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7) |
정은준1 |
2014-05 |
5252472 |
0 |
2014-05
5252472
1 정은준1
|
|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777497 |
25 |
2015-12
1777497
1 백메가
|
2995 |
(ETC ) 282 - 서브컴이었으면 하는 메인컴 Part 2 (5) |
김선규 |
2009-06 |
6008 |
0 |
2009-06
6008
1 김선규
|
2994 |
(ETC ) 282 - 서브컴이었으면 하는 메인컴 Part 1 (4) |
김선규 |
2009-06 |
6191 |
0 |
2009-06
6191
1 김선규
|
2993 |
(Network) 세로본능 - 기가비트 허브 구입 2 (12) |
김선규 |
2009-06 |
6546 |
0 |
2009-06
6546
1 김선규
|
2992 |
(HDD) 슬림케이스에 IDE 하드 두개 사용하기 입니다^^ (5) |
기영 |
2009-05 |
6881 |
0 |
2009-05
6881
1 기영
|
2991 |
(ETC ) 19인치 허브로 ITX 케이스만들기 (3) |
김장우 |
2009-05 |
7467 |
0 |
2009-05
7467
1 김장우
|
2990 |
(Network) 기가비트 허브 구입 1 (3) |
김선규 |
2009-05 |
5660 |
0 |
2009-05
5660
1 김선규
|
2989 |
(ETC ) VMware 에서 Windows Virtual PC로 갈아타기 (5) |
TSHA |
2009-05 |
13027 |
2 |
2009-05
13027
1 TSHA
|
2988 |
(Network) 기가망 속도 테스트 (15) |
김장우 |
2009-05 |
7239 |
0 |
2009-05
7239
1 김장우
|
2987 |
네할렘 사무실입고 (5) |
에스에스 |
2009-05 |
5378 |
0 |
2009-05
5378
1 에스에스
|
2986 |
리틀7~~~~~ ? (8) |
서울l승용 |
2009-05 |
5390 |
7 |
2009-05
5390
1 서울l승용
|
2985 |
(HDD) 웨스턴디지털 기업용 WD RE3 - 500G, 1TB (9) |
TSHA |
2009-05 |
7567 |
1 |
2009-05
7567
1 TSHA
|
2984 |
(RAM) 저도 RAM 한통.. (11) |
오강석 |
2009-05 |
6574 |
1 |
2009-05
6574
1 오강석
|
2983 |
(ETC ) 케이블 작업의 기초 (24) |
김선규 |
2009-05 |
7317 |
18 |
2009-05
7317
1 김선규
|
2982 |
(Server) HP ProLiant ML350G5 서버 입니다. (2) |
오강석 |
2009-05 |
10088 |
0 |
2009-05
10088
1 오강석
|
2981 |
Virtualization test를 위해 구축한 시스템입니다. (9) |
Inbusiness |
2009-05 |
7187 |
0 |
2009-05
7187
1 Inbusiness
|
2980 |
(RAM) DDR3 ECC 한통질렀습니다. (28) |
경박한시민 |
2009-05 |
7052 |
2 |
2009-05
7052
1 경박한시민
|
2979 |
(Server) 최저가 스토리지 서버 구성 - 머리 쥐 날려고 함 (7) |
완두콩 |
2009-05 |
7291 |
0 |
2009-05
7291
1 완두콩
|
2978 |
(Workstation) Dell Precision T7400 (13) |
김홍길 |
2009-05 |
14440 |
0 |
2009-05
14440
1 김홍길
|
2977 |
(ETC ) 회원님들 도움으로 살려 구축한 다운로드pc (4) |
서울l승용 |
2009-05 |
5615 |
0 |
2009-05
5615
1 서울l승용
|
2976 |
[SSD] 삼성 MMDOE56G5MXP-OVB 벤치 결과 입니다. (7) |
달광이 |
2009-05 |
6721 |
0 |
2009-05
6721
1 달광이
|
저도 첨엔 8포트 기가허브로 시작해서 지금은 16포트로 넘어왔습니다.
성능은 뭐... 그런데 성능 외적으로 외관이 너무 약해요. 이쁘기는 한데...
아주 약한 재질의 투명 플라스틱이다보니 살짝만 잘못 잡아도 긁힌 자국이 남더군요.
이뻐보이구 튼튼해 보이는데...
그런데...일반적으로 가정에서는 광랜이나 엔토피아라하더라도 100메가급인데...
기가허브를 써도 속도증가는 없는거 아닌가요? 대역폭이 좀 여유가 생기는 것인가?
또한 말씀하신것과 같이 기가용 랜케이블과 기가용 랜카드로 함께 있어야 하는 상황아닌가요?
당연히 외부 선들은 100메가급이므로, 인터넷 웹서핑 등에는 아무런 효과가 없지요.
아마도 제가 보기에는 내부 네트웍 상태에서 서버vs서버, 서버vs클라이언트 간의 파일복사에
효과가 있을 것 같습니다. 실제 기가랜/허브 사용자 대부분은 내부 네트웍 파일복사의 속도 향상
때문이기도 하구요.
비싼 랜카드까지는 못쓰고 요즘 내장랜이 거의 기가비트랜이니까요...
아직 케이블은 기존껄 그대로 쓰고 있는데 가정용으로는 무난하네요.
앞서 올린 글 참고하시길...
그렇게 했을적에 속도는 어느정도 나올까요?
집에 계속 운영되는 파일서버가 한개 있는데 100M로는 이제 별로 만족스럽지 못합니다.
속도 잘 나오면 그냥...한개 구하고 싶네요.
제 성능이 안나오겠죠.
대역폭을 소화하려면 케이블 꼬임과 편조구조가 추가된 케이블을 쓰시는게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