즉 환경은
GA P965-DS3 r2.0
Intel SRCU32 U160 (256mb) - 32bit slot
mas3184ncx2ea(ch#a, raid0) + st373307lcx3ea(ch#b, raid0)
그런데, 문제는 레이드카드 인식하고 디스크 인식하고 로지컬디스크로 2개를 인식을 하는데
그 다음단계인 부팅장치를 찾다가 시스템이 먹통이 됩니다. 혹시나 싶어서 ctrl+g 바이오스 설정을
들어가보려 했으나 그것도 "설정에 들어갑니다" 하고 먹통. 시모스에서 usb/audio/lan 다 죽이고
sata 다 죽여도 같은 부분에서 먹통,
혹시나 비슷한 경우가 있으신분이 계실까 싶어 문의드립니다.
아무래도 sata 와 충돌이 난것 같은데 알수가 없습니다. 삽질후 다시 문의올리겠습니다.
추신.
혹시 저보드에 맞는 저렴한 u160 급 레이드카드 추천해주심 감사하겠습니다.
맞는 카드가 없다면 보드를 바꿔봐야겠습니다. 집에 남는 ide/sata 하드가 없는 관계로
윈도화면도 못보고 있습니다. 오늘따라 scsi 장비들이 웬수처럼 보이는군요...
지금까지의 내용이 Q&A 올렸던 내용입니다.
----------------------------------------------------------------------------------------
시도방법 및 해결방법
----------------------------------------------------------------------------------------
1. 스카시 케이블 교체 / 디스크 교체 / 슬롯 바꿔보기 / 레이드 설정 초기화 기타 등등
-> 안됨. 포스팅후 Crtl+G 설정들어간다고 해놓구선 사기침. 윈도우 시디롬 부팅도 포스팅후 안됨
2. Adaptec PM2865U3 레이드 카드를 수배해서 교체
-> 지금까지 쑈를 해도 안되는것이 보드의 시모스조작을 아무것도 안해도 잘 붙어서 올라옴
레이드 설정하고 OS 까지 깔고 테스트 해봄.
3. 장터에서 MegaRaid Enterprise 1600 을 구입해서 교체
-> 아답텍것과 동일하게 기가 막히게 잘됨.
----------------------------------------------------------------------------------------
결론
----------------------------------------------------------------------------------------
Intel SRCU32 가 P965 칩셋하고는 잘 붙지 않는것 같다.
예전에는 Tyan 2466n-4m / Intel SDS2 보드에서 엘리트 1600 가 안붙어서 엘리트만 여러번 샀다가
처분했다가 반복을 하던 도중 Intel SRCU32 로 갈아탄후로는 탄탄대로였건만, P965로 갈아탄후
그냥 짱박아둘걸 괜히 처분했다는 생각뿐입니다. 이 내용은 개인적인 삽질로 인해서 뭔가 설정이
잘못되었을지는 모르나 80-90% 이상은 맞을것이라 생각합니다. 왜 인텔칩셋 보드에 인텔레이드카드가
안붙는지 이해를 못하겠습니다. 저희 직원왈 보드부품중에 어느 하나가 중국산이라나...
----------------------------------------------------------------------------------------
또다른 문제점 발생
----------------------------------------------------------------------------------------
1. 체감성능은 좋아보이나 벤치마크에서는 예전처럼 여전히 하락세...읽기수준이 30-40 사이에 육박.
좀더 삽질 필요
2. 2466 쓸때 큰맘먹고 백업용으로 구입한 320g/ide 하드가 인식이 안됨.
2466을 쓸때 132기가 이상이라 동적디스크로 생성해서 쓰던것이 보드가 업그레이드가 되면서
기본디스크로도 할당이 가능해짐과 동시에 동적디스크 연결실패. OS 만 대여섯번 깔다가 포기한후
주특기인 리눅스로 도전. 희한함과 동시에 다행히 리눅스에서는 더티 파티션이라고 하면서도
마운트 가능해져서 밤새도록 백업. (보드가 ata33 인가 66인가 지원하는 보드임)
이방법은 윈도에서 해결불가능일때 좋을듯 싶습니다. 단 ntfs 일 경우 쓰기를 제공하는 툴이 있으나
별로 좋지 못하고 단지 read-only 로만 마운트하여 samba로 공유하여 네트웍으로 땡기고 있습니다.
ㅇ mount
/dev/hdb1 : 320G IDE HDD
# mount -t ntfs -o iocharset=cp949 /dev/hdb1 /BACKUP/hdb/
ㅇ samba 한글 설정
unix charset = euc-kr
mangle case = no
preserve case = yes
short preserve case = yes
strict sync = yes
sync always = yes
ㅇ samba 공유 설정
[share]
comment = Client Directories
path = /BACKUP/hdb
browseable = yes
printable = no
write list = @staff
writable = yes
create mask = 0664
directory mask = 0775
지금까지 지저분한 글들을 읽어보시느라 고생하셨습니다.
혹시나 저와같은 증상이 있으신분들이 삽질하는 수고를 덜어들이고자 글재주는 없지만 이글을 남깁니다.
그럼 좋은 밤들 되시고 푹 쉬세요.
[이 게시물은 최고관리자님에 의해 2009-02-02 16:55:52 gonan에서 이동 됨]
[이 게시물은 관리자님에 의해 2009-06-09 16:09:56 review에서 이동 됨]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