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계획하는 일 : 드론대회(2019년 예정)
현재 국내외에서 개최되고 있는 장애물 통과 FPV드론 경기와 차별화 되는 FPV드론 최초의
스피디 레이싱 경주를 기획하고 있습니다.
오로지 기체의 성능과 파일럿의 조종능력으로 저공(5m이하)비행하여 정해진 구간을
가장 빠르게 완주하는 경주로 승부하는 야구의 직구같은 경주입니다.
형식과 방식으로 국내최초, 세계최초가 아닐까 생각됩니다.
+ 문의사항 :
1. 영상송수신 문제 해결 방안
코스는 한바퀴의 거리가 3.9km인 자동차 전용도로로 송수신이 가능한 원의 반지름 거리는 550m입니다.
구간 테스트 비행 결과, 대부분의 구간은 탁트인 공간인데 회전하는 양쪽 옆으로 다소 낮은 지역과
낮은 언덕이 있고 철구조물(철망 등)이 있어 기체 조종 송수신은 양호한 편인데 영상송수신이 살짝 쌀짝
끊기는 현상이 발생했습니다.
주변분들게 조언을 청했는데 중간중간에 중계기(또는 증폭기?)를 설치하면 문제가 해결 될 것 같다는 얘기와
대회에서 고감도 영상수신기를 4개 준비하여 파일럿들에게 제공하면 될 것 같다는 방법론을 들었습니다.
그래서 중계기(또는 증폭기?)를 검색하니 LTE, 4G, 4G중계기만 나옵니다.
그렇다고 대회에 참가할 분들에게 LTE송수신기를 달아야 한다고 공지할 수는 없지 않겠습니까.
최대한 파일럿들이 가지고 있는 장비(보통 200mw~800mw)로 대회를 원할하게 치루고 싶습니다.
어떤 해결방법이 있을까요?
그 해결방법에 사용하면 좋을 추천장비도 함께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참고로 저는 방송연출 20년 이상으로 현재는 다양한 이벤트를 기획하고 있습니다.
드론은 2014년부터 지속적으로 관심을 갖고 FPV드론을 자체 제작도 해보고 현재는
취미로 RTP드론으로 영상촬영을 위한 비행을 하고 있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com
현재 개발하는 장비에 무선을 적용해서 개발하였으나 무선으로 송수신하는경우 정지상태에서는 잘되는데 이게 이동만하면 핑이 높게튑니다.
이걸 잡으려면 무선쪽 설정을 해야하는데 드론이 설정할수있는 제품인지 모르겠네요.
영상이 끊기거나 그러면 무선쪽 송수신 주기나 기타설정 셋팅하면 잡히긴합니다. 물론 일반적인 경우에서 입니다.
제가해본결과로는 일단 영상 비트레이트와 프레임과는 상관은 없었습니다.
https://www.amazon.com/OnReal-Camera-Hidden-Compatible-Android/dp/B01K9TQUXC/ref=sr_1_180_sspa?ie=UTF8&qid=1536987002&sr=8-180-spons&keywords=lite+action+camera&psc=1
답변 감사합니다.
이것들은 적게는 몇키로에서 몇십키로까지 송수신이 가능합니다..
별도의 장비가 있는 것이기 때문에..
각각 장비를 달고 진행하시면 될것 같습니다만..
https://youtu.be/XJf-bwY--48
보통 레이싱 드론은 5.8ghz를 사용하는 반면..
1.2ghz를 사용합니다..
지연율등은 확인이 필요할것 같습니다.
우선 조종자 위치를 높은곳으로 정하시는게 유리하실듯 하고요.
고감도 패치안테나를 어레이방식으로 몇개 설치해서 수신이 약한곳위주로 방향을 잡아주신후
각각의 안테나를 디바이더 해주시면 될겁니다. 가급전 급전선은 짧게해서 결합하시고 여러명이 동시에 사용을 해야한다면
안테나를 수신앰프에 물리고 다시 분배해서 수신기에 뿌려주는 방식이 될듯한데 이게 말은 쉬운데 작업도 번거롭고
패치안테나 가격도 장난이 아니라서요.
재질은 그물 팬스같은 걸로 해서 쿠킹호일로 발라 버리면 될 듯한데 말이죠.. 흐... 페인트 같은 걸 칠해서 눈에 안거슬리게..
단.. 전파가 반사되지 않고 흡수되면 안되니까 반사판을 접지 시키지 마시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