슈마 C2SBX+를 사용하고 있는 유저 입니다.
사용도중, 카드 호환성 문제가 발생하여서 문제를 해결하고자,
DSnG에 문의한 결과 역시나 명성대로 대답이 시원찮네요. 호환성 문제는 직접 테스트 해 봐야 한다는 둥, 따로 다 테스트해봐라는 둥..
어쨌거나, 여성 엔지니어와의 대담이 즐겁긴 했습니다만, 거의 효과적이지 못했습니다. 다시 전화했을때 전화 받은 남자 직원은 보드 매뉴얼의 내용도 파악 못하고 있더군요.. SMBUS가 뭔지 모르는 것 같더군요.
서버 보드 서비스하는 사람들이 매뉴얼에 적힌 내용도 알고 있지 못하다는 것이 참으로 개탄스럽습니다...
그것도 SMBUS나 버스 마스터링 같은 아주 기초적인 것 조차 몰라서야 되겠습니까?
슈마 C2SBX+의 대략 사양은 인텔 775 싱글 시퓨를 지원하는 인텔 X48칩셋의 보드 입니다.
서버보드라기 보다는, 데스크탑 PC용도의 보드가 되겠습니다.
사용 애드온 카드는, 그림에서 보시는 바와 같이,
1. 아답텍 39160(PCI-X),
2. 지포스 8600gt 그래픽 어댑터(PCIe x16),
3. 오디지LS사운드카드(PCI),
4, 실험용인터페이스카드(DAQ card, PCI),
5. 인텔 1000PT 싱글 포트 랜카드(PCIe x1)
이 설치되어 있으며, SCSI카드와 그래픽 카드외에 위의 순서대로 드라이버와 카드를 설치하여 사용하였습니다.
문제점은, 내장 랜포트를 그냥 두고, 인텔 1000PT 랜을 사용하던 중, 어느날 4번 실험용daq카드에 이상이 발생하였습니다. 잡히긴 하는데, 프로그램에서 디바이스 핸들을 못 얻어 오는 문제 였습니다.
이와 동시에, 장치관리자를 검색하던중, 인텔 1000PT 랜 카드에서 우클릭을 하였더니, 시스템이 멈칫하면서(마우스커서도 안움직임) 카드표시에 느낌표가 뜨는 것이었습니다.
이후 멀쩡히 사용중이던 랜카드는 사용불능의 상태가 되었습니다.
이것때문에 드라이버도 새로 설치해 보고, OS도 새로 깔아 보았으나, 허사였고 DSnG는 역시 잘 모르겠다고 하고..
지금까지 긴 내용을 한 줄로 요약하면,
카드끼리 충돌이 났다. 그래서 카드 두 개가 정상작동을 안한다.. 입니다.
사실 카드가 작동을 제대로 안한다는 사실이나 충돌때문인지는 정확하지 않습니다.
해결은, 역시나 매뉴얼에 있었습니다.
슈마보드는 대체로 아수스나 기가 보드에 비해 보드 점퍼가 많은 편입니다. 이것도 역시 해답이 보드 점퍼에 있었습니다.
그림에 보시면 빨간 색으로 동그라미 친, SMBUS to PCIe/PCI slot 이라는 점퍼가 있습니다. 매뉴얼 설명으로는 간단히 슬롯들을 SMB로 돌린다고 되어 있습니다.
이게 원래 디폴트가 disable 상태였는데, enable상태로 바꾸어 주니 해결이 되었습니다.
칩셋드라이버가 SMBUS드라이버도 포함하고 있으니, 중요한 점퍼인 듯 합니다.
또한 바이오스 설정이 약간 바뀌었는데, 모든 슬롯의 버스 마스터링을 enable로 해 주었습니다.
이로써 해결이 되었습니다.
또다시 세 줄로 요약하면,
1. 카드를 많이 꼽아 작동안되는 카드가 생겼다.
2. DSnG가 트러블 슈팅해 줄 생각하지 마라.
3. SMBUS 기능을 enable하고, 버스마스터링을 사용하니 모든 카드가 정상이더라. 입니다.
제가 이보드 쓴 이유는 패러럴 포트와 시리얼 포트가 무려 2개, PCI-X 2개, PCI 슬롯이 2개라는 점 때문에 사용하게 되었습니다.
담부터는 포트와 슬롯이 좀 없더라고 그냥 인텔 써야겠습니다.... 인텔은 as라도 속편하지요..
[이 게시물은 관리자님에 의해 2009-06-09 16:09:56 review에서 이동 됨]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