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선 제 시스템을 간단히 소개하겠습니다.
OS : WinXP pro SP1, SunOS 5.8
CPU : AMD 1900+ x2
M/B : Tyan 2466n-4m
RAM : SEC PC2100 1GB
VGA : Matrox G550
SCSI Device : LSI Megaraid series 493 Elite 1600 with 128MBcache, BBU
Seagate ST336752LW 36GB x2, Fujitsu Alegro7 MAN7184 18GB
Seagate ST336607LW 36GB x2
15k와 10k의 성능차이를 보여드리고 싶지만, 아쉽게도 저한테 있는 10k HDD들이 몽땅 UNIX에 쓰이고 있어서 윈도우 환경에서 벤치를 할 수 없군요. 15k 2개를 Raid 0로 묶어서 WinXP에 사용중이고 파티션을 C:12GB와 D:56GB로 나누어 사용중입니다. Winbench99의 전송률 테스트를 제외하고는 모두 C: 드라이브만을 벤치하여서 실제보다 높은 값이 나왔을 가능성이 큽니다. 그리고 C:에 WindowsXP가 설치되었기 때문에 정확하게 측정되었다고 보기 힘들고 단순히 참고자료 정도로만 보아주셨으면 합니다.
Ziff Davis Media Benchmarks Winbench 99
1. Disk inspection test(Megaraid setting : no readahead - write through - Direct I/O)
디스크의 전송률을 측정하는 테스트 이죠. C:, D:의 결과를 합친것 입니다.
beginning : 117.2MB/sec
end : 82.4MB/sec
치타 15k 2개를 Raid 0로 묶어서 사용할 경우 1개때보다 거의 2배의 속도가 나옴을 알수 있습니다.
2. Highend disk winmark 99
실제 application 사용시의 성능 측정(readahead - write back - Cached I/O)
overall : 62300
AVS/Express 3.4 : 99900
FrontPage 98 : 205000
MicroStation SE : 55800
Photoshop 4.0 : 40900
Premiere 4.2 : 46100
Sound Forge 4.0 : 63300
Visual C++ 5.0 : 56400
Megaraid의 write back의 탁월한 기능과 치타 15k의 빠른 access time때문에 좋은 결과가 나온것으로 보입니다.
3. Sisoft Sandra 2003.1.9.26(no readahead - write through - Direct I/O)
전체 측정치 : 77226KB/s
Buffered Read : 117MB/s
Sequential Read : 114MB/s
Random Read : 17MB/s
Buffered Write : 89MB/s
Sequential Write : 109MB/s
Random Write : 26MB/s
Average Access Time : 3ms(estimated)
레이드카드의 세팅에서 캐쉬를 전혀 사용하지 않았기 때문에 전송률에서 높은 값이 나왔습니다. 캐쉬를 사용하면 벤치마크 프로그램에서 전송률이 제대로 측정되지 않더군요.
4. ATTO bench(readahead - write back - Cached I/O)
Direct I/O, Overlapped I/O의 기본 설정으로 테스트 하였습니다.
가장 하단의 1024.0의 부분
write : 82MB/sec read : 125MB/sec
ATTO의 경우 다른 벤치마크 프로그램과 조금 다른 결과가 나오는 군요. 제대로 성능측정이 되지 않은것으로 예상됩니다.
사진들이 작아서 글씨를 알아보기 힘들어 올리지 못하는군요. 그래도 쉽게 알아볼수 있게 나름대로는 정리해봤습니다.
http://www.kbench.com/hardware/?no=16665
여기서 10k.6 치타의 성능이 나와있으니 비교하실수 있을듯 합니다.
치타 x15 2세대 제품의 특징을 10k.6과 비교하여 설명드리면,
1. 전송률에서는 10k.6의 우세입니다. 하지만 x15시리즈는 플래터 크기가 무척 작기 때문에 beginning과 end의 차이가 별로 없습니다. 따라서 전체 평균 전송률은 비슷하다고 생각할 수 있겠습니다. 15k.3의 제품은 전송률면에서 조금더 발전하였으므로, 10k.6을 능가할 수 있을거라고 생각합니다.
2. 실제 Application 성능에서는 10k.6에 비해서 상당히 높은 수치가 나온것으로 봅니다. 이는 빠른 access time이 성능 향상에 기여하고, 더욱 큰 원인은 Megaraid의 성능이라고 판단됩니다. 레이드카드에 달린 128MB의 캐쉬가 쓰기 성능을 크게 올려주게 됩니다.
3. Sandra에서 큰 특징은 없으나 ramdom read/write의 성능이 10k제품과 가장 차별화 된점으로 보입니다. 웹서버에서 사용시 좋은 성능이 기대되는 항목입니다.
하지만 15k 치타에 단점이 많습니다. 제가 이 제품을 구했을 당시(2002.10.5) 36GB제품이 무려 57만원이나 하였습니다. 10k.6과 엄청난 가격차이를 보이고 있죠. 현재 가격은 하락하였을 것으로 생각하지만, 많이 내려가진 않았을 겁니다. 그리고 소음이 엄청납니다. 디스크 조각모음을 해보면 마치 맷돌 돌리는 소리가 나서 이러다가 하드디스크 버리는게 아닐까 하는 의심이 들 정도 입니다. 열도 무척 많이나서 반드시 케이스 전면팬 바로뒤에 설치하던가 하드랙을 이용해야 합니다.
아직 15,000rpm HDD의 보급량이 적어서 너무나 비싼듯 합니다. 제가 이제품을 얻었을 당시 팔아버리고 좋은데(?) 가고자하는 유혹에 빠질정도로 고가의 제품입니다. 하지만 웹서버처럼 무수히 많은 작은 파일을 저장할 필요한 경우에 꼭 필요한 제품이 될 수 있습니다.
[이 게시물은 관리자님에 의해 2009-06-09 16:10:39 review에서 이동 됨]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