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7) |
정은준1 |
2014-05 |
5257911 |
0 |
2014-05
5257911
1 정은준1
|
|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782731 |
25 |
2015-12
1782731
1 백메가
|
2598 |
8800GT 간단 사용기.. -jky- (7) |
전경열 |
2007-10 |
4431 |
96 |
2007-10
4431
1 전경열
|
2597 |
VISTA64 의 훌륭한(?) 메모리 관리 (9) |
하승윤 |
2007-10 |
5708 |
89 |
2007-10
5708
1 하승윤
|
2596 |
Sun 장비에서 적출한 SCSI Card (2) |
김정일 |
2007-10 |
3886 |
81 |
2007-10
3886
1 김정일
|
2595 |
오래된 SCSI Card (2) |
김정일 |
2007-10 |
3469 |
80 |
2007-10
3469
1 김정일
|
2594 |
2버튼 마우스 (10) |
남찬우 |
2007-10 |
3415 |
67 |
2007-10
3415
1 남찬우
|
2593 |
싸이릭스 cpu입니다 (2) |
남찬우 |
2007-10 |
4508 |
73 |
2007-10
4508
1 남찬우
|
2592 |
LSISAS3041E SAS RAID 사용기 . (5) |
이길훈 |
2007-10 |
4660 |
84 |
2007-10
4660
1 이길훈
|
2591 |
Q6600 오버 일주일... (6) |
하승윤 |
2007-10 |
7939 |
95 |
2007-10
7939
1 하승윤
|
2590 |
TYAN S4980G2NR (Thunder n3600QE)-AMD Quad 소켓F (9) |
박승중 |
2007-10 |
6445 |
257 |
2007-10
6445
1 박승중
|
2589 |
TYAN S4882UG2NR (Thunder K8QS Pro)-AMD Quad 소켓940 (1) |
박승중 |
2007-10 |
4917 |
266 |
2007-10
4917
1 박승중
|
2588 |
TYAN S3970G2NR-U-RS (Thunder h1000E)-AMD Single 소켓F (1) |
박승중 |
2007-10 |
4354 |
267 |
2007-10
4354
1 박승중
|
2587 |
TYAN S2933G2NR (Thunder N3600S)-AMD Dual 소켓F |
박승중 |
2007-10 |
4407 |
259 |
2007-10
4407
1 박승중
|
2586 |
TYAN S5383G2NR (Tempest i5000PT)-INTEL Dual 소켓771 |
박승중 |
2007-10 |
4454 |
297 |
2007-10
4454
1 박승중
|
2585 |
TYAN S5180AG2N (Toledo i965R)-INTEL Single 소켓775 |
박승중 |
2007-10 |
4555 |
251 |
2007-10
4555
1 박승중
|
2584 |
TYAN S6601v2e4 (Triumph I845GV)-INTEL Single 소켓478 (1) |
박승중 |
2007-10 |
4739 |
277 |
2007-10
4739
1 박승중
|
2583 |
TYAN S2877G2NR (Tiger K8WE)-AMD Dual 소켓940 |
박승중 |
2007-10 |
3877 |
201 |
2007-10
3877
1 박승중
|
2582 |
철지난 렌더 테스트 ver2.0 Q6600@3.2G (1) |
권경열 |
2007-10 |
4136 |
92 |
2007-10
4136
1 권경열
|
2581 |
[re] FreeNAS를 이용한 iSCSI 구현 |
김장우 |
2007-10 |
4741 |
86 |
2007-10
4741
1 김장우
|
2580 |
Dell Precision 670 + Dell Precision 450 DR 테스트 |
조기철 |
2007-10 |
5022 |
89 |
2007-10
5022
1 조기철
|
2579 |
LSI 사에서 직접 공수 한 RAID 컨트럴. (4) |
이길훈 |
2007-10 |
5018 |
61 |
2007-10
5018
1 이길훈
|
저도 첨엔 8포트 기가허브로 시작해서 지금은 16포트로 넘어왔습니다.
성능은 뭐... 그런데 성능 외적으로 외관이 너무 약해요. 이쁘기는 한데...
아주 약한 재질의 투명 플라스틱이다보니 살짝만 잘못 잡아도 긁힌 자국이 남더군요.
이뻐보이구 튼튼해 보이는데...
그런데...일반적으로 가정에서는 광랜이나 엔토피아라하더라도 100메가급인데...
기가허브를 써도 속도증가는 없는거 아닌가요? 대역폭이 좀 여유가 생기는 것인가?
또한 말씀하신것과 같이 기가용 랜케이블과 기가용 랜카드로 함께 있어야 하는 상황아닌가요?
당연히 외부 선들은 100메가급이므로, 인터넷 웹서핑 등에는 아무런 효과가 없지요.
아마도 제가 보기에는 내부 네트웍 상태에서 서버vs서버, 서버vs클라이언트 간의 파일복사에
효과가 있을 것 같습니다. 실제 기가랜/허브 사용자 대부분은 내부 네트웍 파일복사의 속도 향상
때문이기도 하구요.
비싼 랜카드까지는 못쓰고 요즘 내장랜이 거의 기가비트랜이니까요...
아직 케이블은 기존껄 그대로 쓰고 있는데 가정용으로는 무난하네요.
앞서 올린 글 참고하시길...
그렇게 했을적에 속도는 어느정도 나올까요?
집에 계속 운영되는 파일서버가 한개 있는데 100M로는 이제 별로 만족스럽지 못합니다.
속도 잘 나오면 그냥...한개 구하고 싶네요.
제 성능이 안나오겠죠.
대역폭을 소화하려면 케이블 꼬임과 편조구조가 추가된 케이블을 쓰시는게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