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 Iwill MPX2 간단한 설치기 2

윤대옥   
   조회 6738   추천 107    

위글에 추가로 참고가 되셨으면 좋겠기에 글을 조금 더 남깁니다.

이 넘의 Iwill MPX2의 바이오스상에서의 온도 체크가 잘못되어 있습니다. 해외 포럼에서도 이 문제가 지적되어 있는데, 이상하리만큼 온도가 높게 나오구요. 실제로 박막온도센서로 시퓨 최근접온도를 측정해보면 바이오스에서 보이는 온도가 한 20도 넘게 높게 나옵니다. 즉, 온도가 높을 때 자동 온도차단 기능이 내장되어 있기 때문에 초기 바이오스의 온도를 잘 잡아줘야 부팅이 가능해지지요..ㅎㅎㅎ;  하지만, 전 그냥 기본 쿨러로도 온도 잘 컨트롤하면서 사용했었습니다. 그것도 1700+를 1900+으로 오버클럭까지 해서요.
지금은 시퓨는 Arkua 70미리 힛싱크로 바꾸어서 온도 낮추어서 사용중입니다 (힛싱크는 70미리까지만 사용가능합니다).

그리고, USB는 사용불가하니 USB장치를 사용하시고자 하시면 따로 하나 장만하셔야 할 것입니다.--> USB가 사용불가가 아니랍니다. Southbridge인 AMD768(맞나?)칩의 스테핑이 B부터는 USB문제가 해결되었다고 합니다. Iwill MPX2는 B스테핑을 사용하고 있고, Iwill USA측과의 많은 이야기를 주고 받는 도중에 Iwill USA에서 테스트한 USB 스케너, 디지털카메라, 프린터 등등은 문제가 없었다고 합니다.
유독히 제 3Com Homenet Lite라는 USB카메라만 문제가 있는 것 같습니다.
이 부분을 밝히구요.

성능이나 안정성등에서는 이 보드 상당히 만족합니다. SCSI, LAN, Sound 가 내장되어 있지 않는 것이 제게는 장점인데, 많은 분들에게 단점으로 작용할 수도 있겠군요.


