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C ] 윈도우 RAID5, Span 볼륨 몇년동안 사용중입니다.

김윤술   
   조회 6959   추천 0    

앞서 소프트의 장단점을 설명해주었으니 저는 패스하겠습니다.

MCSE시험과목중에 레이드만 30프로 출제가 되서 제가 이부분을 너무 빠삭하게 공부해버렸습니다. 그러다보니 직접 운영을 하게 되더라구요.

일단 돈이 안든다. 정말 돈 안듭니다. 그리고 서버가 뻑나더라도 데이터 이전과 복구가 빠르다입니다. 다른데 붙여서 외부디스크 가져오기 하면 그냥 붙어서 허무해버리죠.

단점이라면 리빌드 시간이 조금 오래걸리긴 합니다. 순간 정전되면 리빌드 들어갑니다. 좀 아쉽죠. 소프트 방식의 한계인건지 인텔매트릭스 레이드도 강제종료 시키니 부팅되면서 리빌드 되었습니다. 다른건 어떤지 잘모르겠고...

 

두번째 스팬의 장점이라면 하드디스크 용량에 상관없이 그냥 아무거나 스팬이 가능하다입니다. 그리고 디스크가 동시에 읽히는게 아니고 해당 데이터 있는 하드만 움직이기 때문에 용량큰 데이터 임시 보관하는데는 이게 좋지 않나 생각을 해봅니다. 스팬도 깨지면 레이드0랑 비슷해서 복구하기 쉽지 않을거라는 저의 판단입니다. 레이드0보다는 디스크 부하를 많이 주지 않으니 살얼음 걷는강도가 조금 낮다일 뿐입니다. 데이터 안정성을 위한다면 레이드5로 할것을 권유합니다.

 

[이 게시물은 관리자님에 의해 2009-06-09 16:09:56 review에서 이동 됨]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Span은 Raid0 보다는 S/W로 구현된 JBOD에 가깝기 때문에 디스크 하나가 깨지면
깨진 디스크에 있는 자료를 제외하고 나머지 디스크에 존재하던 자료는
시간이 좀 걸려도 복구가 아예 불가능한 것은 아닙니다.
다만 문제는 항상 파일의 연속적으로 기록되지 않기 때문에,
깨진 디스크에 조각이 하나라도 있는 파일은 복구할 수가 없죠...
이이정훈 2009-04
저는 32bit xp에서 기본디스크의 2TB의 한계에 걸릴때만 씁니다. ^^;
배주규 2009-04
정말로 리빌드시간 장난 아니던데요.
500Gb 3개로 묶어봤는데, 담날 아침까지 리빌드 하더라는....
박영선 2009-04
정보 감사합니다.


제목Page 136/283
2015-12   1783489   백메가
2014-05   5258664   정은준1
2009-04   7096   김선규
2009-04   5637   김선규
2009-04   7852   Inbusiness
2009-04   7266   방o효o문
2009-04   6945   김윤술
2009-04   6270   이선규
2009-04   6169   김윤술
2009-04   8604   오강석
2009-04   6490   이이정훈
2009-04   7648   오강석
2009-04   8559   굴다리교
2009-04   6960   김윤술
2009-04   9016   선철
2009-04   8058   김장우
2009-04   7404   ToTi
2009-03   8090   김호성
2009-03   6420   임진욱
2009-03   7359   차평석
2009-03   6363   파올로
2009-03   10077   임민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