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roller] 저가형 raid 사용해보기 위한 삽질기 (sil3114 chip)

선철   
   조회 8990   추천 0    

sil3114_bios_5403__flash_utility.zip (135.3K), Down : 15, 2009-04
SiFlashTool.zip (26.8K), Down : 5, 2009-04

삽질하는 동안 울분이 쌓여서 글이 기오니 양해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저가형 raid 로 raid0 를 구성해보기 위해 다음과 같은 장비들을 마련했습니다.

 

1. raid card (무늬만) : STAT4000 (대만 sunix 사, 강원전자 수입, PCI  )

 

      http://www.sunix.com.tw/it/en/Product_Detail.php?cate=2&class_a_id=34&sid=367

 

2. seagate 1.5TB 바라쿠다 SATAII 7200.11 (CC1H) * 2

 

      http://www.seagate.com/ww/v/index.jsp?locale=en-US&name=st31500341as-barracuda-7200-11-sata-32mb-c-1.5tb-hd&vgnextoid=511a8cf6a794b110VgnVCM100000f5ee0a0aRCRD&vgnextchannel=47f281f8c0f43110VgnVCM100000f5ee0a0aRCRD&reqPage=Model

 

 

위 장비를 가지고 보무도 당당하게 intel D865PERL 보드에 설치했습니다.

 

결론은 서비스 부재와 본인의 무식에 의한 완전 삽질이었습니다.

 

 

처음에 목적한 것은 윈도우 xp pro 에 raid0 3TB 볼륨을 설치해서 뭔가 대량으로 집어넣는것이었습니다. (삽질의 시작)

 

그런데, 카드를 슬롯에 설치하고 디스크를 붙였는데, 아예 부팅에서 진행을 못하는 겁니다. (본격적인 문제 발생)

 

그래서 혹시 그 유명한 seagate firmware 문제인가 하고 일단 보드내장 SATA 포트에 물려봤더니 정상동작하더군요, softraid 에서도 잘 동작하는 듯 했지만, raid 에서 난리라는 소문들이 무성해서 내심 걱정이 되기 시작했습니다. 일단 hdd 가 물려있지 않으면 카드의 setting 화면에 들어갈 수도 없어서 bios 버젼도 확인이 안됐습니다.

 

 

구매한 것이 몇일전이지만 부팅시에 보이는 화면에 'silicon image 2005' 라고 뜨는 불길한 문구를 보고 혹시나 해서 제조사의 홈페이지에 들어가봤습니다. 바이오스 update 를 하려고 말이지요. 없었습니다. 드라이버? 없었습니다.  대충  silicon image 사에 가서 알아서 하고, 우리는 모르겠고, 하다가 잘못하면 우리책임 아니고 등등의 글만 있더군요. (문제의 심화)

 

 

그래서 silicon image 사에 들어갔습니다. 다른 카드들은 드라이버와 바이오스가 친절한 설명과 함께 있지만, 3114 에는 '카드제조사에 가서 알아서 하시던지' 류의 글만 있고, 드라이버나 바이오스는 없었습니다. - 망했다. 라는 생각과 함께 구글링을 시작했습니다. (해결의 의지 발현)

 

없었습니다. 있어도 무척 오래된 것들만 있더군요. 가장 최근의 것이 2007년 것이었습니다. 그이후로는 업데이트가 없었는지 어쩐지도 확인이 안됐습니다. 아무튼 가장 마지막것이 2007년 3월 경에 나온 무려 5.4.0.30  버젼의 바이오스 였고 (구매한 카드는 5.0.5.2, 2005년) 업데이트를 하기위한 프로그램은 또다른 곳에서 구글링 해서 구해야 했습니다.

 

일단 구한 파일들을 이용하여 bios 를 올렸습니다. '만세!' 였습니다. 인식이 됩니다. raid volume 도 잘 잡았습니다. 그런데 드라이버(구매시 들어 있던것)가 또 말썽입니다. 바이오스 보다 오래되서 동작이 이상한 것입니다. 다시 구글링을 해서 좀더 최신것을 구했습니다. 그래도 안求求 어쩔수 없이 윈도우에서 드라이버를 검색해보게 했습니다. 다시 '만세!' 였습니다. 무려 작년 11월에 나온 '초' 최신의 드라이버로 올려주더군요. 인터넷 어디에서도 못보던 것이었습니다. 잘 인식되고 잘될줄 알았습니다. (순간적인 환희)

 

