤치마크 테스트 (6) |
TubeAmp |
2023-05 |
68622 |
1 |
2023-05
68622
1 TubeAmp
|
1022 |
(ETC) GRAID SupremeRAID SR-1010 BMT (Samsung PM1733a RAID-6) (1) |
송주환 |
2023-05 |
57133 |
2 |
2023-05
57133
1 송주환
|
1021 |
(ETC) GRAID SupremeRAID SR-1010 BMT (Samsung PM1733a RAID-5) (1) |
송주환 |
2023-05 |
56710 |
3 |
2023-05
56710
1 송주환
|
1020 |
(ETC) GRAID SupremeRAID SR-1010 BMT (RAID-0) (3) |
송주환 |
2023-04 |
50306 |
0 |
2023-04
50306
1 송주환
|
1019 |
(ETC) GRAID Supreme RAID SR-1010 BMT 테스트 런 (1) |
송주환 |
2023-04 |
21954 |
2 |
2023-04
21954
1 송주환
|
1018 |
(CrystalDiskMark) vSphere 8.0 U1 NVMe over RDMA VDI BMT (2) |
송주환 |
2023-04 |
19316 |
1 |
2023-04
19316
1 송주환
|
1017 |
(CINEBENCH) 레노버 리전 5 16IAH 12700H (1) |
Noman |
2023-03 |
31600 |
0 |
2023-03
31600
1 Noman
|
1016 |
(CrystalDiskMark) (CrystalDiskMark) SAMSUNG SSD 990PRO 1TB |
Noman |
2023-03 |
30081 |
0 |
2023-03
30081
1 Noman
|
그래프를 보니 3-2. 부터 write 결과에서 말씀하신 널뛰기(?) 증상이 보이네요.
경험상 SPC-1 테스트를 수행했을 때 처음에는 괜찮다가 어느정도 지나니 NVMe의 GC으로 고생했던 기억이 듭니다... ㅠㅠ
혹시 그래프와 같이 fio raw 결과도 올려주실 수 있을까요?
그 결과에 테스트 수행 과정에서 전체 write한 크기를 보여줄 텐데, 해당 값을 통해 PM1733a 3.84TB 제품에 대한 DWPD를 계산해 볼 필요가 있어 보입니다.
추가로 테스트가 끝나고 다음 테스트를 진행했을 때 nvme format를 수행했는지 궁금합니다.
위 결과들을 바탕으로 3-1부터 write 성능에 널뛰기(?) 현상에 대한 원인을 확인해 볼 수 있겠네요.
다음 테스트는 무엇인가요?
개인적으로 패리티 연산이 수행되는 RAID-5, 6의 성능이 매우 기대됩니다.
현재 Poseidon OS에 NVIDIA GPU를 연결해서 패리티 연산을 GPU에서 수행하는 프로젝트를 진행 중인데, 해당 결과에 참고 또는 목표치가 될 수 있겠네요.^^
테스트하시느라 고생 많으셨습니다. 다음 글도 기대하겠습니다.
아시다시피 재현 가능한 테스트 결과를 얻으려면 precinditioning이 필요한데, 시간 소요가 크며, GRAID 성능 평가라는 목적에 부합하지 않아 이번 테스트에서는 제외하였습니다.
그리고, GRAID에 연결된 SSD는 kernel에서 detach 되기에, 각 테스트 케이스 시작 전 초기화 작업은 이루어지지 않았습니다. 개인적으로는 steady state에 영향을 주지 않을 것이라는 판단을 내렸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