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DD] Laptop upgrade (삼성 ssd)

차진   
   조회 5563   추천 0    

이젠 특별할 것없는 ssd사용기 이긴 하지만, 엄청난 부팅속도 향상이 있기에 저도 한줄 적어봅니다.
제 랩탑은 미국산 소니 sz230p모델로 사양은 dual core 1.8, 1gb ram, 100gb 5400rpm에 운영체제로 xp를 사용합니다.
구입한지 대략 3년이 다되어가면서 점점 실증도 나고, 모델의 특성상 발열이 있다는 핑계로 다른 랩탑을 알아보던 중.... ssd라는 넘이 보여서 램 1gb 추가와 삼성 ssd 32gb로 업그래이드 했습니다. 효과는 굉장합니다. 업글 전 부팅속도는 대략 2분 30초 이상(정확하지 않은 이유는 tray에 아이콘들이 다 올라온 이후에도 딜레이가 있어 익스플로러등을 열었을 경우에도 곧바로 반응하지 않았습니다.) 업글 후에는 45초에 육박하고요. 모든 작업에 있어 (전공 특성상 3D CAD Modeling이 좀 있습니다.) 상당히 가벼워 졌습니다. 단점이 있다면, 32gb가 어느센가 굉장히 부족한 용량이 되어버렸다는 겁니다.
또 한가지 업그레이드 중 cpu와 연결된 heat pipe 끝에 붙어있는 방열핀에 한움큼의 먼지를 발견했습니다. 이넘을 제거하니 팬소리도 줄고 발열도 줄 더 군요. 뭐 hdd에서 나오던 열이 없어서 그럴수도 있습니다.
얘기가 좀 길어지긴 했습니다만, 결론은, 강추라는 거죠.

 

궁금한 것이 한가지 있습니다.... heat pipe와 cpu사이에 열전달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은?으로 된 구리스가 발라져 있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요. 분해해 보니 굳어있는 흔적만 있네요. 이것의 정확한 이름과 어떻게 발라야 하는지 알려주세요~

[이 게시물은 관리자님에 의해 2009-06-09 16:09:56 review에서 이동 됨]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이재호TM 2009-02
써멀 구리스라고 합니다.

가능한한 얇게 펴 바르는것이 관건(?)이죠 ^^
차진 2009-02
제 놋북 cpu를 보니 가운데가 볼록 튀어나온 형태인데, 이런 경우 그 가운데에만 발라야 겠죠?
디젤 2009-02
예. 볼록 튀어나와 보이는 것이 CPU의 코어 입니다.
거기에만 써멀구리스 바른 후 다시 재장착하시면 되겠습니다.
윤치열 2009-02
코어주변에 폭이 얇은 스카치 테이프로 井모양으로 마스킹하신후 코어부분에 얇게 펴바르신후
스카치 테이프를 걷어내시면 나름 깔끔하게 코어에 써멀구리스를 바를수 있습니다.
포시퓨 2009-02
흐흐흐 잘만에서 나온 메니큐어를 바르시면 아주 편합니다.....
     
경준구 2009-02
매니큐어는 손톱에 바르셔야죠!!!!!
          
정희섭 2009-02
잘만에서 매니큐어처럼 바르는 서멀컴파운드 나오는게 있거든요 ^^;
               
경준구 2009-03
네.. 물론 ... 알고 있습니다.. 그것을 손톱에 바르셔야 하거든요..^^;
이종현 2009-05
정명현님 openfiler 에서는 디스크관리를 LVM 으로 하고 있습니다.
기본적인 LVM 개념이 있어야 합니다. 아래링크를 참조하시면 도움이 되실겁니다.
http://www.lug.or.kr/home/skin/board/basic_geditor/print_view.php?bo_table=centos_book&wr_id=136
http://www.lug.or.kr/home/skin/board/basic_geditor/print_view.php?bo_table=centos_book&wr_id=139


제목Page 43/170
2014-05   5246791   정은준1
2015-12   1772091   백메가
2007-09   3804   김호성
2007-09   3106   이상정
2007-09   6543   김장우
2007-09   4579   이창준
2007-09   4816   김성규
2007-09   3822   박현문
2007-09   4211   조기철
2007-09   4844   최경찬
2007-09   3687   박준현
2007-09   4825   배주규
2007-09   3768   장훈진
2007-08   4266   정현수
2007-08   4034   박준현
2007-08   6235   이제호
2007-08   4550   조철희
2007-08   3837   이선규
2007-08   3620   이선규
2007-08   4040   김강민
2007-08   5534   김선규
2007-08   11249   김지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