픽미픽미픽미원

무아   
   조회 20008   추천 5    

http://www.msn.com/ko-kr/news/techandscience/%ec%82%b4%ec%95%84-%ec%9… (1439)

드론 때로 날리기 경쟁인가 봅니다.

얼마전에 인텔이 100대 날리기 나오고

한국에서 군부대 행사로 300대 날린게 기네스북이네 하면서 자랑하던데

곧바로 인텔 500 대 날리네요.

나사 하나 쓰지 않았다고 하네요.



...
chis 2016-11
우리나라에서 했던거랑 비교하시면 부끄러워집니다. 우리나라에서 했던거는 각기 드론을 사람이 조종기들고 날린거에요. 저기는 군집비행 알고리즘으로 날리고있는거고요..
     
무아 2016-11
네. 그랬죠. 그런데 어떻게 보면 약간은 대단스러운 부분이 있습니다.
300대를 각각의 사람이 조종기를 들고 날리는게 쉬운 건 아니죠. 전파 간섭 문제도 있었을 것이고.
군집비행의 경우는 그냥 동일 주파수에 센서 네트퉈크 구축하듯이 네트워크를 구축하면 되기에 어떻게 보면 프로그램쪽에서 컨트롤 할 것이 많아지겠지만 그런거야 이미 어느정도 기술이 되어있는 것이라 봅니다. 시뮬레이션도 할 수 있는 부분이고.
반면, 한정된 전파자원 아래에서 300대의 컨트롤 신호를 같은 지역에서 쏴 대는 것은.. 생각만 해도 아찔합니다. 날았다는게 신기할 정도로..
          
토토롱 2016-11
동일 주파수에 500개 네트워크 구현하는게 훨씬더 어려워 보이느데요?
300대는 그냥 450대 갖다놓고 드론에 맞아도 군부대는 장소만 빌려준거니 책임안집니다 싸인받고 한거고
현장에서는 아예 이륙도 못한게 수십대였죠

진짜로 무식하다는 점에서는 대단스러운 면이 있습니다
               
무아 2016-11
무선 센서 네트워크라 해서.. 동일 주파수를 가지고 그물과 같은 네트워크 망을 구성하는 센서 기술들이 있습니다. 꽤 저렴하구요.
하나가 망가져도 전체 네트워크에서 경로가 끊어지지않는 괜춘한 방법입니다. 아마 인텔이 한 방법이 그렇지 않을까 싶습니다.
한국에서 한 것은 그냥 주파수 배분없이 모여서 날려서 혼선나도 그래서 이륙도 못한게 나왔을 수 있고.. 300개 뜬게 용하다는 생각이 듭니다.
               
PAMA머리 2016-12
생각보다 어렵지 않습니다.
아이고 저거 충전하시는 알바분은.... 정말 .... 이게 뭐하는것짓이지? 라고 했을가요? 아니면 나도 이런것에 참여 하는구나? 라고 했을가요,..  전 내가 뭐하는짓이지? 했을듯 합니다.
프리즌 2016-11
멋지네요. 서울하늘은 드론 날리기가 쉽지 않아서 어디 시골내려가서 가지고 놀아야 할것 같고 ㅠㅠ
tidd 2016-12
와 대박이다


제목Page 8/13
2014-05   5237022   정은준1
2015-12   1762669   백메가
2017-02   7771   블루영상
2017-02   9266   블루영상
2017-01   9323   블루영상
2017-01   10229   김상섭
2017-01   9858   배병렬
2017-01   10784   무아
2017-01   11129   차넷컴퓨터
2016-12   19080   푸하히
2016-12   14040   무아
2016-11   16692   무아
2016-11   20009   무아
2016-10   22796   siteop
2016-09   27833   siteop
2016-09   27490   서정욱
2016-09   25051   무아
2016-09   22522   무아
2016-09   19962   살라말리
2016-09   9550   키네시스
2016-07   22171   하셀호프
2016-07   19780   팬도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