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US A7M266-D 2800+ 불안정할 때

이춘근   
   조회 5098   추천 59    

안녕하세요.

각각 2.3G (200x11.5)정도로 잘 돌아가던 써러 브레드 CPU 두개를 MP 로 개조하여
A7M266-D 에 장착하여 오버클럭을 테스트 했습니다.

배수 가 x15, x16 일 때는 각각 MP 2400+, Mp2600+ 로 잘 나오더니
배수가 x17 이되니 MP 2266Mhz 라고 클락으로 나오더군요.

오버 안정성 테스트를 위해 대강 Prime95 하나와 superpi 하나를 실행 시켰습니다.
5 ~ 20 정도 지나 prime95 에서 오류가 계속 나더군요. 다른 분들 말씀처럼 역시 2800+ 이상
불안정하더군요. 포기할까 하다가 혹시나 하고 전원부와 노스브리지쪽에 각각 쿨링을 추가하여 주었습니다.

전원부에 팬을 추가 하였을 때는 동일하게 오류가 납니다. 그런데 노스브리지에 40mm 팬을하나
다니 오류가 나지 않고 1시간 정도 계속 돌더군요. 이 작고 힘없는 팬이 이렇게 큰 효과를 주다니
놀랍군요.

계속 오버 테스트 중입니다.

K7D Master-L 에 바톤을 2G 로 사용 중인데 CPU 의 전원부 지원 등은 A7M266-D 가 더 안정적인듯합니다. K7D 는 1.65V 설정으로 사용하다 보면 mbm 의 high/low 기록에 평균은 1.61~162 정도에 최저
1.50~1.52 도 나오는데 A7M266-D 에서는 에이징을 하고 있어도 1.70V 에 평균 1.7 최저도 1.65 정도네요.
파워는 동일한 에너맥스 350W 이고요. 전압 조정도 점퍼라서 확실하고 안전하고요.

근데 파워의 열이 장난이 아니네요. 좀더 용량이 큰 파워로 교체할지 듀얼 ATX 파워로 갈지 고민 고민
중이고요.  메인의 바톤을 이리로 옴겨 테스트해볼까도  생각 중입니다. 2.27G 를 향하여.

오버를 즐기시는 분들은

http://fab51.fc2web.com/pc/barton/athlon-e20.html

의 내용처럼 배수조절기를 달아보심도 좋을 듯하군요. A/S 포기하니 일일이 와이어 트릭으로
번거롭지 않아서 좋군요. 오버도 병인 듯 싶습니다.

즐거운 주말보내세요.

40mm 팬을 달고 케이스를 닫으니 다시 에러가 나는군요. 해서 80mm 팬을 CPU heatsink 에 걸쳐
달았습니다.  80MM 팬 4개를 붙여 두개의 CPU, 전원부, 노스브릿지를 다 덮으면 멋질라나요?
 
[이 게시물은 관리자님에 의해 2009-06-09 16:10:39 review에서 이동 됨]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제목Page 149/283
2014-05   5264978   정은준1
2015-12   1789973   백메가
2009-01   6164   배정한
2010-01   6165   왕용필
2010-02   6166   ned3y2k
2002-07   6169   박문형
2006-05   6169   김지영
2011-03   6169   ghost
2002-09   6169   이승현
2024-01   6171   2CPU최주희
2004-06   6172   오재호
2012-12   6173   2CPU최주희
2004-10   6175   김주영
2007-02   6175   전수현
2007-08   6176   김호성
2009-10   6177   이인
2010-04   6177   2CPU최주희
2009-04   6178   김윤술
2008-01   6180   문경석
2003-07   6181   이성준
2010-01   6183   권종일
2017-09   6185   만년초보