'XX!' - 속으로 욕이 나왔습니다. 볼륨이 인식이 안되는 것입니다. 장치에는 올라왔는데 디스크로 정보가 보이지 않습니다. 다시 seagate firmware 문제가 생각났습니다. 하지만 이쪽보다는 컨트롤러 바이오스가 오래됐기 때문에 다시 구글링을 시작했습니다. - 소용없었습니다. 마지막으로 열받아서 3114 가 아닌 3124 바이오스를 올려봤습니다. 잘 올라갑니다. 하지만, 망했습니다. 디스크 인식도, 윈도우에서 드라이버도 정상동작을 안합니다. 내리려고 해봤습니다. 안求求 flash 유틸리티에서 '카드가 2개가 됐네?' 하면서 멈춰버립니다. 눈물이 앞을 가렸습니다. 포기하고 싶었습니다. 하지만 다시 구글링을 해서 더 최신의 flash 유틸리티를 구하고 사용 설명도 구했습니다. (이때 silicon image 가 작년 말 정도까지 드라이버와 바이오스 관련 페이지를 유지했었다는 사실을 알았습니다. 구글이 보관하고 있더군요) 강제로 내리기를 시도했습니다. '카드가 두개가 됐네?' 화면은 통과했는데, 버젼을 내리는 거라고 거부합니다. 가슴이 철렁했습니다. 다시 설명을 자세히 보니 '버젼 내려도 괜찮아.' 토큰이 있었습니다. 실행했습니다. 그리고선 정상동작합니다. (무언가 한시름 놓게 됐습니다.)

 

그래도 여전히 볼륨은 안잡힙니다. 그래서 2cpu 에 마지막으로 질문을 올렸습니다. (물론 그전에 모든 게시판에서 3114 로 검색을 수행하였으나 필요한 정보는 없었습니다. 이전 드라이버 어느 분이 올려주신게 한개 있더군요)

30분만에 답이 나왔습니다. 정말 2cpu는 대단합니다. - '윈도우 xp 는 2TB 이상 못잡아요' . '헉!' 이었습니다. 맨날 동적디스크만 상대하고 바로 전에도 그렇게 해보다 보니 깜빡한겁니다. 정말... 이자리에 두개의 T 자를 써놓고 싶은 마음이었습니다. 그래서 다시 구글링을 시작했습니다. GPT에 대해 싸그리 검색해봤지만, OS 제한인지, 뭔가 해결책을 제시한 것이 없더군요. 결국 64비트 xp 로 가든지, 아니면 2003, 혹은 linux 으로 가야할 것 같습니다.

 

 

결론 : 사람은 한쪽만 쳐다보고 달리면, 언젠가 절벽에 부딪힌다. 그리고나서 절벽을 욕하게 된다.

 

---------------------------------------------

 

여기까지가 저의 삽질이고 다음은 제가 삽질하면서 구한 해결책들에 대한 설명입니다.

 

첨부 1은 3114 에 해당하는 5.4.0.30 버젼에 해당하는 3가지 bios와 dos 용 flash 툴입니다. 사용방법은 도스 부팅하고

 

updflash [bios 파일]

 

하시면 되는데, 먼저 firmware 가 들어갈 flashrom 의 종류를 알아야 합니다. 저의 경우 AMD 29LV010 호환 계열이었습니다. 기판위에 써있는 걸 잘 보셔야 합니다.

만약 버젼을 내리거나 강제로 올리거나 하시려면 다음과 같이 하셔야 한다고 안에 설명이 있습니다.

 

updflash [vios 파일] -a -u -board3114

 

a 는 여타 자동 수행 u 는 강제수행 -board3114 는 해당 컨트롤러 강제 지정 이 돼겠습니다.

 

 

첨부 2는 윈도우 도스창에서 쓸 수 있는 툴인데 64비트에서는 동작을 안하고 강제 지정등의 기능이 없어서 안써봤습니다.

 

 

여기가

구글이 저장해둔 silicon image 페이지 입니다. 각 파일링크는 살아있어서 다운받을 수 있습니다.

http://72.14.235.132/search?q=cache:zyztYTskGGEJ:www.siliconimage.com/support/searchresults.aspx%3Fpid%3D28%26cat%3D15+sil3114+windows+driver&cd=17&hl=ko&ct=clnk&gl=kr

 

아무튼 일단 구매 장비쪽은 문제가 없는 듯 하니 다행이지만, 이젠 OS를 다시 바꿀 생각을 하니 좀 답답합니다.

