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선 3일은 컴퓨터 견적서 뽑느라.. 다나와 사이트 가서 하드웨어 리뷰를 일일히 정독하며... 이것 저것 비교하며... 머리가 너무 아팠습니다. 그래서 겨우 겨우 견적 맞추어서...
용산에 그나마 저렴한 곳에 연락을 하니까.... 서버는 조립을 안해 준다구... 그리고 다른 매장은 서버 조립은 5만원을 받는다구... 그래서.. 제가 늘 거래하는 매장에 전화를 해서.. 서버 컴퓨터를 조립을 주문했습니다.
제가 이번에 조립한 PC 사양은 아래와 같답니다
CPU : Xeon 노코나 3.0C * 2
M/B : ASUS NCCH-DL
RAM : 삼성 1G PC-3200 * 2
HDD : SCSI Maxtor 15k * 2, S-ATA 10k WD 76G * 2, IDE 7600rpm 250G * 2
OS : 32bit Windows server 2003
드디어 컴퓨터가 왔습니다. 매장에서 SCSI 점퍼 메뉴얼이 없고. A/S 센타도 퇴근후라서 PC 먼저 보내드리고, 직접 A/S 센터에 연락을 하라고 해서 우선 PC부터 받았습니다.
그래서 SCSI 하드디스크가 인식이 되지 않아서 Maxtor 본사 홈페이지가 가서 메뉴얼을 찾아서 프린트를 했습니다. 메뉴얼을 봐도 도무지 알수가 없었습니다.
RAID 구성도 해야 하는데... raid 구성에 대한 자료를 인터넷에서 찾아보니... 초보를 위한 메뉴얼은 정말로 하나도 없더라구여.. 심지어는 점퍼 setting을 똑같이 해야 한다고들 해서.. 똑같이 하니까... 하드웨어가 인식이 되지 않는 거에요.. 이거 정말로 화가 많이 났습니다.
SCSI에서는 점퍼를 달리해야 함을 여러번의 시행착오 끝에 겨우 알았습니다.
SCSI 하드 레이드 묶고 인식하는 과정까지 정말로 험난했습니다.
일단 ID 부여하는 것도 전혀 몰랐고... 그 개념조차 없었고.. 그 다음에 Ctrl+F 를 눌러서 컨트롤러 바이오스에 들어가서 setting하는 것까지..
2일 고생해서.. 겨우... SCSI 에 os 를 설치했습니다.
영어 Windows Server 2003 64bit...
영어 윈도우에 한글팩 설치하니까.. 한글 OS 설치하는 것과 차이가 없었습니다.
그 다음에... 나머지 하드디스크를 연결했습니다.
왜냐하면...
SCSI 하드와 다른 종류의 하드를 동시에 쓴다면.. 다른 하드 케이블 분리하고 SCSI 하드에 먼저 설치하고 나서 나머지 하드 연결하라는 글을 읽어서...
64bit OS에 나머지 SATA와 IDE 연결했습니다. 그런데.. IDE는 인식하는데.. SATA는 인식이 안되는 것입니다. 그래서 메인보드 사이트 가서 드라이버를 구할려고 하는데... 64bit 드라이버는 지원이 되지 않는 거였습니다.... 그래서 다시 32bit windows server 2003 을 설치했습니다...
그래도.. SATA 하드가 인식이 안되는 것입니다. OS에서는 컨트롤러가 인식이 되었는데...
왜 안될까.. 왜 안될까.. 고민하다가..
결국 컴퓨터 하드웨어 몇개 제거 한 후에... 케이블 정리를 하기로 하였습니다.
SATA 케이블이 메인보드와 분리가 되어 있었던 것이었습니다. SATA cable 결속력이 매우 약한 듯 합니다.
그래서.. 겨우... 끝냈습니다. 이로서 딱 1주일 걸렸습니다.
---------------------------------
이번 1주일 동안에 제가 경험 지식으로 습득한 것을 정리하면...
1. RAID에 대한 개념 정리
2. SCSI에 대한 실질적인 개념 정리와 ID 번호 부여와 RAID Setting하는 법
3. SATA 하드 디스크 설치와 RAID
4. RAID로 묶을 때에 SCIS 하드와 SATA 하드 점퍼 setting하는 법
5. 64bit Windwos server 2003 개관
6. PCI SCSI card와 mainboard 내장 SATA controller와의 충돌여부
7. SCSI 하드디스크의 ID를 꼭 0으로 잡지 않아도 OS 세팅과 OS 부팅이 가능하다는 것
8. SCSI 하드와 IDE 하드, SATA 하드를 모두 연결을 해서 OS를 설치해도 된다는 것
9. Windows server 2003 디스크 관리가면 디스크 드라이버 라벨 알파벳(C,D,E)을 자신이 원하는 것으로 부여할 수 있다는 것. 그래서 꼭 OS가 설치가 된 하드를 C로 인식시키기 위해서 꼭 OS 하드만 먼저 연결을 해서 설치를 하지 않아도 된다는 것...
10. 다음에 컴퓨터 조립을 또 하게 된다면.. 비싼 10krpm이상급의 하드디스크는 OS 시스템 하나만 사고, 그외에는 차라리 7200rpm의 값싼 하드디스크 5,6개를 RAID 5(맞는지는 모르겠음) 방식으로 묶는 것이 비용과 효과면에서 오히려 더 좋다라는 것..
결론 : 이번 컴퓨터 조립으로 다 배운 것 같습니다. SCSI와 SATA, IDE와 레이드까지...
힘들었지만.. 경험지식을 습득해서 보람은 있었습니다.
[이 게시물은 최고관리자님에 의해 2009-02-02 16:55:52 gonan에서 이동 됨]
[이 게시물은 관리자님에 의해 2009-06-09 16:09:56 review에서 이동 됨]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