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시나 a7m266-d 보드두 ecc램을 써야될꺼 같네요...ㅜ.ㅜ
또 돈들어가게 생겼네요...첨에 non-ecc두 지원된다구 해서 이걸 구입한건데(이런 문제가 발생하믄 ecc램만 쓰라고 할것이지)...흠...이 메인보드 동일보드의 다른 걸로 바꿔서 됐다는 사람두 봤는데...전 운이 없군요..ㅜ.ㅜ(운으로만 돌리기엔 너무나두 거금이구 억울하군요)
저의 사양입니다..
a7m266-d,raid카드 하드 씨게이트 40기가 2개,씨게이트 80기가 2개
radeon 7200,cmd 내장사운드,mp1500+ 2개,삼성non-ecc ddr 512mb,시소닉 400w
역시나 irq충돌문제에 대해선 아직두 asus측에서두 명확한 답을 못주는거 같네요..
참나 전 이 메인보드산걸 무지하게 후회합니다..
>저도 아직까지 AMD듀얼을 쓰면서 참으로 삽질을 많이 하고 있지만, 특히나 A7M266-D는
>뭔놈의 다운이 잦은지, 정말 이놈땜시 날밤센게 한둘이 아닙니다. 하지만 그렇게 쓰다보니
>하나둘 노하우가 생기는 법! 처음에는 정말 10분마다 다운되가꼬 정말 힘들었었죠.
>하다못해 웃기는건, 그 유명한 스타크래프트를 하면 꼭 중간에 게임에서 튕겨나간다는것..
>정말 배틀넷한번 재대로 해본적없구, 컴퓨터랑 할때도 러시가면 꼭 튀기는.. ㅜ.ㅠ
>하여간 우여곡절을 겪으면서 겪었던 몇가지 팁에 대해서 알려드리려 합니다..
>물론 꼭 된다는건 아니지만, 최소한 저의 경우에는 많이 통했습니다. ^^ 그럼 볼까요?
>
>==============================================================================
><제 컴퓨터 사양>
>에슬론XP-1700+ 2개, A7M266-D( BIOS 1006d ), 삼성 일반 DDR 256MB,
>잘만-6000cu 2개, 에너맥스 350W (펜조절가능한것..)
>바라쿠다4 40G, 맥스터 7200-30G(ATA66), 플랙스터8432,
>오디어트랙-프로디지192, ASUS USB2.0카드, SMC 10/100M랜카드..
>==============================================================================
>
>DRIVER_IRQS_LESS_OR_NOT_EQUAL에 대한 문제... 이놈은 제가 느끼기에
>한 80%이상이 사운드쪽의 디바이스 충돌로 이루어 지는거 같습니다.
>그냥 멀쩡이 있다가도 맛탱이 가는 경우가 있지만, 대부분 윈엠프를 띄워놓고 다른 작업을
>한다던가(그러다가 그쪽에서 소리가 나는경우는 특히나 더..) 사사미나 그런류의
>동영상 플레이어를 열었을때 많이 다운이 되었습니다. 저같은 경우는 특히나 온보드
>C-MEDIA의 8738을 활성화시키고도 오디오 작업용으로 오디오카드를 하나 꼽아서
>썼는데(오디오트랙의 프로디지192. 이고시스의 웨이브터미널192L에서 입출력단자만
>바뀐벨류모델.) 두개가 같이 활성화 되었을때가 하나만 있을때보다 훨씬 다운이
>잦았었습니다. 제가 이걸 해결한 방법은 일단 한쪽만 켜놓아봤었는데, 그래도 다운이
>되는건 횟수는 적어졌지만 마찬가지였습니다. 흠.. 이상한 생각이 들었었는데,
>프로디지192의 드라이버 업데이트가 되었습니다. 3.80에서 3.85로 업데이트가 되었는데,
>오류수정내용이 ACPI가 메인보드와 맞지 않는것이 약간 있어서 그것을 수정했었다고
>했었습니다. 그걸로 교채후에 많이 좋아졌었습니다. 거의 없어졌죠. 물론 온보드의
>8738은 DISABLE로 해놓았었습니다. 그러나 자잘한 문제가 아직도 많이 있었습니다.
>이를 해결한 방법은 다음과 같았습니다.
>
>일단 바이오스를 업데이트를 해주었습니다. 현재바이오스가 1004였는데, 이를 최신버젼인
>1006d로 바꿨습니다. 가장크게 달라진건 에슬론MP인지 XP를 체크하는기능이 추가된것
>인데 이는 그리 크게 문제되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문제는 더 골때려졌습니다..
>이번에도 계속해서 블루스크린이 떠나질 않았구 이번에는 DRIVER_IRQS_LESS가 아닌
>다른놈들도 나타나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CMOS를 다시 설정했는데....
>
>CMOS에 답이 있었습니다. CMOS에서 부트메뉴를 보면 MPS 1.4 Support라는 부분과
>MP Table이라는 부분이 있습니다. help부분에도 전혀 이에 대한 설명이 나오지 않았고
>메뉴얼에도 이에 대한 부분이 Disable, Enable의 두가지 설정만 가능하다고만 나오지
>그이상은 설명이 없었습니다. 하지만 이름에서 보면 MP에 대한 부분이 나오는걸로 보아
>아마도 에슬론MP에만 있다고 AMD측에서 주장하는 Smart MP 기술을 활성화 시키는지
>아닌지에 대한 부분인거 같습니다만, 자세한건 전혀 알길이 없군요.. ^^;; 근데 문제는
>그둘을 어떻게 설정했는지에 따라서 진짜 그 블루스크린의 횟수가 완전하게 변한다는것
>입니다. 저같은 경우는 처음에 기본값으로 설정된 둘다 Enable로 썼었죠. 그랬다가
>어차피 끽해봐야 윈도우 다시 까는거다! 라는 마음으로 하나씩 바꿔봤는데요,
>MPS 1.4 Support부분을 끄고 MP Table부분은 키는경우, 거의 모든 에러가 사라졌습니다.
>
>그리고 그에 더불어서 Shadow Configration에서 Video ROM BIOS Shadow부분을
>꺼주시는게 좋을꺼 같습니다. 블루스크린이 뜰때마다 그 내용을 잘 읽어보면,
>쉐도우를 끄는게 좋다는 내용이 있습니다. 흠.. 그래서 저도 한번 해보았는데 성능상의
>문제같은건 없는거 같습니다. 그냥 왠만하면 끄고 하는것도 괜찮을꺼 같군요. ^^
>(하지만 저는 3D게임조차 안하는 사람이니 어쩌면 이부분이 3D렌더링이나 CAD같은덴
> 치명적일수도 있으니 스스로 판단해서 ON,OFF시키시기 바랍니다.)
>
>일단 여기까지가 저의 컴퓨터가 지금 잘돌아가고있게된 상황이고요 다음은 제 컴퓨터의
>슬롯꼽은것에 대해 보여드리고 끝내겠습니다. 건강하시구, 다들 좋은컴퓨터 잘쓰시길
>바랍니다. ^^
>
>AGP : Matrox G550
>PCI 1 : X
>PCI 2 : ASUS USB 2.0 Card
>PCI 3 : X
>PCI 4 : Audiotrack Prodigy192 Card
>PCI 5 : SMC 10/100M LAN Card
>
>
[이 게시물은 관리자님에 의해 2009-06-09 16:10:39 review에서 이동 됨]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