>AMD CPU를 사용하는 ABIT 메인보드를 위한 사이트를 개설해서 운영하다가 저의 작업을 위해서 이제 듀얼로 왔습니다. 오버클럭을 좋아하고, 여러가지 주변장치가 가급적 온보드 되어 있지 않는 메인보드를 좋아하는 저라서 듀얼 메인보드 선택시 많은 고민을 하였습니다.
>해외사이트를 뒤지는 도중, 저의 취양을 그나마 만족시키는 보드가 눈에 띄이더군요.
>
>바로 Iwill MPX2 !! 제가 사는 곳이 미국이라 인터넷으로 주문해서 4일만에 잘 포장된 상태로 받아서 바로 설치에 들어갔습니다.
>사양은
>CPU : AMD Athlon XP 1700+ 1.47GHz X 2
>Motherboard : Iwill MPX2
>Power : Antec Power 300W (히로이찌 OEM)
>Graphics Card : Geforce2 GTS
>Memory : Kinsgston 512MB + Crucial 256MB ECC/REG PC2100
>CDR/CDRW : Teac CD-W524E 24x10x40 IDE CDRW --> RMA(AS)보낼예정
>                    LG DVD
>Floppy : SONY FD MPF920 1.44 (3945) White
>HDD : Maxtor DiamondMax Plus D740X 6L060J3 60GB Ultra ATA/133 HD
>         IBM DTLA 30G X 2 --> RAID0
>Sound : Creative Labs Sound Blaster Live! Digital Entertainment 5.1
>Lan : SMC Intel 21041-Based PCI Ethernet Adapter
>USB : 3Com Webcam lite --> 장치드라이버 설치시 시스템 다운됨
>
>시퓨는 XP 1700+ 예전에 구입한 거 하나랑 새롭게 주문해서 받은 거 하나 해서 두개로 MP 대용해서 사용하고 있습니다. 널리 알려진 바와 다르게 XP 최근에 만들어진 것도 L5브릿지가 끊어지지 않아서 그냥 MP로 인식된다는 것입니다. 미국의 벌크제품만 그런건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
>현재는 시퓨하나를 갈아먹는 바람에 RMA보내서(에이에스라고 한국에서는 하지요), 시퓨하나만 달아놓고 듀얼보드를 사용하지만서두요. 몇일 이내에 RMA받은 시퓨가 도착합니다.
>
>하루동안 듀얼 사용해봤는데 다중 작업시 부드러움이 흐흐흐..... 만족에 만족이더군요. 그리고, 최소한 350 W의 파워가 필요하다고 알려져 있는데요, 신기하게도 Antec Power 300W (히로이찌 OEM)가 1700+ 두개로 듀얼을 했을 때, 레이드카드에 하드 5개 물리고 시디 알더블유까지 물려도 안정하게 시스템을 구동시킨다는 것입니다(정말 놀랐습니다. ^^*)
>
>하지만, 지금은 우짤수 없이 시퓨 하나만 꽂아놓은 상태입니다.
>
>Iwill MPX2를 메인보드를 사용하는데, 보드 크기가 매우 큽니다. KR7A-RAID보다 한 4-5센치나 더 길어 정사각형입니다(가로, 세로 30cm). 왠만한 케이스에는 들어가지 않을 듯합니다. 현재 저는 케이스 없이 Frame만 있는 DIY House라는 곳에 설치해서 사용중입니다.
>
>이 보드로 설치하다가 메인보드와 함께 딸려온 드라이버 시디롬으로 amd driver pack을 적용시켰습니다. 그러나!! 이 드라이버 팩의 버젼이 1.3 같습니다. EIDE Driver가 옛날 버젼으로 AMD768 칩셋과는 호완성이 떨어지는 것으로 생각되어 AMD홈페이지에 가서 WHQL인증된 EIDE 1.43s버젼으로 올렸습니다(이전 드라이버를 드라이버팩을 실행하여 제거해준 후에 가능).
>이 작업은 시디알더블유가 인식이 되지 않아서 했던 것인데, 결국 시디알더블유가 인식이 되는군요.
>AGP miniport driver도 새로운 버젼 5.33버젼으로 업했습니다.
>
>지금 드는 생각은 AMD 칩셋 사용자분들은 amd site를 방문하셔서 WHQL인증된 2002년 5월자 EIDE, AGP 등의 드라이버들을 새롭게 설치하시는 것이 호완성 향상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됩니다.
>
>그냥 요즘 이 넘의 보드로 시름하고, 제 IBM 하드 하나가 드뎌 사망해서 Data Medic(-->이거 되게 좋네요)으로 일단 데이타는 살리고, RMA보낼려고 이멜을 작성했습니다.
>
>대충 몇가지 이야기를 하면서 1차 설치기를 마치겠습니다.
>
>1. 사진을 넣고 싶은데, 못 넣었네요. 제가 디카가 없어서 웹캠으로 찍는데, 이 넘의 Iwill 듀얼 보드가 IRQ충돌이 있어서 6개의 PCI슬롯을 바뀌가면서 간신히 IRQ를 분산하기는 했는데요. 결정적으로 USB장치가 쫑이 나네요. AMD MPX는 USB문제를 해결했다고 알고 있었는데, 그게 아닌 것 같습니다. 아휴..짜증납니다. 일단 예전사진은 지워져서 못 올리구요. USB문제를 해결하게 되면 사진 찍어서 올리겠습니다.
>
>2. 이 보드의 대단히 놀라운 점이 하나 있는데요. CPU 쿨러 안 올려놓고 부팅시키면 시퓨 죽이지 않고 그냥 부팅안되게 되는군요. 두번이나 실수를 했는데, 메인보드에서 알아서 전원을 차단해서 시퓨 사망을 막아주었습니다. ㅎㅎㅎㅎ, 아 만족스럽습니다. 타 AMD메인보드도 이 정도는 되야 할틴데요. 쿨러 힛싱크에 팬이 안돌아서 온도가 급상승해도 그냥 전원차단하네요. AMD Chipset에 그런 기능이 있는건지 모르겠네요.
>
>3. 이 보드의 두가지 단점이 IRQ충돌 때문에 PCI장비를 두개이상 사용하기 힘들다는 것(VIA칩사용하는 KR7A-RAID의 경우 한두개 공유해도 문제없었으나,)는 IRQ할당의 문제, USB장비의 불안정, CDRW의 Burning이 안되는 점(IDE장치의 문제-SB live와 연관된 듯합니다)이 문제 같습니다. AMD칩셋의 문제 같은데, 조만간에 패치가 나왔으면 좋겠습니다.
>
>4. 64비트 PCI 슬롯에 기존 32BIT 카드를 장착가능하지만 VGA와 IRQ를 공유하여 문제가 있다. 즉, 2개가 제공된 64비트 PCI슬롯 모두 IRQ공유문제로 인해서 사용시 큰 불편을 겪을 것 같습니다.
>
>아차차, 다른 분들도 위와 같은 문제를 겪으셨는지요? 문제를 해결하신 분들은 답변 좀 남겨주세요^^*
 
[이 게시물은 관리자님에 의해 2009-06-09 16:09:56 review에서 이동 됨]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제목Page 195/283
2015-12   1774210   백메가
2014-05   5248891   정은준1
2005-09   5306   구명서
2007-11   4689   이문흠
2007-10   5650   남찬우
2005-06   5677   이문규
2005-06   4360   이동욱
2006-04   4406   이광호
2003-08   4694   권순형
2005-05   4742   이해원
2005-09   4443   안형곤
2003-01   5379   전병욱
2006-04   4943   이광호
2006-07   4597   송화식
2006-03   4183   손성호
2004-07   4258   정은준
2007-12   7156   장나름
2007-12   5265   김선규
2006-09   4662   이선규
2008-06   4907   김영호
2005-09   4568   조영택
2002-09   5220   박문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