 

다른 분들은 저처럼 시행착오를 거치지 마시고 지나가셨으면 좋겠습니다.

[이 게시물은 관리자님에 의해 2009-06-09 16:09:56 review에서 이동 됨]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김용수ak 2009-04
sil3114는 이제 사라질 모양이네요. 혹시나해서 실리콘이미지 홈페이지에 들어가서 찾아보니 3114 바이오스 페이지는 없어졌군요. 드라이버는 페이지만 있고 정작 파일은 없는... 회사측 실수가 아니라면 아마도 이제 포기하겠다는 얘기인 것 같네요.
몇 달전에는 있었던거 같았는데... 당시 제 기억으로 3114는 업데이트 안된지 꽤 되었습니다. 2007년도이면 거의 최신?버전일 겁니다.
저가의 sata 4포트 확장용으로는 아직 쓸만한데 말이죠.

그리고 여담이지만, 바이오스 업데이트가 된다니 그래도 sunix 카드는 양반이네요.
요즘 3112(주로 3512), 3114 칩셋 카드들은 실리콘이미지에서 지원하는 바이오스가 아닌 해괴한 바이오스를 붙이고 나와서 업데이트 자체가 안되거나, 강제 업데이트시 카드가 맛이 가는 경우가 부지기수 입니다.
제가 몇 달전에 구입한 3512칩셋 카드도 엉뚱한 바이오스가 붙어있어서 바이오스 업글 불가입니다.
그것도 강원전자 제품입니다.(좀 희한하다 싶으면 이 회사인 경우가 많죠.)
당시에 여기 게시판에 쓴 글 링크.

http://www.2cpu.co.kr/bbs/board.php?bo_table=freeboard&wr_id=615394&sca=&sfl=wr_subject%7C%7Cwr_content&stx=3512&sop=and

개인적인 의견으로 그래도 3114 칩셋을 쓴 제품 중에서는 과거 앤디코에서 수입했던 AIO-raid 150-4 제품이 가장 나았었다고 봅니다. 물론 현재는 단종입니다.
원래 이거 사려고 했다가 구할 수 없어서 그래도 가장 '있어보이는' 카드로 골랐는데, 뽑은게 제대로 꽝...
저도 조만간 위의 sata4000 하나 구해야 할 거 같네요.
바이오스가 업데이트되는 카드찾기 힘들어서...
전 ide(base)바이오스로 업데이트 하려고요.
박문형 2009-04
3124칩이였으면 쉽게 잡혔을지도 모르겠네요..
3114칩은 SATA-1 전용이니..
요즘 돈백씩하는 레이드 카드들도 1.5테라나 2테라들은 아직 검증이 안되어 고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용량도 중요하겠지만 안정성이 더 중요하지요.
백업은 필수이고요.
     
선철 2009-04
구글링 하다가 레이드 카드 raid0 속도비교하는 결과를 어디선가 봤는데, 싼 카드는 softraid0 만 못하더군요. 역시 돈값을 못하는 것 같기도 하고... 대신에 softraid 는 cpu 에 부하가 좀 있는 편이었습니다. 하지만 OS를 바꾸던지, softraid 로 가던지의 기로라 생각중입니다.
배주규 2009-04
저는 보드내장형 아니면 SiliconImage는 사용하지 않습니다.
전에 서버웍스 보드에 함 붙여볼라고 삽질하다가, 피를 토하면서 뽀개버린적이 있어서요.

그담부터는 "Promise이하급은 사용하지 말자"가 신조가 되더군요.
(Promise카드는 단박에 붙었다는....)
한원준 2009-04
Promise는 4030 때부터 여럿 겪었지만... LSI 가 가장 속 덜썩였다는... ^^;...


제목Page 156/283
2014-05   5248545   정은준1
2015-12   1773872   백메가
2006-05   4797   김지환
2004-03   5294   김정중
2006-02   4370   정명현
2002-07   5863   현진
2004-01   4701   주형진
2008-10   5133   우명훈
2005-04   4232   김덕기
2005-05   4385   임민규
2006-09   5688   노형석
2004-07   4391   이재진
2005-01   5326   장병두
2006-07   5191   문추기
2002-08   6369   정승모
2006-04   4707   김재이
2008-10   5592   남성룡
2005-09   4346   김덕기
2008-10   5097   경준구
2005-05   4315   맹승섭
2006-05   4852   김지환
2005-05   4854   손상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