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765220 |
25 |
2015-12
1765220
1 백메가
|
|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7) |
정은준1 |
2014-05 |
5239752 |
0 |
2014-05
5239752
1 정은준1
|
571 |
오늘도 평화로운 사무실 앞 풍경 (8) |
광주동키호테 |
2023-01 |
7246 |
0 |
2023-01
7246
1 광주동키호테
|
570 |
대왕암 (2) |
노말 |
2023-10 |
7723 |
0 |
2023-10
7723
1 노말
|
569 |
줄줄이 (1) |
노말 |
2023-11 |
2174 |
0 |
2023-11
2174
1 노말
|
568 |
오늘도 평화로운 사무실 앞 풍경 (10) |
광주동키호테 |
2022-12 |
7400 |
0 |
2022-12
7400
1 광주동키호테
|
567 |
밤의 여인 (8) |
노말 |
2024-03 |
1963 |
0 |
2024-03
1963
1 노말
|
566 |
오늘도 평화로운 사무실 앞 풍경 (6) |
광주동키호테 |
2024-06 |
2317 |
0 |
2024-06
2317
1 광주동키호테
|
565 |
그 능선에서 (3) |
노말 |
2024-10 |
884 |
0 |
2024-10
884
1 노말
|
564 |
실종된 Merry Christmas (1) |
노말 |
2024-12 |
1338 |
0 |
2024-12
1338
1 노말
|
563 |
무선랜 접촉부가 잘 꺾여서 (2) |
김준유 |
2021-04 |
6814 |
0 |
2021-04
6814
1 김준유
|
562 |
오늘도 평화로운 사무실 앞 풍경 (12) |
광주동키호테 |
2023-11 |
2160 |
0 |
2023-11
2160
1 광주동키호테
|
561 |
지난 겨울 (2) |
노말 |
2024-05 |
2088 |
0 |
2024-05
2088
1 노말
|
560 |
오늘도 평화로운 사무실 앞 풍경 (4) |
광주동키호테 |
2023-08 |
4475 |
0 |
2023-08
4475
1 광주동키호테
|
559 |
상고대 (1) |
노말 |
2024-01 |
1930 |
0 |
2024-01
1930
1 노말
|
558 |
오늘도 평화로운 사무실 앞 풍경 (4) |
광주동키호테 |
2024-02 |
2139 |
0 |
2024-02
2139
1 광주동키호테
|
557 |
오늘도 평화로운 사무실 앞 풍경 (6) |
광주동키호테 |
2024-04 |
1933 |
0 |
2024-04
1933
1 광주동키호테
|
556 |
하이원 (2) |
노말 |
2024-12 |
1065 |
0 |
2024-12
1065
1 노말
|
555 |
오늘도 평화로운 사무실 앞 풍경 (4) |
광주동키호테 |
2024-03 |
1820 |
0 |
2024-03
1820
1 광주동키호테
|
554 |
난이 꽃을 피웠습니다. (4) |
파란꿈 |
2019-02 |
5696 |
0 |
2019-02
5696
1 파란꿈
|
553 |
[옵션 백업]SD카드 0바이트로 잡힘 해결 (2) |
알수없는힘 |
2021-04 |
7465 |
0 |
2021-04
7465
1 알수없는힘
|
552 |
다이소 춧천템 (3) |
정은준1 |
2023-02 |
7854 |
0 |
2023-02
7854
1 정은준1
|
재미로 보세요
건축 - 1차 도급 일많음 설계비 받아서 사장 배불리고 엔지니어링 업체 설계비 나눠줘야 해서 박봉
돈은 1차로 들어와서 월급 밀리는 일은 별로 없음(밀리는 사무실은 진짜 사장이 똥된장 못가리고 일하는 심각한 무능력자임)
토목 - 1차 도급 또는 건축의 2차 도급 일많지만 도면 단순 돈 적당히 범
건축의 기계전기 - 거의 대부분 건축의 2차 도급 일 많고 돈도 적당히 주지만 건축사 사무소에서 돈을 줘야 받기 때문에 괜히 일하면서 마음 불안함
구조 - 거의 대부분 건축의 2차 도급 잘나가는 사무실은 일 가려받는데 역시 건축사 사무소에서 돈 줘야 받음
결론 건축이면 그 능력에 잘버는 직업이 훨씬 많고 편의점 알바 수준입니다.
건축학전공해서 건축사의 길 또는 기계전기 등 기술사로 가는 사람이 아니면 쳐다볼 이유가 하나도 없는 업종입니다.
단순 도면 즉 하는 사람들 무지하게 많습니다... 아마 2주에서 3주 배우면 다들 최소 기본을 하고 1년 에서 2년 하면 아마 다들 하는 정도 입니다.
구조 설계 및 구조 검토 금형 설계 및 검토. 이쪽분야 인력 부족합니다.
그냥 도면 배끼는 정도는 무지많지만.. 진짜 설계하는 분들은 부족합니다... 저도 그냥 도면 배끼거나 단순 플랜트 설계정도 입니다... 기계 설계나 플랜트 전체적인 설계하는 분들 연봉 억대는 기본입니다. 중요한것은 이쪽은 단순 기능가지고는 안되고 자격증도 국가 공인 자격증도 갖추어야 합니다.. 나중에 도장을 자신이 책임지고 찍어줄수 있는 정도가 되면... 연봉은... 더올라갑니다.
문제는 일에 치여서 1달에 잠을 몇시간 못 잡니다...
마우스와 키보드를 하도 두들겨서 손에 관절염도 오고요..
모든 일이 다 그런 것이지만 돈 많이 벌고 쉬운 일은 없습니다..
그래도 신입이니 처음엔 도면 배끼는것만 할지도 모르겠군요.
그리고 설계업무자체는 캐드가 기본인거라 캐드자체가 업무가 될수는 없습니다.
리버스 엔지니어링이라해도 설계가 업무의 메인이 되어야하니까요. 구상및 디자인 설계등등은 연봉이 낮지는 않아요.. 인력도 많은 편은 아니고요
CAD를 이용해서 뭘 하느냐가 중요하죠
단순히 작도만 하는것과 설계를 하는 것은 차이가 많이 납니다.
판금쪽이라면 2~3년정도 지나면 급여는 괜찮은편입니다.
하지만, 일이 좀 늦게끝날수 있겠습니다.
판금,제작하는 쪽이면 비교적 일자리도 많습니다.
경력된다고 상당한 고연봉은 아니지만,
꾸준히 할수는 있습니다.
결국 도면해독능력이 좋으면,
짧은기간에 어느정도의 연봉은 가능하고,
관리직도 가능합니다.
cad=설계로 잘못알고 계신데
cae를 제외하고는 고연봉은 어렵습니다.
국내에 cae 제대로 하시는 분도 그다지 많지않고, 부가적인 능력이 받춰줘야 하기에..
어느분야든 박봉에 중노동하는 분과
고연봉에 칼퇴근하는 분은 있으니, 노력하기 나름 아닐까요?
CAE라 좋은거 배워갑니다. 급 관심이 가는데, 당장은 힘들겠군요. 역학도 처음부터 공부해야하고..
별로 유용하지 못한 능력인듯. 제대로 사수에게 배운적도 없고 혼자서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