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774418 |
25 |
2015-12
1774418
1 백메가
|
|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7) |
정은준1 |
2014-05 |
5249123 |
0 |
2014-05
5249123
1 정은준1
|
2595 |
제 듀얼 컴들입니다.. (6) |
문추기 |
2004-03 |
4675 |
33 |
2004-03
4675
1 문추기
|
2594 |
나름대로 신경쓴 듀얼 (5) |
박성만 |
2003-12 |
5196 |
33 |
2003-12
5196
1 박성만
|
2593 |
최저사양 싱글 서버 (11) |
고대준 |
2004-04 |
5038 |
33 |
2004-04
5038
1 고대준
|
2592 |
제.컴.소 (제 컴퓨터를 소개합니다. -사진포함-) (12) |
김충환 |
2004-08 |
5718 |
33 |
2004-08
5718
1 김충환
|
2591 |
사무실에서 사용 할 밥벌이용 ... |
김재훈 |
2005-01 |
4641 |
34 |
2005-01
4641
1 김재훈
|
2590 |
하나하나 늘어난 듀얼식구들 (2) |
윤치열 |
2003-10 |
4805 |
34 |
2003-10
4805
1 윤치열
|
2589 |
AMD Dual System (16) |
이재호 |
2003-10 |
5904 |
34 |
2003-10
5904
1 이재호
|
2588 |
처음 듀얼.. (6) |
정찬호 |
2004-02 |
4808 |
34 |
2004-02
4808
1 정찬호
|
2587 |
ACER M27A 보드 사용한 제 서버! (9) |
이장재 |
2002-10 |
5635 |
34 |
2002-10
5635
1 이장재
|
2586 |
그러니까... 저도 옵테론 유저가 되었습니다. (7) |
오상훈 |
2004-07 |
5458 |
34 |
2004-07
5458
1 오상훈
|
2585 |
제온 2.8 dual 조립기... (8) |
문동식 |
2004-03 |
5465 |
34 |
2004-03
5465
1 문동식
|
2584 |
정말 골동품 듀얼 시스템입니다. (4) |
김택종 |
2002-05 |
6439 |
34 |
2002-05
6439
1 김택종
|
2583 |
업그레이드 했습니다.. (3) |
조영민 |
2004-12 |
4056 |
34 |
2004-12
4056
1 조영민
|
2582 |
나의 듀얼 서버.. (3) |
김택종 |
2004-04 |
4834 |
34 |
2004-04
4834
1 김택종
|
2581 |
266-D 이제서야 제 모습을 갖추었단 말인가....--; |
양승원 |
2002-07 |
5943 |
35 |
2002-07
5943
1 양승원
|
2580 |
제온 1.7 --> 2.0 사용기 (2) |
강원용 |
2003-08 |
4871 |
35 |
2003-08
4871
1 강원용
|
2579 |
370de6 입니다. (3) |
임대중 |
2006-04 |
4361 |
35 |
2006-04
4361
1 임대중
|
2578 |
옵데론 275여 함 올려봅니다 (19) |
송명호 |
2006-04 |
4451 |
35 |
2006-04
4451
1 송명호
|
2577 |
DBL100... 그 이후. |
송화식 |
2006-10 |
4491 |
35 |
2006-10
4491
1 송화식
|
2576 |
저의 듀얼보드 사양은 (9) |
김재홍 |
2002-05 |
7058 |
35 |
2002-05
7058
1 김재홍
|
저도 첨엔 8포트 기가허브로 시작해서 지금은 16포트로 넘어왔습니다.
성능은 뭐... 그런데 성능 외적으로 외관이 너무 약해요. 이쁘기는 한데...
아주 약한 재질의 투명 플라스틱이다보니 살짝만 잘못 잡아도 긁힌 자국이 남더군요.
이뻐보이구 튼튼해 보이는데...
그런데...일반적으로 가정에서는 광랜이나 엔토피아라하더라도 100메가급인데...
기가허브를 써도 속도증가는 없는거 아닌가요? 대역폭이 좀 여유가 생기는 것인가?
또한 말씀하신것과 같이 기가용 랜케이블과 기가용 랜카드로 함께 있어야 하는 상황아닌가요?
당연히 외부 선들은 100메가급이므로, 인터넷 웹서핑 등에는 아무런 효과가 없지요.
아마도 제가 보기에는 내부 네트웍 상태에서 서버vs서버, 서버vs클라이언트 간의 파일복사에
효과가 있을 것 같습니다. 실제 기가랜/허브 사용자 대부분은 내부 네트웍 파일복사의 속도 향상
때문이기도 하구요.
비싼 랜카드까지는 못쓰고 요즘 내장랜이 거의 기가비트랜이니까요...
아직 케이블은 기존껄 그대로 쓰고 있는데 가정용으로는 무난하네요.
앞서 올린 글 참고하시길...
그렇게 했을적에 속도는 어느정도 나올까요?
집에 계속 운영되는 파일서버가 한개 있는데 100M로는 이제 별로 만족스럽지 못합니다.
속도 잘 나오면 그냥...한개 구하고 싶네요.
제 성능이 안나오겠죠.
대역폭을 소화하려면 케이블 꼬임과 편조구조가 추가된 케이블을 쓰시는게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